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 올해 은행 통합 시너지 1700억원 예상 "하나카드 2017년 이후 수익 개선될 듯"
안경주 기자공개 2016-02-05 08:30:30
이 기사는 2016년 02월 04일 19시4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하나금융지주가 올해 옛 하나은행과 옛 외환은행의 통합으로 1700억 원 가량의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내다봤다. 희망퇴직으로 인한 인건비 감소와 IT통합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 때문이다.하나금융은 4일 2015년 실적 공개 후 진행한 컨퍼런스콜에서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이 같이 설명했다. 곽철승 하나금융 상무(CFO)는 "지난해 말 실시한 희망퇴직 효과가 앞으로 2년6개월 정도에 걸쳐 나타날 것"이라며 "올해 800억~900억 원 가량의 인건비 절감효과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IT통합에 따른 시너지도 비용측면에서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이란 설명이다. 곽 상무는 "그동안 옛 하나은행과 옛 외환은행에서 각각 1400억 원씩 IT비용이 지출됐으나 통합 이후에는 인건비 감소와 비슷한 규모의 비용절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올해 인건비와 IT통합으로 총 1700억 원의 비용감소 효과가 있을 것으로 하나금융 측은 내다봤다.
아울러 하나금융의 올해 총영업이익경비율(CIR)을 60% 이하로 낮추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판매관리비 지출 예상액도 4조 원대 초반으로 제시했다.
곽 상무는 "올해 CIR 목표를 62%로 추정했으나 지난해 희망퇴직에 따른 인건비 감소 효과 등을 고려할 때 60% 이하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판매관리비도 지난해 4조5000억 원보다 6% 가량 줄어든 4조 원대 초반으로 낮춰 경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하나카드 수익성 개선 시기는 2017년 이후로 내다봤다. 하나카드 송종근 본부장은 "지난해 (옛 외환카드와) 통합비용이 550억 원 정도 소요됐고 희망퇴직도 실시했다"며 "내년까지 통합에 따른 추가 비용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송 본부장은 이어 "회원수를 늘리기 위한 모집비용도 내년까지 지출에 상당부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2017년 이후에나 수익성이 개선되는 모습을 나타낼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동인기연, 필리핀 바타안경제특구청과 협력 강화
- [i-point]태성, 임대공장 계약 "복합동박 장비 초도물량 대응"
- [상호관세 후폭풍]중국·베트남 생산비중 높은 HS효성, '고관세' 영향 불가피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동국산업, 손익 '엇박자'…영업흑자에도 순손실 300억
- [Red & Blue]무상감자에 관세 전쟁까지...'신저가' 찍은 KG모빌리티
- [석유화학 숨은 강자들]유니드, 고ROE와 상반된 PBR…중국공장 신설효과 기대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이사회 '오너 3세' 주축…'역할 분배' 뚜렷
- NH증권 점프업리그, 해외로 확장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KG스틸, 그룹내 '유동성 창출' 중심 부상
- KB국민은행, 가판대 대폭 조정…한·중 펀드에 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