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경영분석]김용복 NH농협생명 사장의 '이중고'[FY2014 CEO성과평가]영업 채널 확대와 수익성 향상, 두 토끼 잡아야
윤 동 기자공개 2015-05-13 08:00:08
이 기사는 2015년 05월 08일 15시0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영업 채널 확대와 수익성 향상. 올해 2월 취임한 김용복 NH농협생명 사장(사진)이 동시에 달성해야 할 과제다. 다만 영업 채널을 확대하려면 수익성이 떨어지기 쉽고 수익성을 높이자니 영업 채널 확대가 어렵기 때문에 목표의 동시 달성이 녹록치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
그러나 방카슈랑스 25% 룰 적용이 2년 앞으로 다가오면서 농협생명의 입지가 위태롭게 됐다. 특히 김 사장은 방카슈랑스 25% 룰이 적용되는 2017년 이후로도 임기가 남아있기 때문에 대안 마련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농협생명의 초회보험료 중 방카슈랑스 채널이 차지하는 비중은 95%로 절대적인 수준이다. 농협생명이 방카슈랑스 판매채널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었던 것은 농협생명이 농협중앙회 산하 공제조합에서 출범해, 방카슈랑스 25% 룰 적용에서 5년간 예외를 적용받았기 때문이다.
|
그러나 2017년 2월 말부터 농협생명도 규제의 적용을 받게 될 예정이라 방카슈랑스 의존도가 높은 농협생명에 타격이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보험업계에서는 방카슈랑스 룰이 적용되면 농협생명의 실적이 30% 가량 하락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방카슈랑스 25% 룰에 대비하기 위한 농협생명의 대책은 설계사를 늘려 판매채널을 다각화하는 것이다. 출범 직후 1460명에 불과했던 농협생명의 설계사는 지난해 말 2764명으로 89.3% 늘었다. 같은 기간 점포수도 55개에서 95개로 72.7% 확대됐다.
농협생명이 근래에 설계사 수를 크게 늘리기는 했으나 회사의 크기 대비 아직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삼성생명(2만 9788명), 한화생명(2만 2522명), 교보생명(1만 9825명) 등 빅3와는 비교도 안 될 뿐 아니라 생명보험사 중 13위에 불과하다. 현재 설계사 숫자로 방카슈랑스 25% 룰이 적용될 경우 실적하락을 막을 수 없다. 추가적인 설계사 채널의 확대가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같은 외형 확대는 수익성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이 문제다. 특히 같은 시기에 설립된 농협손해보험의 김학현 대표이사가 연임에 성공한 것과 달리 나 전 사장이 교체된 원인으로 수익성 악화가 꼽히고 있다. 새로 기용된 김 사장은 이전보다 좋은 성적을 내야하는 상황이 돼 무턱대로 채널 확장에만 골몰할 수 없는 처지가 됐다.
|
지난해 나 전 사장의 CEO 성과평가 지표를 보더라도 농협생명은 수익성에서 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농협생명은 상위 10개사 중 가장 큰 폭(0.76%포인트)으로 시장점유율을 늘리면서 성장성 면에서 최고의 해를 보냈다.
그러나 자기자본이익률(ROE)과 총자산순이익률(ROA)은 각각 4.03%와 0.3%에 불과해 업계 평균치보다 낮았으며 2013 회계연도 대비 성장률도 미미한 수준이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김용복 사장은 설계사 등 영업채널을 확대하면서 수익성도 향상시키는 이른바 '두 토끼'를 동시에 잡아야만 하는 상황"이라며 "한 쪽에 너무 치중하지 않도록 균형을 잡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펀딩 3관왕' 트리거투자, 조력자 '유경원 상무' 눈길
- [VC 투자기업]뱅카우, 22일 4호 공모청약…5호부터 복수계좌 도입
- [thebell interview]황상연 HB인베 PE본부장 "차별화된 투자·밸류업 방점"
- [VC 투자기업]이플로우, 프리시리즈A 시동…독일법인 세운다
- [VC 투자기업]아토리서치, 적자 확대에 IPO 시계 늦춰졌다
- [동상이목(同想異目)] '아보하' 시장이 그립다?
- 상장 문턱서 좌절한 원유니버스, 넥써쓰가 일으키나
- [아이티켐 IPO]활발한 조달, RCPS·유상증자 당시 밸류 살펴보니
- [판 바뀐 종투사 제도]위험 익스포져 확대 전망, 리스크 파트 설득 '관건'
- [판 바뀐 종투사 제도]PBS 대상 확대…실효성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