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후보군 제한 한컴, M&A 흥행 가능할까 경쟁 통한 비딩 제한돼 매각 가격 부정적 영향
이 기사는 2009년 02월 23일 09시2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글과컴퓨터의 대표적 소프트웨어(SW) ‘아래아한글’은 대한민국 국민으로 사용해 보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로 ‘국민SW’ 대접을 받는 브랜드다.
그런 한컴이 매물로 나왔다. 매각 원칙도 정했다. △외국계가 아닌 국내 인수자에 매각 △차익 목적의 투자자 제외(PEF 및 VC 등) △사업 정체성 보장 등 3대 매각 방침이 바로 그것이다.
하지만 M&A업계에서는 굳이 외국계 자본과 PEF 등이 재무적 투자자(FI)로서 참여하는 기회마저 원천 봉쇄할 필요까지 있냐는 지적이다.
무엇보다 인수 후보군이 '국내 및 전략적투자자(SI)'로 좁혀지면 입찰의 장점이 엷어진다. 자본력 있는 외국기업과 펀드의 참여가 불가능해져 흥행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를 의식해서인지 프라임그룹측은 퍼블릭 딜보다 경쟁 입찰(비딩) 없이 원매자와 직접 협상하는 프라이빗 딜로 방향을 잡았다는 관측. 하지만 프라이빗 딜에서는 가격이 만족스럽지 않을 경우 언제든 딜을 깰 수 있어 '묘안'이라고 할 수는 없다.
또 프라이빗 딜에서는 높은 가격을 받고 싶어하는 오너가 쉽게 결정을 하지 못해 시간이 지날수록 M&A 의지가 희미해지는 사례가 다반사다.
해외IB 한 임원은 “M&A는 결국 오너의 뜻에 달려 있어 셀러 마음대로일 것”이라며 “외국기업을 배제하는 식의 차단 장치를 만들어 놓게 되면 매각 주관사가 보유하고 있는 풍부한 정보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가격 요소 뿐 아니라 사업 기회 측면에서도 아쉬움이 있다. 한컴은 현재 ‘씽크프리 오피스’를 통한 웹 오피스 시장과 ‘씽크프리 모바일’ 및 ‘모바일 한글’ 등을 통한 모바일 운용시스템(OS) 시장 진출에 공을 들이고 있다. 호주 통신업체인 ‘텔스트라’와 일본 PC 소프트웨어 제조업체인 ‘소스넥스트’ 등과는 이미 제휴 상태다.
토종 SW 업체로서 해외 시장 진출에 이만큼 성장한 기업도 드물다. 즉 앞으로 경쟁상대는 막강한 자본력을 갖춘 해외SW 업체들이라는 것이다. 오라클·IBM·SAP·HP 등 다국적 기업이 최근 3년간 100여건이 넘는 M&A를 성사시키면서 몸집을 불려왔다.
다른 해외IB 임원은 “마이크로소프트(MS)사 등 해외 업체들과 제휴를 통해 세계적인 경쟁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국내 시장에만 M&A를 국한시키는 것은 다소 ‘국수주의적’으로 보인다”며 “(외국자본과 PEF가) 경영권 매각이 아닌 재무적 투자자(FI)로 들어올 수 있는 기회 정도는 열어 놓는 게 가격이나 사업 측면에서 나을 듯 하다”고 지적했다.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