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게릭병' PRG에스앤텍 350억 시리즈 C 추진 저분자물질 희귀질환치료제 개발…박범준 대표 2017년 설립
임정요 기자공개 2022-06-27 08:27:54
이 기사는 2022년 06월 24일 15:39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저분자물질 희귀질환치료제 개발사 PRG에스앤텍(PRG S&Tech)이 350억원 규모 시리즈 C를 추진 중이다. 작년 말 120억원 규모 시리즈 B 브릿지를 완료한지 6개월만이다. 이번 C라운드에는 직전 라운드 대비 600억원 가량 상향한 약 2000억원의 프리밸류를 책정했다.PRG에스앤텍은 2017년 9월 설립된 제 21호 부산대학교 기술지주회사다. 소아조로증, 루게릭병 등에 대한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이는 환자 수 10만명 이하인 희귀난치성 질환이라 FDA에 의해 희귀의약품 개발대상으로 지정된 적응증이다. 임상 2상 완료 후 바로 신약허가 신청(NDA)이 가능하다.
PRG에스앤텍은 소아조로증(2018년), 성인조로증(2020년), 루게릭병(2021년) 치료제 파이프라인이 각각 FDA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됐다. 가장 개발이 진전된 파이프라인은 소아조로증 치료제다. 시리즈 C 조달금은 이 파이프라인의 임상 2상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회사는 최근 2022 BIO USA에 단독 부스를 차리고 19곳 남짓의 해외사와 미팅을 진행했다. 최강선 부사장, 김배훈 연구소장 포함 4명의 직원이 참석했다. 행사참여 성과로 애프터미팅(CDA)를 4개 체결했다.
최 부사장은 "시리즈 C 라운드는 3~4분기 중 마감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시리즈 A부터 꾸준히 투자해온 KDB산업은행이 리드한다"고 말했다.
PRG에스앤텍은 2019년 5월 시리즈 A에서 50억원, 2020년 10월 시리즈 B에서 100억원, 2021년 12월 B 브릿지에서 120억원을 조달했다. 회사의 주요 FI는 KDB산업은행, BNK벤처투자, 유니온투자파트너스, 플래티넘기술투자 등이다.
한편, PRG에스앤텍 창업자는 부산대 분자생물학과 종양학연구실 박범준 교수(대표)다. 박 대표는 고려대 세포생물학 박사, 국립보건연구원 박사 후 연구원, 서울대 단백질 합성 연구그룹의 선임연구원을 지냈다.
회사 직원은 26명이다. 주요 C레벨 임원진은 박홍균 전략총괄(CSO·전무)과 최강선 운영총괄(COO·부사장), 김배훈 연구소장이다. 박 전무는 테크인베스트라는 회사를 창업해 기술회사들의 시드펀드부터 정부과제까지 액셀러레이팅한 경험이 있는 기술사업화 전문가다. 최 부사장은 종근당에서 약 19년간 연구 및 CMC 생산을 맡은 인물이다. 김 연구소장은 고려대 미생물유전학·분자생물학 박사를 밟고 이후 미국 예일대에서 16년간 세포자가면역을 연구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스와니코코, 네이버쇼핑 인기 검색어 1위 달성
- 설립 5년 코메스인베, AUM1600억…올해 600억 결성
- [VC 투자기업]제이제이앤컴퍼니스, 해양플랜트 솔루션 활용 북미 진출 시동
- 오리엔트바이오, 1분기 흑자전환…'분기최대 영업익'
- 신금투, 주관계약 '10년차' 대성하이텍 결실맺었다
- 투자 혹한기 뚫은 직방, 1500억 자금 조달 뒷배는 '산은'
- [원전산업 체인 점검]오르비텍, 매출 성장 비결 'HP·ISI 양쪽 날개'
- NHN, 자사주 소각으로 주주환원 빅스텝
- SK텔레콤, 5G 리더십·플랫폼 다 잡았다
- 하나마이크론, 비메모리 테스트·기술 전문성 확장에 방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