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류시스템운용 최대 실적, 본업 성과 돋보였다 [헤지펀드 운용사 실적 분석]수수료 수입, 성장 이끌어…고유계정은 부진
윤종학 기자공개 2022-05-27 08:10:11
3월 결산법인인 밸류시스템자산운용은 지난해(2021년 4월초~2022년 3월말) 영업수익 143억원, 영업이익 83억원, 순이익 86억원 달성했다. 전년대비 영업수익은 24% 증가했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17%, 49% 늘었다. 2020년 처음으로 영업수익 세자릿수를 달성하는 등 최대 실적을 낸 데 이어 지난해에도 다시 한번 개선된 성과를 나타냈다.

실적은 수수료 비즈니스가 이끌었다. 영업수익 143억원 중 수수료 수익이 104억원으로 72.7% 비중을 차지했다. 수수료 수익은 2020년 67억원에서 2021년 104억원으로 55% 급증했다. 자산관리 수수료와 펀드 보수가 고루 성장한 덕을 봤다.
특히 펀드 비즈니스에서 운용과 성과 보수를 합쳐 79억원을 벌어들였다. 전년 대비 58% 늘어난 수치다. 밸류시스템자산운용의 펀드 수탁고는 2020년 3169억원에서 2021년 3843억원으로 21.2% 불어났다. 사모펀드 시장이 위축된 상황에서도 꾸준히 신규 펀드를 출시하며 수탁고를 키웠다.
'밸류시스템 STORM 일반 사모투자신탁'과 '밸류시스템 Contrarian 일반 사모증권투자신탁' 등 지난해 결산이 돌아온 2020년 설정 펀드들의 누적수익률은 40%를 넘어섰다. 밸류시스템자산운용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수탁고 증가에 따른 운용 보수가 늘고 2020년 설정돼 결산이 돌아온 펀드들에서 성과 보수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펀드에 비해 규모가 작지만 투자일임과 투자자문 수수료도 큰 성장폭을 보였다. 투자일임 수수료는 15억원에서 23억원으로 51% 늘었고, 투자자문 수수료도 3000만원에서 9000만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투자일임과 투자자문 계약고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같은 기간 투자일임 계약고는 1961억원에서 2321억원으로, 투자자문 계약고는 41억원에서 197억원으로 불어났다. 펀드와 투자일임 수탁고가 동시에 불어나며 전체 수탁고는 6000억원을 넘어섰다.
반면 지난해 고유계정 투자 성과는 다소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평가 및 처분이익은 2020년 46억원에서 지난해 28억원으로 37% 감소했다. 밸류시스템자산운용은 공모주 투자와 상장, 비상장 주식 직접 투자 등 크게 두가지 방식으로 고유계정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지난해 공모주 시장이 다소 위축되며 고유계정 투자 성과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해성옵틱스, 갤럭시S25·S26에 카메라 모듈 공급
- [i-point]폴라리스AI파마,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
- [WM 풍향계]리테일 경쟁 격화, 성장 전략 색깔차 'PB vs 센터'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밸류시스템, 수익률 선방…'내러티브 숏' 집중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펀더멘털 롱숏' 구도운용, 라인업 확충 박차
- [Product Tracker]쿼드운용 프로젝트펀드, 루닛 하락에도 웃음짓는 이유
- [Product Tracker]NH프리미어블루 강추한 알테오젠 '쾌조의 스타트'
- [i-point]경남제약, '칼로-나이트 Relax' 출시
- 동진쎄미켐, 3세 '이종호' 경영 전면 등판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삼성전자, DX부문 발빠른 재정비 '노태문 등용'
윤종학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롯데칠성 해외사업 점검]외형성장 견인차 PCPPI, 체질 개선 과제
- 애경산업, 대표 간담회 통해 매각 검토 공식화
- [롯데칠성 해외사업 점검]'4조 매출' 시대 연 롯데칠성, 해외에서 길을 찾다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소통 방점' 롯데지주, 이동우 대표 '수익성 개선 집중' 강조
- [캐시플로 모니터]교촌에프앤비, 순익 급감에도 현금창출력 견고
- [캐시플로 모니터]동서, 현금흐름 순유출…투자·배당 전략변화 눈길
- [R&D회계 톺아보기]삼양사, 연구개발비 우상향…'스페셜티' 소재 방점
- [흥국에프엔비는 지금]'부부경영' 지배구조 굳건, 2세 승계 시동거나
- [R&D회계 톺아보기]웅진씽크빅, 지속된 연구개발비 감축…손상차손 부담 컸나
- [흥국에프엔비는 지금]'단기 중심' 부채구조 변화, 유동성 관리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