[Company Watch]M&A로 몸집 키운 다산네트웍스, 수익성 개선 '아직'6년 연속 적자 기조, 자동차 전장 신사업 성과 미미
이종현 기자공개 2025-03-04 08:30:34
이 기사는 2025년 02월 28일 13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인수합병(M&A)로 몸집을 불린 다산네트웍스가 실적 부진에 시달리고 있다. 회사는 자동차 전장 신사업 추진을 통해 돌파구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지난 수년간 진행된 사업 재편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전적이 발목을 잡고 있다.다산네트웍스는 1993년 설립한 유무선 통신장비 기업이다. 스위치, 유무선 단말기를 비롯해 광케이블 등 네트워크를 위한 갖가지 제품을 보유하고 있다. 2000년 코스닥에 상장한 코스닥 1세대 기업 중 하나다. 다산인베스트를 최상단에 두고 있는 다산그룹의 핵심 계열사다.
눈길을 끄는 것은 넓은 사업 영역이다. 다산네트웍스는 적극적인 M&A로 사업 영역을 다각화해 왔다. 지난해 3분기말 기준 다산네트웍스가 영위하고 있는 사업 부문은 네트워크, 의류, 반도체 제조용 부품, 제과, 물류, 자동차 부품 등이다. 의류, 제과, 물류 등 본업과 연관성을 찾기 힘든 분야에도 진출해 있다.
최근 집중하고 있는 것은 자동차 전장이다. 다산네트웍스는 지난해 10월 자동차 기술 기업 엔지스테크널러지의 지분을 추가 취득했다. 또 지난 4월에는 다산솔루에타가 보유한 자동차 부품 기업 디엠씨의 지분을 확보하며 자동차 관련 사업 역량을 결집했다.

다산소프트, 다산네트웍스솔루션, 디엠씨, 엔지스테크널러지 등 기업의 자회사 편입으로 다산네트웍스의 외형은 크게 성장했다. 연결 기준 2023년 929억원이었던 매출액은 2024년 3분기 누적 2394억원으로 껑충 뛰었다.
전체 사업에서 가장 큰 매출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주력 사업이라고 할 수 있는 네트워크다. 전체 매출의 29.8%를 차지하고 있다. 그 뒤를 이어 매출 비중 27.69%인 자동차 부품이 이름을 올렸다. 나머지는 기타 16.82%, 제과 12.78%, 의류 88.37%, 물류 5.83%, 반도체 제조용 부품 4.68% 순으로 구성돼 있다.
매출은 늘어났지만 수익성은 개선되지 않고 있는 모양새다. 지난해 3분기말 기준 다산네트웍스의 영업손실은 39억원, 당기순손실은 81억원이다. 적자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만약 4분기에 흑자 전환하지 못했다면 다산네트웍스는 2019년부터 6년 연속 적자를 기록하게 된다.
별도 재무제표 기준으로도 상황은 썩 좋지 않다. 다산네트웍스는 지난해 3분기말 매출액 30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18.3% 증가했다. 다만 마이너스(-) 5억원의 적자가 발목을 잡는다. 다산네트웍스는 2022년 –21억원, 2023년 –11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는데 지난해까지 적자로 마감하면 3년 연속 영업적자가 된다.
부진한 실적에 투자 심리도 위축돼 있다. 다산네트웍스의 27일 종가는 3740원, 시가총액은 1481억원이다. 다산네트웍스의 지난해 3분기말 순자본은 3090억원으로 시가총액의 2배 이상이다.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48배다.
실적 상승은 다산네트웍스의 신사업 성패에 달렸다. 시작은 나쁘지 않다. 엔지스테크널러지는 올해 초 LG유플러스와 33억원 규모 커넥티드카 기술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엔지스테크널러지의 지난해 3분기 누적 매출액이 54억원 수준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큰 금액대다.
다만 연매출 3000억 수준인 다산네트웍스의 신성장 동력이라기에는 부족한 수치다. 또 엔지스테크널러지의 경우 경영 악화로 2021년 기업 회생 절차를 밟았던 기업이다. 지난해 3분기 누적 영업손실은 39억원으로 적자를 지속하고 있다. 수익성 개선이 필요한 다산네트웍스에게 도움은커녕 부담이 될 수도 있다.
다산네트웍스 관계자는 최근 실적과 관련해서는 "아직 공시가 안 된 시점이라 구체적으로 답하기 어렵다. 실적 공시 후 관련 내용 설명드릴 수 있을 듯하다"고 답변을 유보했다. 또 지지부진한 주가와 관련해서는 "그동안 IR 활동을 안 했었는데, 올해부터 자료 릴리즈 등 액션을 취하기 위해 계획을 수립 중인 단계"라고 부연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주주가 된다는 의미
- [밸류업 파트너, PEF의 진화] PEF, 자본시장 존재감 키운다
- '일본법인 활용' 네이버, 야놀자에프앤비솔루션 인수 완료
- 라데팡스, 한미사이언스 지분 매입 '2000억 펀드' 소진 완료
- 이녹스리튬, 2500억 모은다…한투PE·KB운용 리딩 FI로
- '라이징 스타' 서현회계법인의 자문 방정식
- 프리드라이프 배당 확대, 웅진과 거래 영향 미쳤나
- [경찰공제회는 지금]이영상 이사장 선임 완료, 주요 임원 선임 속도낼까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이종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ompany Watch]시노펙스, 반도체 필터 성장에 혈액투석 신사업까지 '본궤도'
- [Red & Blue]'원격의료' 인성정보, 'AI 홈닥터' 추진 '눈길'
- [i-point]아이티센코어, 멀티모달 AI 기업 맥케이와 기술협력
- S2W, 이노션 'AI 얼라이언스' 참여
- [i-point]샌즈랩-케이사인, 한전KDN 양자내성암호 시범 전환사업 수주
- [거래재개 노리는 코스닥사]본느, 3개월 만에 상장유지 결정 '이사회 전면 개편'
- '빅데이터' 뉴엔AI, 코스닥 상장 예심 4개월만 통과
- [i-point]라온시큐어, 정부 양자내성암호 시범사업 선정
- [i-point]아이티센그룹-경기혁신센터, '유니콘 브릿지' 참여 기업 모집
- [Sanction Radar]제일엠앤에스 "기존대로 수익인식, 회계법인 이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