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구주매출 '제로' 가닥 공모구조, 신주발행 100% 유력…'구주 50% 안팎' 아시아나IDT와 정반대
양정우 기자공개 2018-06-07 08:19:45
이 기사는 2018년 06월 04일 08시2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아시아나항공이 계열사 에어부산의 기업공개(IPO)에서 구주매출을 실시하지 않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신주발행 위주로 자금을 모으면 향후 성장 스토리가 설득력을 얻게 된다. 반면 또다른 계열사 아시아나IDT의 기업공개에서는 구주매출 비중을 최대화할 전망이다.4일 IB업계에 따르면 에어부산은 모회사 아시아나항공의 구주매출이 없는 방향으로 공모구조를 설계할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아시아나항공이 구주매출을 실시하지 않기로 내부 의견이 모아졌다"며 "시장에서 IPO의 진정성을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근래 들어 아시아나항공은 유동성 확보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올해 2조원 수준의 차입금이 만기가 돌아오는 것으로 파악된다. 지난해 말 연결기준 총차입 규모는 4조5230억원에 달하고 있다. 지난해 말을 전후해 대한통운 지분 매각(935억원 안팎)과 전환사채(1000억원) 및 ABS(1500억원) 발행 등을 이어가고 있다.
올 들어 전격적으로 발표한 계열사(에어부산, 아시아나IDT) 상장 역시 자금조달 방안의 일환으로 여겨져 왔다. 보유 지분의 구주매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면 수천억원 규모의 자금을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에어부산의 경우 구주매출을 하지 않기로 선을 그은 것이다.
물론 에어부산과 아시아나IDT는 지배구조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에어부산의 지분 46%를 보유한 반면 아시아나IDT의 경우 지분 100%를 모두 쥐고 있다. 아시아나IDT의 구주매출 여력이 더 큰 셈이다. 그러나 에어부산 역시 시 10% 안팎의 구주매출이 가능하다는 평가다.
IB업계에선 이번 결정을 시장의 우려를 의식한 결과로 보고 있다. 현재 IPO 시장에선 에어부산뿐 아니라 저비용항공사(LCC)의 상장 러시가 이어지고 있다. 자칫 상장 목적이 모회사의 자금조달로 인식되면 시장에서 외면받을 가능성이 크다.
향후 신주발행 비중이 100%로 설계되면 공모 자금은 모두 에어부산 쪽으로 흘러가게 된다. 투자금이 확보되는 만큼 앞으로 투자자를 설득할 성장 스토리에도 힘이 실릴 전망이다.
에어부산은 지난달 중순 IPO를 위한 킥오프(Kick-off) 미팅을 개최했다. 연내 유가증권시장에 입성한다는 계획이다. 에어부산은 올해 1분기 호실적을 거뒀다. 매출액(1691억원)과 영업이익(167억원)이 전년(1271억원, 61억원)보다 33%, 174% 급증했다. 국내 경쟁사에 뒤졌던 수익성이 다시 성장 추세로 돌아섰다.
지난달 말 아시아나IDT는 에어부산보다 한발 앞서 한국거래소에 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했다. 앞으로 공모구조에서 구주매출의 비중이 50% 안팎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MM PE, 교보생명 강제이행금 '항고' 법적 근거는
- [LP Radar]'기업투자 수익률 8%' 과기공, PEF 출자 보폭 넓힐까
- [Company Watch]상장폐지 후 첫 성적 낸 커넥트웨이브, '티메프' 타격
- 제이앤티씨, 오너일가 나란히 자사주 매입 "신사업 자신감"
- 아이엠, 최대주주 반대매매에 감사 의견거절까지, 지배력 '시험대'
- [Company Watch]갈 길 바쁜 소룩스, 합병심사 사실상 '원점으로'
- 'A+' 오른 삼양식품, 조달 계획 없는 이유는
- [LP Radar]'역대 최대 출자' 산재기금, PEF 시장 존재감 커진다
- [캐시플로 모니터]'흑자전환' 코디, 유동성·재무건전성 동반 회복
- [On the move]CJ제일제당, '식품성장추진실' M&A 인력 물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