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기관 자금 매칭 쉬워진다 [2018 KIF 출자] ③운용기간 7년에서 8년으로 연장, 출자금 '2배 이상' 의무 투자해야
강철 기자공개 2018-07-12 08:01:19
이 기사는 2018년 07월 11일 07시4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가 한국IT펀드(KIF)의 운용 기간을 8년으로 늘렸다. 운용사로 선정된 업무집행조합원(GP)이 KTOA 자금 외에 다른 기관의 자금을 매칭하는 것이 예전보다 수월해졌다.KTOA는 최근 'KIF투자조합 업무집행조합원 선정 계획'을 발표했다. 매년 6~7월 공고하는 정기 출자사업이다.
△ICT 일반 △ICT DNA △지능정보 산업 △초기 창업 등 총 4개 부문에 840억원을 출자한다. ICT 일반에 380억원(조합 2개), ICT DNA에 130억원, 지능정보 산업에 200억원, 초기 창업에 130억원을 배정했다.
출자 대상은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 신기술사업투자조합, 한국벤처투자조합 등이다. 다음달 8일까지 접수를 받는다. 운용사로 선정된 GP는 6개월 내에 조합을 결성을 완료해야 한다.
조합의 운용 기간은 8년, 투자 기간은 4년이다. 추가로 2년 연장이 가능하다. KIF는 그간 운용 기간을 7년으로 정해왔다. 초기 창업, 스타트업 부문에 대해서만 8년 이상으로 설정했다. 출자사업의 기본 운용 기간을 1년 늘린 셈이다.
운용 기간 연장은 GP의 원활한 자금 매칭을 돕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7년의 만기는 GP들이 다른 유한책임투자자(LP)를 모집하는 과정에서 큰 걸림돌로 작용했다. 일례로 한국벤처투자(모태펀드)는 운용 기간을 8년으로 둔다. 1년의 차이 때문에 모태펀드 운용사가 KIF 자금을 펀드에 합치는 것이 매우 까다로웠다. 매칭이 수월해지는 만큼 이번에 GP로 선정되는 운용사들은 비교적 손쉽게 펀드를 결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벤처캐피탈업계 관계자는 "그간 업계에서 KIF의 운용 기간을 다른 출자사업과 맞춰달라는 요구가 꾸준히 제기됐다"며 "KTOA가 앵커 출자자로서의 지위를 잃을 수 있는 점을 감수하고 업계의 의견을 받아들였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KTOA는 이번 출자사업에서 의무투자 비율을 소폭 높였다. 5G, 인공지능, 블록체인, 빅데이터 등에 투자하는 ICT DNA 부문의 경우 결성총액의 80% 이상을 소진해야 한다. 지능정보 산업, 초기 창업도 최소 70%를 투자해야 한다. 그간 의무투자 비율은 60%였다.
KIF 출자금의 2배 이상을 투자해야 한다는 조항도 달았다. GP가 KIF에서 받은 130억원을 기반으로 300억원의 'ICT DNA 펀드'를 만들 경우 주목적 투자 한도는 240억원(결성총액의 80%)이 아닌 260억원(KIF 출자금의 2배)이 된다. 펀드 규모가 늘어도 한도는 260억원으로 고정된다.
업계 관계자는 "KIF 출자금의 2배 이상만 투자하면 되기 때문에 다른 출자자를 매칭해 펀드의 규모를 키우는 게 GP 입장에서 운용이 용이하다"며 "연기금, 모태펀드 등에서 검증을 받은 우수한 운용사를 선정하겠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펀딩 3관왕' 트리거투자, 조력자 '유경원 상무' 눈길
- [VC 투자기업]뱅카우, 22일 4호 공모청약…5호부터 복수계좌 도입
- [thebell interview]황상연 HB인베 PE본부장 "차별화된 투자·밸류업 방점"
- [VC 투자기업]이플로우, 프리시리즈A 시동…독일법인 세운다
- [VC 투자기업]아토리서치, 적자 확대에 IPO 시계 늦춰졌다
- '아보하' 시장이 그립다?
- 상장 문턱서 좌절한 원유니버스, 넥써쓰가 일으키나
- [아이티켐 IPO]활발한 조달, RCPS·유상증자 당시 밸류 살펴보니
- [판 바뀐 종투사 제도]위험 익스포져 확대 전망, 리스크 파트 설득 '관건'
- [판 바뀐 종투사 제도]PBS 대상 확대…실효성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