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록, 대림산업 지분 매집 구조는? [이해욱 시대 연 대림그룹]미국 블랙록펀드어드바이저스 등 세계 각지 법인 총 13곳 '전방위 동원'
김경태 기자공개 2019-01-17 10:15:13
이 기사는 2019년 01월 16일 16시2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블랙록(Black Rock)이 대림산업의 지분을 대거 매집하며 주요주주로 급부상한 가운데, 주식 매입의 주체로 세계 각지의 법인을 전방위 동원했다. 주로 미국과 영국에 소재한 법인을 내세웠고, 아시아지역에서도 일부 참여했다.1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블랙록은 이달 3일 기준 대림산업의 지분율 5%에 해당하는 주식 174만177주를 보유 중이다. 이번 블랙록의 주식 매입은 1월 2일과 3일에 걸쳐 이뤄졌다.
블랙록이 대림산업의 지분을 매수하면서 내세운 법인은 총 13곳이다. 주목되는 부분은 특정 지역에서 투자를 한 것이 아니라, 세계 곳곳의 법인이 동원됐다는 점이다. 미국에 소재한 법인이 5곳으로 가장 많고 그다음으로는 영국으로 3곳이다. 이 외에 캐나다, 네덜란드, 호주 등의 법인이 있었고, 아시아지역의 일본, 홍콩 소재 법인도 등장했다.
|
법인 중 블랙록 펀드 어드바이저스(BlackRock Fund Advisors)가 대림산업의 주식 74만2165주를 매집해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지분율은 2.13%다. 그 다음은 블랙록 인스티튜셔널 트러스트 컴퍼니(BlackRock Institutional Trust Company,N.A.)로 37만8250주(1.09%)를 샀다.
대림산업의 지분을 가장 적게 보유한 곳은 블랙록 어드바이저스 엘엘씨(BlackRock Advisors, LLC)로 939주를 샀다. 지분율은 0%에 가깝다.
각 법인의 지배구조를 보면 미국의 '블랙록 델라웨어 홀딩스(BlackRock Delaware Holdings Inc)'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해당 법인은 대림산업의 지분을 가장 많이 보유한 블랙록펀드어드바이저스의 지분 100%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또 대림산업 지분을 두 번째로 많이 매집한 블랙록 인스티튜셔널 트러스트 컴퍼니의 지분도 100% 갖고 있다.
영국에 소재한 블랙록그룹(BlackRock Group Limited)도 지배구조 상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블랙록그룹은 대림산업 지분을 매입한 4곳의 지분을 각각 100% 보유한 최대주주다.
우선 영국에 소재한 △BlackRock Advisors (UK) Limited △BlackRock Investment Management (UK) Limited △BlackRock International limited 3곳을 지배하고 있다. 또 네덜란드의 BlackRock (Netherlands) B.V.도 산하에 두고 있다. 이 4곳의 법인의 대림산업 지분율은 각각 0.68%, 0.67%, 0.01%, 0.01%다. 총 1.37%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오르비텍, 방사성폐기물 처리 신기술 도입
- 대우건설, 해외시장 진출 '박차'
- [Company Watch]온타이드, 매출절반 차지하는 해외법인 부진 지속
- [ESS 키 플레이어]한중엔시에스 '국내 유일 수랭식 공급' 가치 부각
- [크립토 컴퍼니 레이더]빗썸, 비언바운드 법인 청산…해외사업 '고배'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투자 대폭 늘렸는데도 '무차입 기조' 유지
- [i-point]서진시스템 "베트남 대상 상호관세 부과 영향 제한적"
- [저축은행경영분석]굳건한 1위 SBI저축, 돋보인 '내실경영' 전략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iM라이프, 4달만에 후순위채 또 발행…힘에 부치는 자력 관리
- [저축은행경영분석]J트러스트 계열, 건전성 개선 속 아쉬운 '적자 성적표'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체제 관전포인트, 후임자 육성·초연결 완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조용히 확대한 카오디오 시장 입지, 점프업 꿈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
- [이사회 모니터]삼성SDI, 대표·의장 분리 '다음으로'
- '미전실 출신' 문종승 삼성전자 부사장, 공백 메우기 '전면'
- '후퇴 없는' SK하이닉스, 이사회 시스템 '또 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