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전고투' 삼성전기, 뚫리는 中 시장 카메라모듈·HDI 제품군, 중국 거래선 추가 지속
양정우 기자공개 2014-11-18 10:45:00
이 기사는 2014년 11월 14일 10시4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중국 거래선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는 삼성전기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1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기는 올해 4분기부터 중국 스마트폰 업체 4곳에 카메라모듈 공급을 시작한다. 글로벌 업체로 도약한 샤오미에는 이미 카메라모듈을 납품하고 있다. 삼성전기의 타깃은 1300만 화소 이상의 고부가 제품군이다.
삼성전기 관계자는 "중화권 거래선에 대응하려면 상당한 원가 절감이 필요하다"며 "앞으로 제품 재료를 중국 현지에서 소싱하고 중국 인력 채용도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
올해 3분기 삼성전기는 영업손실(691억 원)을 맛봤다. 영업이익은 적자로 전환했고 매출액(1조 7217억 원)도 전년보다 19% 감소했다.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사업 부진에 따른 타격이었다.
삼성전기는 고객 저변을 넓히기 위해 중국 대륙을 집중 공략하고 있다.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이 대부분 중저가 모델로 라인업을 꾸리고 있지만 샤오미 등 선두업체는 상황이 다르다. 하이앤드급 모델을 주력 제품으로 내세운다. 그만큼 수익성 측면에서도 국내 고객과 비교해 떨어지지 않는다는 얘기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업체들이 삼성전자와 비슷한 스펙의 제품을 요구하고 가격도 그에 못지 않게 지불하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기 관계자는 "생산 거점을 베트남으로 이관하고 나면 중국 시장에 대한 경쟁력이 더 높아질 것"이라며 "일괄 생산체계가 갖춰지는 만큼 상당한 원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산업은행 손잡은 한국증권, 조단위 블록딜 '마수걸이'
- [HB그룹은 지금]종합엔터 거듭난 HB엔터, '중국자본 동행' 기대감
- [thebell interview]"래블업, AI 스케일업 손쉽게…필수 인프라 될 것"
- 세라젬, 조용준 전 플러그앤플레이 한국 대표 영입
- [코스닥 오버행 리스크 체크]옵티코어, 주가반등하자 CB 투자 엑시트 '우르르'
- [코스닥 신사업 '옥석가리기']매각 급한 다보링크, 폐배터리 미래 먹거리 '글쎄'
- [유니콘 톺아보기]KCD, '한국소호은행' 출자 위한 투자유치 언제 나설까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모태펀드 영화계정 GP 전원 탈락…재공고 효과 있을까
- S&S인베, 온플랫폼 투자 손실…고강도 자구책 마련
- [LP Radar]'2년차' 하나벤처스 민간모펀드…GP당 출자액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