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폴리스, 800억 대덕펀드 IRR 11.4% 청산 [한국벤처캐피탈대상]연구개발특구 내 벤처기업 집중 투자 - 중소기업청장상
박제언 기자공개 2015-03-02 08:43:24
이 기사는 2015년 02월 26일 14시4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이노폴리스파트너스(이하 이노폴리스)가 지난해 대형 벤처조합을 우수한 수익률로 청산해 주목받았다.이노폴리스는 26일 머니투데이 더벨과 한국벤처캐피탈협회가 주최·주관한 '2015 한국 벤처캐피탈 대상'에서 'Best Exit Deal(중소기업청장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지난해 청산된 벤처조합 중 가장 괄목할만한 성적을 가진 조합을 운용한 벤처캐피탈사에 주어지는 상이다.
|
이노폴리스는 2006년 9월 결성한 '대덕이노폴리스 특허기술사업화 투자조합(이하 대덕펀드)'을 내부수익률(IRR) 11.4%로 작년말 청산했다. 당시 연구개발특구지역 내 우수한 기술을 가진 벤처기업에 투자하는 800억 원 규모의 펀드로 결성돼 1300억 원 가까운 금액을 회수했다.
대덕펀드의 연복리 누적수익률(IRR)은 11.4%고, 수시납(캐피탈콜) 방식으로 수익률을 환산하면 IRR 17.4%에 이른다. 결성 당시 대덕펀드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출자를 받으며 세 번에 걸쳐 분할납 방식으로 결성됐다. 약정총액 800억 원의 대덕펀드는 투자원금을 포함해 총 1296억 원을 회수했다. 펀드 운용비용을 제외한 분배금액으로 따지면 1284억 원으로 계산된다.
미래창조과학부(당시 과학기술부, 400억 원), 한국벤처투자(모태펀드, 150억 원), 대전광역시(100억 원), 산업은행(100억 원) 등이 대덕펀드의 유한책임투자자(LP)로 참여했고, 이노폴리스는 무한책임투자자(GP)로 조합을 운용했다.
2006년 설립된 이노폴리스는 대덕펀드를 위해 만들어진 유한책임회사(LLC)형 벤처캐피탈이다. 2006년 당시 중소기업청이 벤처 선진화 방안으로 LLC형 벤처캐피탈의 육성을 복안으로 내놓았고, 이노폴리스가 대덕펀드를 맡게됐다. 이노폴리스는 설립 후 본사를 대전에 두고 대덕펀드에 매진하기도 했다.
대덕펀드는 총 27개 업체에 투자했다. 그 중 23개 업체가 대덕연구개발특구이나 대전광역시 소재 기업이다. 투자금 회수 방식은 기업공개(IPO, 9개사), 인수·합병(M&A, 6개사), 장외매각(6개사), 상환(6개사) 등으로 다양하다. 일반적인 벤처조합 보다 M&A 회수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 수익률을 높인 성공비결로 꼽힌다.
대표적인 M&A 투자 사례로 글로벌 대기업에 매각된 이미지앤머티리얼즈를 들 수 있다. 대덕특구에 위치한 이미지앤머티리얼즈는 e잉크 기술기업이다. 이노폴리스가 창업부터 육성단계까지 3단계 투자로 성장시켜 대기업에 매각했다. 총 30억 원을 투자해 90억 원을 회수하며 197%의 수익률을 달성했다.
전자현미경 기업 코셈도 창업 뒤 3단계 투자를 진행해 중국 M&A펀드에 매각했다. 코셈의 경우 이상진 이노폴리스 대표가 2년간 직접 대표를 맡아 개발과 생산, 영업을 총괄하며 기반을 다지기도 했다.
이노폴리스는 현재 300억 원 규모의 '2011 KIF-이노폴리스 IT전문투자조합'을 비롯해 총 4개(누적운용 규모 1474억 원)의 펀드를 운용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펀딩 3관왕' 트리거투자, 조력자 '유경원 상무' 눈길
- [VC 투자기업]뱅카우, 22일 4호 공모청약…5호부터 복수계좌 도입
- [thebell interview]황상연 HB인베 PE본부장 "차별화된 투자·밸류업 방점"
- [VC 투자기업]이플로우, 프리시리즈A 시동…독일법인 세운다
- [VC 투자기업]아토리서치, 적자 확대에 IPO 시계 늦춰졌다
- '아보하' 시장이 그립다?
- 상장 문턱서 좌절한 원유니버스, 넥써쓰가 일으키나
- [아이티켐 IPO]활발한 조달, RCPS·유상증자 당시 밸류 살펴보니
- [판 바뀐 종투사 제도]위험 익스포져 확대 전망, 리스크 파트 설득 '관건'
- [판 바뀐 종투사 제도]PBS 대상 확대…실효성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