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백훈 현대상선 대표 "단기 유동성 확보가 과제" 2016년 '생존'에 무게중심…"추가 자구계획안 논의 중"
김창경 기자공개 2016-01-15 07:35:00
이 기사는 2016년 01월 14일 15시0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이백훈 현대상선 대표(사진)가 올해 최대 과제로 단기 유동성 확보를 꼽았다. 올 경영 환경 역시 녹록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면서 성장보다 생존에 무게를 뒀다.
|
이 대표는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 상환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지난해 종료된 회사채신속인수제를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원칙적으로 회사채신속인수제를 종료하지만 2015년까지 발행된 물량은 발행사가 희망할 경우 한 차례 더 차환발행 할 수 있도록 했다. 2016년 만기가 돌아오는 5200억 원의 회사채 중 1760억 원이 신속인수제를 통한 차환 가능 물량에 해당한다.
이 대표는 "현대상선 입장에서 화사채신속인수제를 통한 차환이 가능할지 확언하기 어렵다"며 "회사채의 만기가 연장되면 좋겠지만 자체적으로 나름대로 준비할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추가 자구계획안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현대상선에 추가 자구계획안을 요구한 상태다. 이 대표는 "현재 내부적으로 논의를 진행하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내용이나 일정이 정해지지 않아서 언급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선박건조 자금 지원책은 현재 기준에서 현실적으로 받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는 해운업체가 자구노력을 통해 부채비율을 400% 이하로 낮춰야만 선박을 새로 건조할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2015년 3분기 기준 현대상선의 부채비율은 718%다.
이 대표는 "부채비율을 낮추려면 추가로 자본이 유입돼야 하는데 신규 선박 발주도 어려운 상황에서 증자 역시 이뤄지기 어렵다"며 "중소형 선사들은 조건에 충족될 수 있지만 원양선사는 현재 부채비율이 높기 때문에 정부의 조건을 맞추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날 선주협회 정기총회에서도 정부가 설정한 부채비율 기준이 너무 낮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선박 건조비용의 상당 부분을 대출로 조달하는 해운사의 특성상 400%의 부채비율은 해운사의 재무건전성을 판가름하기에 낮은 수준이라는 지적이다. 실제로 부채비율이 400% 아래인 해운사는 정부의 지원이 크게 필요하지 않은 곳이 많다.
선주협회 관계자는 "구조조정 목표치를 초과 달성한 해운사에 유동성을 먼저 지원하는 제도가 필요하다"며 "부채비율 조정 등 정부의 해운사 구조조정 계획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변곡점 맞은 해운업]폴라리스쉬핑, 사업 '본궤도' 올랐다
- [변곡점 맞은 해운업]SM그룹 벌크 이끄는 대한해운, 호황기 지났나
- [레버리지&커버리지 분석]KCC, 차입만기 장기화 '성공'...이자부담은 '여전'
- 우리금융, '최대 4000억' 신종자본증권 발행
- [Sanction Radar]트럼프, 의약품 관세 확정…글로벌 제약업 주가 '먹구름'
- 에이엘티, 삼성전자 출신 이은철 사장 영입 '반도체 역량 강화'
- 카카오엔터 매각 배경에 '진퇴양난' 수익성
- [산일전기 상장 그후]고객사 편중 리스크에도 '신사업 계획 없다'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GS, 하반기 배당수익 원천 GS칼텍스 '중간배당'
- 거래소의 '마이크로매니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