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지주, 레버리지비율 6% 방어 나선다 경영실태평가 평가등급 염두, 신종자본증권 발행 가능성 고려
김선규 기자공개 2018-03-22 11:27:29
이 기사는 2018년 03월 21일 13시5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한금융지주가 레버리지비율을 6% 이상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자본의 질적 개선과 경영실태평가 평가항목인 자본적정성 등급을 개선하기 위해 레버리지비율을 적극 관리한다는 방침이다.신한지주의 레버리지비율은 1월말 기준 5.8%로 규제기준인 3%를 크게 웃돌고 있다. 바젤은행감독위원회와 금융위원회는 바젤Ⅲ체계에서 레버리지비율을 3%이상 유지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레버리지비율은 단순자기자본비율과 동일한 개념으로 자본적정성을 가장 보수적으로 측정하는 기준이다. 금융위는 올해 1월부터 시행중인 바젤Ⅲ 기준에 맞춰 은행업 감독규정을 개정해 레버리지비율 규제를 도입했다.
레버리지비율은 기본자본(Tier1)을 재무상태표상 총 익스포져(EAD)를 나눈 값이다. 총 익스포져에는 파생상품 익스포져와 부외항목 익스포져가 모두 포함된 총량지표로 위험가중치(RW)가 반영되기 이전의 합계다. 기본자본은 영구적 자본으로 기능할 수 있는 보통주, 우선주, 신종자본증권 등이 포함된 값이다.
신한지주 관계자는 "레버리지비율은 이미 규제기준인 3%를 크게 상회하고 있다"며 "다만 자본의 질적 개선과 경영실태평가 평가등급을 2(+)등급까지 끌어올리기 위해 레버리지비율 관리를 시작하게 됐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이 실시하는 경영실태평가는 각 금융회사의 자본적정성(Capital), 자산건전성(Asset), 경영관리(Management), 수익성(Earning), 유동성(Liquidity) 등을 평가한다. 자본적정성은 총자기자본비율, 기본자본비율, 보통주자본비율, 단순자기자본비율(레버리지비율)로 구성돼 있다. 신한지주는 단순자기자본비율을 제외한 나머지 자본비율 지표에서 모두 2(+)등급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신한지주가 목표로 내세운 6%는 경영실태평가 평가체계상 2(+)등급에 해당된다. 금감원은 레버리지비율이 7% 이상일 경우 1등급을 부여하며 6%는 2(+)등급, 5% 이상은 2(0)등급으로 책정한다. 1월 말 기준 5.8%인 신한지주 레버리지비율은 2(0)등급으로 6% 이상을 유지할 경우 평가등급이 한 단계 상승해 2(+)등급을 부여 받게 된다.
신한지주는 레버리지비율을 개선하기 위해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고려하고 있다. 은행에 비해 보통주자본 확충이 어렵다는 점에서 바젤 III 하에 기타기본자본(Additional Tier1)으로 분류되는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해 기본자본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신한지주는 2차례에 걸쳐 2200억원 가량의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했다.
업계 관계자는 "자본확충 필요시 자회사로부터 배당 등을 통해 이익잉여금을 안정적으로 확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익유보를 통해 레버리지비율 등 자본적정성을 제고할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신한지주는 시스템적 중요 은행(D-SIB)이라는 점에서 요구자본이 늘어날 수 있어 자체적으로 자본 확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엔켐, 프랑스 덩케르크와 서유럽 전해액 생산기지 구축
- [인투셀 IPO]상단에 모인 투심, ADC 상승세 이어간다
- AI 협력 늘리는 포바이포, 이스트소프트와 '맞손'
- [i-point]신테카바이오, 미국 OCMS Bio와 '혁신 항체신약 파이프라인 공동개발'
- [i-point]엔젤로보틱스, LIG넥스원과 국방용 웨어러블 로봇 개발 협력
- [i-point]에이스엔지니어링, 미국 EPC Power와 전략적 파트너십
- [DS금융그룹 시대 개막]'LP 엑시트' 절호의 타이밍, '장덕수 회장' 재정비 결단
- 유언대용신탁 개발 나섰던 신한증권…하반기 중 출시 전망
- 신한패스파인더, 셀럽 집단 대상 '워크플레이스' 자산관리 모델 추진
- 타임폴리오, KB증권 트로이카펀드 롤오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