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레토운용, ‘장기성과’ 앞세워 마케팅 힘준다 [인사이드 헤지펀드]‘스트로베리1호’ 4년 수익률 73%…DGB운용 출신 마케팅 전문가 영입
이민호 기자공개 2021-02-18 10:15:08
이 기사는 2021년 02월 16일 14시2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파레토자산운용이 양호한 장기 수익률을 바탕으로 펀드 마케팅에 힘을 싣는다. 이를 위해 마케팅을 총괄할 임원도 새로 영입했다.1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파레토자산운용은 최근 마케팅 총괄에 남형민 상무를 영입했다. 남 상무는 올해 1월까지 DGB자산운용에 몸담았다.
파레토자산운용이 이번에 마케팅 전문가를 영입한 것은 리테일 마케팅에 본격적으로 나서기 위해서다. 자문사에 뿌리를 둔 파레토자산운용은 기존에 확보하고 있던 일임고객 위주로 비즈니스를 진행해왔다. 2009년 6월 파레토투자자문으로 시작해 2016년 10월 전문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을 마치고 운용사로 전환했다.
전문사모운용사로 탈바꿈한 이후에도 기존 일임고객들을 펀드 수익자로 유입시키는 작업을 진행해왔다. 지난달말 기준 파레토자산운용의 일임자산 규모(계약금액 기준)는 122억원으로 줄어든 상태다. 전체 펀드설정액은 247억원이다.
파레토자산운용이 마케팅 저변 확대에 나선 것은 운용 중인 펀드의 양호한 장기 성과에 대한 자신감이 바탕이 됐다. 파레토자산운용이 전문사모운용사 전환 직후인 2017년 2월 내놓은 설정액 81억원 규모 ‘파레토 스트로베리 1호’는 지난달말 기준 설정 이후 73%가 넘는 수익률을 달성하고 있다.
그해 12월 설정한 106억원 규모 ‘파레토 체리 1호’의 누적수익률도 68% 수준이다. 특히 ‘파레토 체리 1호’는 지난해 한 해 동안 118%를 웃도는 수익률을 달성하며 전체 롱바이어스드(Long Biased)전략의 펀드들 중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
다만 신규자금 유입은 부진했다. 2017~2018년 기존 일임고객 계약해지로 운용규모가 소폭 줄었지만 신규고객 유치에는 애를 먹었다. 2017년초 535억원이었던 파레토자산운용 AUM(펀드+일임, 설정액 기준)은 2019년초 434억원으로 줄어들었고 올해초에는 369억원까지 감소했다. 이는 마케팅 전문가를 영입할 필요성을 부각시킨 계기가 됐다.
파레토자산운용은 양호한 장기 수익률을 마케팅 포인트로 개인과 일반법인 대상 리테일 마케팅에 우선 힘을 실을 예정이다. 향후 보험사나 공제회 등 금융기관에 대한 마케팅도 추진한다. 운용규모 증가나 판매사 확대 추이를 보고 마케팅 조직을 확대할 계획도 갖고 있다.
파레토자산운용은 롱바이어스드를 주력 전략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는 애초 세종증권 리서치센터장을 역임한 윤재현 대표가 증권사 애널리스트 출신 인력들을 모아 회사를 출범시켰기 때문이다. 윤 대표는 대우경제연구소에서 거시경제 분석을 담당했고 세종증권 리서치센터장 부임 이전에는 대우증권 금융팀장으로 몸담았다.
파레토자산운용 관계자는 “기존에 강점을 가지고 있던 롱바이어스드 전략 펀드를 중심으로 상품을 기획할 예정”이라며 “필요시 시장 상황을 반영해 신규펀드 출시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킵스바이오파마, 윤상배 신임 대표 합류
- [i-point]국떡, 美 특허청 상표권 등록…"글로벌 시장 본격 공략"
- '전력반도체 올인' 매그나칩, 2분기 내 DDI 철수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부·울·경 12곳 중 9곳이 적자, '빅3'도 PF 직격탄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흑자 기조 이어간 KB미얀마은행, 웃지 못하는 이유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ABL생명, 후순위채 의존도 급등…커지는 '자본의 질' 고민
- [보험사 CSM 점검]한화생명, 빅3 중 홀로 잔액 감소…효율성 악화에 발목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리테일 강자 된 인터넷은행…다음 타깃은 소호 금융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BNK캐피탈, 여신감리 기능 확대…자산 손실 최소화 목표
- [은행권 신지형도]'대형은행' 틈바구니 속, SC제일은행이 선택한 해법은
이민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조선업 리포트]HD한국조선해양 회계부문장, HD현대삼호 '비상근' 사내이사 겸직
- [조선업 리포트]HD현대삼호, '운전자본 대응' 차입 여력은
- [조선업 리포트]'수주 호조' 선수금 유입에 차입금 다 갚은 HD현대삼호
- [조선업 리포트]고선가 수주 늘린 HD현대삼호, 돋보인 수익성
- [조선업 리포트]HD현대미포 사내이사, '지주사' 재무부문장이 겸직
- [조선업 리포트]HD현대미포, 차입여력 키워주는 유형자산
- [조선업 리포트]'선수금 유입' HD현대미포, 순차입폭 줄인 비결
- [조선업 리포트]'흑자전환' HD현대미포, 배경에 수주 호조
- [조선업 리포트]'이사회 경영' HD현대중공업, 사외이사 중심 위원회 구성
- [2025 theBoard Forum]"본질적 기능 '업무감독' 강화, 이사회 진화 열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