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O Change]수협은행, 재무 안정성 '단계적 강화' 추진한다[thebell interview]도문옥 수석부행장 "내실 다지기 차원의 재무 역량 제고에 포커싱"
이재용 기자공개 2024-12-27 13:40:02
이 기사는 2024년 12월 26일 08시14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도문옥 수석부행장(사진)이 선임되면서 Sh수협은행의 최고재무책임자(CFO)도 바뀌었다. 수협은행의 수석부행장은 경영전략그룹장이자 CFO 역할을 겸하는 자리다. 조직의 경영전략과 재무 부문을 총괄해야 한다.CFO로서 도 수석부행장은 단계적 재무 역량 확보를 우선순위로 꼽았다. 스트레스완충자본을 가정한 보통주자본비율 관리로 내실을 다지고 내부등급법 도입을 마무리해 신용 문화(Credit Culture)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3분기 말 기준 국내은행의 평균 BIS비율은 15.85%였다. 보통주자본비율과 기본자본비율은 각각 13.33%, 14.65%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수협은행의 자본비율은 BIS비율 15.52%, 보통주자본비율 12.51%, 기본자본비율 14.32%다. 평균보다 0.33%포인트, 0.82%포인트, 0.33%포인트 낮다.
도 수석부행장은 이런 차이를 줄이기 위해 단계적 자본 역량 강화를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우선 금융당국이 주도하는 은행권 스트레스완충자본 도입은 내년 하반기 이후로 유예됐지만 자체적으로 이에 준하는 재무 역량을 확보하기로 했다.
그는 "외부 규정의 문제가 아니라 어떤 스트레스 상황이 왔을 때 결국 수협은행이 안정적으로 영업을 할 수 있는 것인가가 더 중요한 문제"라면서 "그렇기 때문에 내부 안정성을 유지한다는 측면에서 재무 안정성을 확보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트레스완충자본 제도가 도입되면 은행은 위기상황분석 결과 보통주자본비율 하락수준에 따라 최대 2.5%포인트까지 기존 최저자본 규제비율(보통주자본비율 8%)의 상향방식으로 추가자본 적립의무가 부과된다.
재무 안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내부등급법 도입을 마무리해 재무 역량을 한 단계 제고할 계획이다. 주요 시중은행과 달리 수협은행은 표준등급법을 적용 중이다. 표준등급법은 업계 평균 데이터를 기반해 위험가중자산이 많이 산출되고 자본비율도 낮게 나온다.
도 수석부행장은 "내부등급법이 도입되면 자본비율이 오를 것"이라면서도 "단지 자본비율이 올라간다는 것보다는 수협은행의 크레딧 컬쳐를 다시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킨다는 측면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내부등급법 도입으로 자본 여력이 확보되더라도 도 수석부행장은 은행 최대 과제인 비은행 계열사 M&A 등에 이를 우선적으로 활용하진 않을 방침이다. 은행의 재무 안정성 유지를 위해서다. M&A는 수협중앙회의 증자를 통해 접근한다는 것이다.
한편 도 수석부행장은 최근 임원 인사를 통해 선임됐다. 임기는 2026년 12월 10일까지 2년이다. 경영전략그룹장이자 CFO로서 종합기획부와 HR전략부, M&A추진실, 홍보실 등을 총괄한다.
1967년생인 그는 1994년 수협중앙회에 입회해 수산금융기획팀장, 해양선박금융팀장, 글로벌외환사업부장, 종합기획부장, 투자금융본부장, 지속경영추진본부장 등의 요직을 두루 거친 인물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씨아이테크, AI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 본격 진출
- 조병철의 다안바이오, 또 기술이전 지씨셀에 'CAR 항체'
- [부고]주선종(더벨 ICT1팀 이사)씨 부친상
- [원일티엔아이 IPO]밸류보다 상장 완주 방점, 오너가 지분매각 "걱정 말라"
- 우미건설, '부산 장안지구 우미린 프리미어' 견본주택 오픈
- 컨텍, 우주산업 다운스트림 최강자 지위
- [i-point]투비소프트, '2025 파트너솔루션데이' 개최
- 동서식품, '맥심플랜트' 앞세운 고객 접점 확대
- ‘후발주자’ 루미르, SAR 위성 영상 비즈니스 실현 ‘관건’
- [통신사 미디어사업 2.0]IPTV 0% 성장 시대, 신생존 전략 '선택 아닌 필수'
이재용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한화생명, 자본구조 개선 '이중과제'
- 신학기 수협은행장의 '정중동'
- [금융사 해외 전초, 제재 리스크]인니신한, 사업지주 세운다…KB는 순수지주 검토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대규모 유상증자 계획한 까닭은
- [영상]동양·ABL생명 품는 우리금융, 통합 후 유상증자 계획한 배경은
- 중대 사고 발생 금융사, 소비자보호 실태 조기 평가받는다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현대해상, 실질 손실흡수력 취약…보완자본 의존 과도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교보생명, 견조한 자본적정성…하방 압력 완화는 숙제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삼성화재, 자본의 양·질 모두 '무결점'
- [Sanction Radar]은행·증권 PD 15곳, '조단위' 공정위 과징금 처분 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