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M인베, 나진산업 잔여지분 취득 펀딩 완료 인수금융+메자닌펀드 활용…안정성에 방점
김병윤 기자공개 2020-08-13 11:16:13
이 기사는 2020년 08월 12일 10:44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IMM인베스트먼트가 나진산업 잔여지분 취득을 위한 펀딩을 마쳤다. 인수금융과 메자닌(mezzanine)펀드를 통해 2100억원을 확보했다. 메자닌펀드의 경우 중순위에 위치, 수익률보다는 투자의 안정성에 LP 마케팅의 초점이 맞춰진 것으로 파악된다. 나진산업의 핵심 자산이 부동산이라는 점 또한 투자의 안정성을 높였다는 분석이다.1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IMM인베스트먼트는 최근 500억원 규모의 '아이엠엠스페셜시츄에이션1의2호사모투자 합자회사'를 설립했다. 해당 펀드는 IMM인베스트먼트가 나진산업의 잔여지분 취득을 위해 조성한 메자닌펀드다.
IMM인베스트먼트는 2017년 나진산업의 지분 100%를 취득키로 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 가운데 73.05%를 먼저 매입했고, 이번 펀딩은 나머지 지분 26.95%를 사들일 목적으로 조성됐다. 이 과정에서 '아이엠엠스페셜시츄에이션1호사모투자 합자회사'가 활용됐다.
IMM인베스트먼트는 메자닌펀드와 함께 인수금융을 통해 1600억원으로 조달했다. 나진산업의 운용자금 등을 확보하기 위한 용도다. 해당 인수금융의 만기는 3년 5개월로, 키움증권 등이 대주단으로 참여했다.
나진산업 투자는 특수목적법인(SPC) 깜포를 통해 이뤄진다. 변제순위상 인수금융이 깜포의 선순위에, 메자닌펀드가 중순위 투자자로 각각 위치한다. IMM인베스트먼트는 후순위 투자자로 참여하는 구조다.
이번 메자닌펀드에는 공제회와 캐피탈사 등이 LP(Limited Partner)로 참여했다. IMM인베스트먼트는 배당 등 수익성보다는 투자의 안정성을 LP 마케팅의 핵심으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이는 나진산업의 핵심 자산이 부동산이라는 점도 반영된 구조라는 게 IB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IB 업계 관계자는 "나진산업에 투자한 메자닌펀드의 경우 중순위에 위치, 후순위 투자자 대비 투자금을 회수하는 데 안정적"이라며 "나진산업이 보유한 자산이 부동산이기 때문에 영업활동을 통한 배당보다는 향후 자산 처분 때의 시세 차익에 집중하는 구조로 보인다"고 말했다.
IMM인베스트먼트는 지난해 롯데손해보험 투자 때도 유사한 구조를 짠 바 있다. IMM인베스트먼트는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JKL파트너스와 함께 롯데손해보험 바이아웃(buy-out) 투자에 나서면서 SPC인 '빅튜라 유한회사(victura limited)'를 활용했다. 인수금융을 통해 조달한 자금과 메자닌펀드, IMM인베스트먼트 출자금 등이 빅튜라 유한회사에 모인 뒤 롯데손해보험 구주 인수와 유상증자로 이어졌다.
당시 IMM인베스트먼트는 배당을 최소화하는 대신 엑시트(exit) 수익률에 집중하는 LP 마케팅 전략을 썼다. 보험업 특성상 지급여력(RBC)비율 관리를 신경써야하기 때문에 배당보다는 기업가치를 높여 엑시트하는 데 투자의 초점을 맞췄다.
다른 IB 업계 관계자는 "나진산업 투자의 경우 용산에 위치한 부동산의 시세가 성과를 좌우할 것"이라며 "부동산 관련 법안 등이 수익률에 영향을 미칠 변수 가운데 하나로 보인다"고 밝혔다. 나진산업은 용산 일대에 약 3만㎡(9000여평) 부지와 전자상가 6개동 등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나진산업 투자는 IMM인베스트먼트의 첫 스페셜시츄에이션펀드(SSF) 투자다. 나진산업의 창업주인 고(故) 이병두 회장의 사망 후 상속세 이슈가 불거지면서 거래가 이뤄졌다. 하지만 투자 과정에서 나진산업의 또 다른 원매자였던 오진상사와 이중계약 이슈가 불거졌고, 오진상사가 주식처분금지 가처분소송을 제기하며 IMM인베스트먼트의 나진산업 지분 취득은 위기를 맞았다. IMM인베스트먼트는 오진상사와 합의를 이끌어내며 투자를 본격화하게 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아이에이, '中 합자사 덕' 사상 최대 순이익
- [호반건설을 움직이는 사람들]'건설 전문가' 김선규 회장, 첫번째 '총괄회장' 중책
- 'AI반도체' 딥엑스, 내달 시리즈B 라운드 추진
- 시노텍스 마스크, 독일 더마테스트 최고등급 획득
- [호반건설을 움직이는 사람들]김양기·이종태 부사장, 대형건설사 DNA 이식 중책
- 현대케미칼, 대출채권 유동화로 500억 조달
- 대웅제약, 소송 리스크 해결…신용도 '긍정적'
- 신세계건설, 소액 회사채로 'A0' 등급 사수
- SK매직, 그룹 편입 5년만에 'A+' 등급 초입
- 씨앤투스성진, '필터' 질주 시작…밸류 저평가 '매력'
김병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라스베이거스 리조트 디폴트]선순위 대주 JP모간 책임 놓고 의견 '분분'
- [라스베이거스 리조트 디폴트]투자자 소송 불사 강경대응…핵심 쟁점 '재무실사'
- 금호리조트 품을까…금호석화 이사회에 쏠린 눈
- 롯데케미칼 참전 JSR 사업부 인수전, 흥행할까
- 키네마스터 매각, 잇딴 러브콜에 흥행 기대 점증
- 뉴딜펀드 숏리스트 발표…부문별 희비 뚜렷
- 경영권 분쟁 금호석화, 금호리조트 인수 '신중모드'
- CJ로킨 인수 중국 PE 파운튼베스트에 '관심 집중'
- 키네마스터 TM 배포 시작…진성 후보 가리기 돌입
- 패색짙은 안방보험, 7조 소송전 '항소' 딜레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