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cy Radar]금감원 "MBK, 사전에 회생계획 정황"…사모펀드 책임론 확대[현장줌人] 이복현 "신용등급 하락 인지하고도 자금조달 강행"…사모펀드 구조조정 관행 정조준
김보겸 기자공개 2025-04-28 12:48:52
이 기사는 2025년 04월 24일 14시4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사진)은 홈플러스의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기업회생 신청을 사전에 계획한 정황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MBK가 홈플러스의 신용등급 하락을 미리 인지하고도 대규모 자금조달을 강행한 뒤, 계획된 회생 절차를 통해 대주주로서의 책임을 회피하려 했다는 것이다.단순한 경영상의 실패를 넘어 사모펀드가 기업회생을 명분으로 사회적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했다. 이에 따라 검사와 회계감리는 물론 검찰 통보까지 병행하며 책임 소재를 대주주와 사모펀드 운용 방식 전반으로까지 확대하는 양상이다.
◇"MBK, 신용등급 하락 인지 후 회생신청 계획"
24일 이 원장은 서울 여의도 금감원 본원에서 열린 현안 브리핑에서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하락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조사 결과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하고 상당 기간 전부터 기업회생 신청을 계획해 온 구체적 증거를 확보해 검찰에 이첩했다"고 밝혔다.
홈플러스는 지난 3월 4일 회생 절차를 신청했다. 이보다 며칠 전인 2월 28일 신용등급이 A3에서 A3-로 강등됐다. 금감원은 MBK파트너스가 사전에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하고도 이를 숨긴 채 약 6000억원에 달하는 전자단기사채(ABSTB) 등을 발행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지난 21일 해당 사안을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증선)를 거쳐 검찰에 통보했다. 부정거래 등 중대한 법 위반 혐의가 있다는 판단에 따른 패스트트랙 조치다.
◇"이해관계자 희생만 강요…대주주는 책임 회피"
이 원장은 MBK파트너스 측이 대주주 책임을 다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외부에는 사재 출연 등 조치를 내세우며 책임을 다하고 있는 듯한 인상을 주고 있지만 실제 납품업체에는 대금 변제 지연, 임대인에게는 임대료 감액을 일방적으로 요구하는 등 이해관계자에 일방적인 희생을 요구하고 있다는 비판이다.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의 700억원 사재 출연에 대해서도 "특정 개인의 희생 프레임은 본질을 흐리는 것"이라고도 지적했다. 중요한 것은 특정 인물이 얼마를 냈느냐보다 경영 실패에 대처하는 대주주의 책임 이행 여부라는 것이다. 이 원장은 "주주가 어떤 책임을 질 것이고 그 내용과 정도에 비춰서 채권자들이 감수할 수 있는 희생의 정도를 논하는 것이 절차의 핵심"이라고 밝혔다.
홈플러스 신용등급 하락을 미리 예측하지 못했다는 MBK파트너스 측 주장도 반박했다. MBK파트너스는 한국기업평가로부터 예비통보를 받은 이후 1000억원 규모 신용공여안 등 신용보강책을 제출한 만큼 강등은 예상치 못했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이 원장은 "일부 내용을 자의적으로 해석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선을 그었다.
홈플러스나 MBK파트너스의 개별 경영판단 책임을 넘어 사모펀드 운용 방식 전반에 대한 경고로도 확장하는 모습이다. 이 원장은 "그간 회사가 위기에 빠졌을 때 경영정상화를 위해 책임 있는 대주주가 자본을 투입하거나 감사를 실시하는 등 경영 책임을 이행한 사례가 일반적이었다"라며 "대주주가 사모펀드라고 해서 경영정상화에 대한 책임을 다르게 적용하는 건 특혜"라고 지적했다.
금감원은 홈플러스 관련해 현재 운영 중인 태스크포스(TF)를 최소 5월 말까지 지속할 방침이다. 검찰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에 대한 추가 검사 및 회계 감리를 통해 제기된 불법 행위에 대해 확인 작업을 이어갈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산업은행 손잡은 한국증권, 조단위 블록딜 '마수걸이'
- [HB그룹은 지금]종합엔터 거듭난 HB엔터, '중국자본 동행' 기대감
- [thebell interview]"래블업, AI 스케일업 손쉽게…필수 인프라 될 것"
- 세라젬, 조용준 전 플러그앤플레이 한국 대표 영입
- [코스닥 오버행 리스크 체크]옵티코어, 주가반등하자 CB 투자 엑시트 '우르르'
- [코스닥 신사업 '옥석가리기']매각 급한 다보링크, 폐배터리 미래 먹거리 '글쎄'
- [유니콘 톺아보기]KCD, '한국소호은행' 출자 위한 투자유치 언제 나설까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모태펀드 영화계정 GP 전원 탈락…재공고 효과 있을까
- S&S인베, 온플랫폼 투자 손실…고강도 자구책 마련
- [LP Radar]'2년차' 하나벤처스 민간모펀드…GP당 출자액 늘었다
김보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여전사경영분석]하나카드, 불황 속 반격…1분기 실적 웃었다
- [여전사경영분석]신한카드, 본업 선방에도 조달·연체 '골머리'
- [여전사경영분석]삼성카드, 내실경영 넘어 영업 확장 시동
- [NPL 자금조달 리포트]하나F&I, 만기 늘리고 신용은 올렸다
- [Policy Radar]금감원 "MBK, 사전에 회생계획 정황"…사모펀드 책임론 확대
- [NPL 자금조달 리포트]유암코, 지주급 조달력 힘입은 수익창출력
- [NPL 경영분석]키움F&I, 공백기 틈새공략 통했다
- [NPL 경영분석]800억 환입에 순익 4배…대신F&I, '나인원한남 효과'로 도약
- [NPL 경영분석]우리금융F&I, 자본확충 힘입은 고속성장…순이익 3배 점프
- [8대 카드사 지각변동]'배당 생략' KB국민카드, 리스크 선제대응 만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