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전체기사

면세사업 이끄는 수장들 '4人4色' 34년 면세점 외길·첫 도전장·상품 혁신가 등 경력 다채

연혜원 기자공개 2015-10-26 08:29:05

이 기사는 2015년 10월 23일 07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올 연말 종료되는 서울 시내면세점 3곳의 특허권을 손에 넣기 위해 후보 기업들의 수싸움이 치열해지고 있다. 재입찰에 참여한 기업은 수성에 나선 롯데면세점과 SK네트웍스, 쟁탈에 나선 신세계DF와 두산 면세점이다. 입찰 전쟁의 최전방에 선 면세사업부 수장들의 화려한 이력이 눈길을 끈다.

◇ 한국 면세사업 역사의 산 증인, 이홍균 롯데면세점 대표이사

이홍균 롯데면세점 대표이사

이홍균(사진) 롯데면세점 대표이사(사장)는 34년 간 면세사업 한 우물만 판 면세점 전문가다. 1980년 국내최초로 면세사업을 시작한 롯데면세점에 1982년 공채로 입사해 2014년 대표이사 자리에 올랐다. 이 대표의 이력은 한국 면세사업의 역사와 함께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대표는 2002년부터 2008년까지 롯데면세점 소공동 본점장으로 근무했다. 2009년 롯데면세점 마케팅·기획부문장, 2010년 기획부문장, 2011년 상품부문장, 2012년 영업부문장을 두루 거치며 롯데그룹의 면세사업을 전 방위로 통솔했다.

한국외대 중국어과를 졸업한 이 대표는 능숙한 중국어 실력자이기도 하다. 중국 사업 파트너들과 만나는 자리에선 직접 중국어로 소통하는 면모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면세점은 소공점이 12월22일, 월드타워점이 12월31일 특허권이 만료됨에 따라 기존 면세점 수성에 힘쓰고 있다.

◇ 면세 상품 혁신가, 권미경 SK네트웍스 면세사업본부장

권미경 sk네트웍스 본부장

권미경(사진) SK네트웍스 면세사업본부장(전무)은 명품 브랜드 업체 근무 경력을 바탕으로 면세상품 차별화에 남다른 공을 들이고 있다.

권 전무는 1994년부터 10년 간 프라다코리아 지사장으로 근무한 경력이 있다. 2004년 ELCA코리아로 이적해 8년 간 에스티로더와 아라미스브랜드를 맡았다. 20여 년간 해외 명품 브랜드 한국 지사장으로 근무했던 권 전무는 2011년 SK㈜ G&G추진 그룹 전무로 영입됐고 2012년 SK네트웍스 워커힐 면세사업본부장으로 승진했다.

권 전무는 면세점 내에 국내 디자이너 셀렉트숍을 세우는 등 국내 브랜드의 면세점 입점 강화를 통해 국산 브랜드의 명품화에 힘쓰고 있다. 권 전무는 지난 9월 프랑스 칸에서 열린 '세계면세품박람회(TFWA)'에 발표자로 선정돼 '한국 면세시장과 한류 브랜드의 성장'을 주제로 강연하기도 했다.

SK네트웍스는 워커힐면세점이 11월16일 특허권 만료를 앞두고 있다. 워커힐면세점 수성과 동대문 케레스타를 입지로 한 동대문면세점 입찰을 준비하고 있다.

◇ 면세사업 '디벨로퍼', 성영목 신세계DF 대표이사

성영목 신세계DF 대표이사

성영목(사진) 신세계DF 대표이사(사장)는 신세계그룹 면세사업의 포문을 열었다고 해도 무방한 인물이다. 신세계그룹이 면세사업 진출을 앞두고 있던 2011년, 호텔신라 재직 당시 면세사업 운영능력을 인정받아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으로부터 직접 영입됐다.

성 대표는 삼성물산 플라자사업부를 거쳐 2003부터 호텔신라에서 면세사업을 총괄했다. 면세사업 운영역량을 높게 평가받아 2007년 호텔신라 대표이사에 올라섰다. 2010년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이 대표이사에 선임되며 고문으로 물러났고 이듬해 2011년 신세계조선호텔로 자리를 옮겼다. 성 대표가 면세사업 경력을 쌓은 곳은 호텔신라지만 친정은 신세계그룹이다. 성 대표는 신세계그룹이 삼성그룹에 속해있던 1979년 삼성그룹 공채로 입사해 신세계백화점을 첫 직장으로 삼았다.

신세계그룹은 성 대표를 영입한 이후 면세사업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성 대표 영입직후인 2012년 10월 파라다이스그룹으로부터 부산 파라다이스면세점을 인수하며 본격적으로 면세사업을 시작했다. 2014년 두번째 면세사업장으로 김해공항 면세점을 연 데 이어 올 초엔 인천국제공항 면세사업권으로 따내는 데 성공했다.

신세계DF는 신세계백화점 본점을 입지로 선정하고 재입찰에 부쳐진 서울 시내면세점 3곳 모두를 상대로 입찰 신청서를 제출한 상태다.

◇ 신사업 추진동력, 동현수 ㈜두산 사업부문 사장

동현수 두산 사업부문 사장

동현수(사진) ㈜두산 사업부문 사장은 면세사업 경험이 전무하지만 다채로운 사업 경험을 인정받아 영입된 지 2년 만에 면세사업 태스크포스팀(TFT) 수장이라는 중책을 맡았다.

동 사장은 신사업 개척에 강한 인물이다. 동 사장이 두산그룹에 영입된 이유는 전사사업 역량 강화였다. 동 사장은 제일모직이 2007년 인수한 편광필름업체 에이스디지텍 사장으로 일하다 지난 2011년부터 1년 여간 효성그룹 옵티컬필름 부사장으로 근무했다. 지난 2013년 ㈜두산 전자BG 그룹장으로 영입됐고, 올해부턴 두산그룹 최고 사업 책임자(CBO, Chief Business Officer)로 보폭을 넓혔다.

동 사장은 그 간의 신사업 추진 능력을 높게 평가받아 면세사업 진출을 이끌 적임자로 평가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동 사장은 애경그룹의 AK플라자에서 유통사업 경험을 쌓은 이천우 ㈜두산 부사장과 조용만 두산타워 대표(부사장)와 함께 면세사업 TFT를 운영하며 부족한 유통사업 경험을 보강하고 있다.

㈜두산은 두산타워를 입지로 선정하고 재입찰에 부쳐진 서울 시내면세점 3곳 모두에 입찰 신청서를 제출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4층,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김용관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황철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