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l Story]롯데케미칼, 조단위 수요 확보…저금리 조달은 실패지속가능 5년물 개별민평 상회
남준우 기자공개 2021-04-22 13:44:16
이 기사는 2021년 04월 21일 10시2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롯데케미칼(AA+, 안정적)이 올해 첫 공모채 수요예측에서 1조원 이상의 자금을 모았다. 3년 연속 1조원대 주문을 기록하며 당초 계획한 4000억원 증액 발행이 유력해졌다.다만 3·5·10년물 모두 개별민평 금리보다 낮은 금리를 확보하는데 실패하는 등 프라이싱 결과는 만족스럽지 않았다.
◇3년 연속 조단위 수요예측
롯데케미칼은 20일 공모채 3000억원 모집을 위한 수요예측을 진행했다. 트렌치(만기구조)별로 3년물 1000억원, 5년물 1500억원, 10년물 500억원을 모집했다. KB증권, NH투자증권, 신한금융투자, 미래에셋증권이 대표주관 업무를 맡았다. 5년물은 ESG 채권의 일종인 지속가능채권이며 한국신용평가가 사전검증 업무를 담당했다.
증권업계는 AA+ 등급 발행사인 만큼 완판은 어렵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을 제기했었다. 실제로 수요예측에서 모집액 대비 3배가 넘는 1조300억원의 주문을 받았다. 트렌치별로 3년물 4500억원, 5년물 4300억원, 10년물 1500억원의 수요가 모였다.
투자자군도 다양했다. AA+ 등급인 만큼 주요 연기금과 각종 중앙회, 자산운용사 등이 골고루 참여해 매입 경쟁을 벌였다.
2019년 진행했던 수요예측에 이어 세번 연속으로 조단위 주문을 받았다. 롯데케미칼은 2019년 3·5·10년물 3000억원 모집에 1조1913억원의 주문을 받았다. 2020년에도 3·5년물 2000억원 모집에 1조100억원의 주문을 받은 바 있다.
◇지속가능채권, 증액 기준+8bp 주문 마감
롯데케미칼은 3·5·10년물 가산금리밴드를 모두 개별민평 대비 '-30~+30bp'로 제시했다. 롯데케미칼은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최대 4000억원까지 증액 범위를 설정했다.
다만 시장에선 트렌치별로 25~27bp 수준에 불과한 국고채와 롯데케미칼 금리 스프레드를 거론하며 기관 투자자가 -30bp 구간부터 공격적으로 주문에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제기했다.
실제로 기관은 개별민평 금리 대비 파(par) 수준을 중심으로 매입 주문을 넣었다. 그 결과 3년물은 0bp, 5년물은 +6bp, 10년물은 +5bp에서 모집액을 다 채웠다. 모집액이 1500억원으로 가장 많고 ESG 채권 형태로 찍힌 5년물의 오버금리 낙찰이 두드러졌다.
롯데케미칼은 지속가능채권을 최대 2000억원까지 증액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지속가능채권은 증액 기준으로는 +8bp에서 주문을 마감했다. 작년에 코로나19 사태에도 3·5년물 모두 +1bp를 가산금리로 확정한 것을 감안하면 다소 아쉬운 결과물이다.
20일 기준 국내 4대 민간채권평가사들이 책정한 롯데케미칼 5년 만기 회사채 개별민평 금리는 1.835%다. 발행일까지 금리 수준이 유지된다면 지속가능채권은 증액 기준으로 1.9%대의 금리를 확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수요예측을 진행한 AA+ 등급 발행사 5년물 금리보다는 10~15bp 가량 높다.
롯데케미칼은 지속가능채권으로 조달하는 자금을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한 사업에 사용한다. '폐플라스틱 가스화·재이용'에 2000억원을 투자한다. 나프타(Naphtha)를 분해해 플라스틱 원료를 수급하는 공정 방식을 친환경 LPG로 대체하는 사업에도 1497억원을 사용할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한양학원 급한불 끈다…OK금융서 450억 주담대 실행
- 한양증권 매각, 차입 상환 압박 속 대체 카드는
- CJ프레시웨이, '효율화 방점' 프레시원 합병 결정
- [i-point]한컴, '2025 재팬 IT 위크 스프링' 참가
- [NPL 경영분석]800억 환입에 순익 4배…대신F&I, '나인원한남 효과'로 도약
- [보험사 CSM 점검]메리츠화재, 보수적 계리정책이 견인한 잔액 증가
- [신협 부실여신 관리 점검]'PF 후폭풍' 신협중앙회, 위기대응 역량 '시험대'
- 우리금융캐피탈, 디지털 영업 경쟁력 강화 사업 착수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NH농협생명, 경과조치·보완자본 뺀 손실흡수력은
- [신한금융-더존비즈온 맞손]제주은행 주가 급등한 두 가지 이유
남준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경찰공제회는 지금]'공석 1년 이상' 주요 임원직, 선임 최대 변수 '경찰청'
- 'SK스페셜티 인센' 본 SK실트론, 한앤코 인수 반길까
- [경찰공제회는 지금]'이사회 역할' 운영위원회, 조직 개편 나선다
- [영상]실트론까지 인수할까…리밸런싱 나선 SK와 한앤컴퍼니 밀월관계
- [경찰공제회는 지금]이영상 이사장 선임 완료, 주요 임원 선임 속도낼까
- '매각 난항' 한양증권, 원점 재검토 가능성 높아지나
- 원동일 에스아이플렉스 대표, 웰투시에 1000억 '재투자'한다
- '글로벌 운용사' ZCG, 첫 국내 펀딩 도전한다
- 한앤코·정광섭 CFO 또 동행, SK스페셜티 재무통으로
- KCGI·미래에셋, '중복 상장 논란' 에식스솔루션즈 엑시트 플랜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