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투협 조직개편, ‘운용사 지원 강화’ 방점 사모펀드·실물펀드팀 신설, ‘금투세 논란' 해결 의지
황원지 기자공개 2023-01-26 16:40:19
이 기사는 2023년 01월 26일 16:40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금융투자협회가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사모펀드팀, 실물펀드팀 등을 신설하며 헤지펀드 업계 지원에 힘을 실었다. 또 회원사 간 이해관계 조정을 위해 산업총괄부를 산업협력부로 개편했다.향후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논란에서 헤지펀드 업계 의견이 반영될지 눈길이 쏠린다. 지난해 금투세를 배당소득으로 일원화하는 개정안은 헤지펀드 업계의 근간을 뒤흔드는 뇌관으로 지적됐지만 개정안 제정 당시 헤지펀드 업계 의견은 거의 반영되지 못했다. 서유석 신임 회장이 취임 직후부터 '금투세 개편' 의지를 드러낸 만큼 향후 금투협의 행보가 주목된다.
◇자산운용사 지원 강화, ‘금투세 배당소득 논란’ 해결 주목
27일 금융투자협회는 기존 11본부(부문)에서 7본부로 조직을 슬림화하는 개편을 단행했다. 지난해 말 서유석 신임 금융투자협회 회장이 당선된 이후 첫 개편이다.
눈에 띄는 부분은 자산운용사 지원조직을 강화했다는 점이다. 자산운용부문과 부동산신탁부문을 합쳐 ‘자산·부동산본부’로 격상했다. 기존 자산운용부문 산하에는 자산운용지원 1·2부와 펀드공시팀이 있었으나, 이번 개편으로 사모펀드팀이 추가됐다. 또한 신설된 자산·부동산본부장을 전무급으로 보임해 조직에 힘을 실었다.
운용사 출신인 서 회장이 사모펀드 지원에 보다 힘을 실었다는 해석이다. 그간 금투협의 자산운용부문은 종합자산운용사와 사모펀드를 구분하지 않고 함께 관리해 왔다. 이번 개편에서 사모펀드만을 지원하는 팀이 따로 생겼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실물펀드팀 신설도 최근 사모펀드 업계의 새로운 먹거리로 떠오른 대체투자 시장을 조준했다는 점에서 비슷한 평가가 나온다.

지난해 말 개정안이 2년 유예되면서 업계 의견 청취를 통한 내용 수정 가능성이 열려 있다. 서 회장도 지난 17일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에서 “금융투자소득세 전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사모펀드의 배당소득 과세 처리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겠다”며 금투세 문제 해결을 강조한 바 있다.
◇회원사 간 상이한 이해관계…조정기능 수행 '산업협력부' 등장
이번 조직개편에서 한가지 더 눈에 띄는 점은 산업총괄부를 산업협력부로 개편했다는 점이다. 금융투자협회는 “업권 간 이해상충 이슈 확대에 따라 충실한 의견수렴을 통해 조정기능을 수행하고, 협력적 관계설정을 하기 위해 개편을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금투세 논란에서 금융투자협회의 대응을 놓고 시장에서 다양한 해석이 오갔다. 금융투자협회 회원사인 증권사, 종합자산운용사, 헤지펀드 운용사의 입장이 서로 달랐기 때문이다.
헤지펀드 업계에 타격을 준 배당소득 일원화 방침은 증권사 등의 입장을 당국이 반영한 안이다. 펀드의 수익을 금융투자소득과 배당소득으로 나눠서 과세하면 증권사로서는 원천징수 시스템을 구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종합자산운용사도 헤지펀드와는 입장이 달랐다. 같은 운용사지만 공모펀드를 주력으로 하는 경우 고객이 고액 자산가가 아닌 소액 투자자다. 소액 투자자의 경우 펀드를 통한 이익이 금융투자소득이 아니라 배당소득으로 분류되는 게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개편된 산업협력부는 향후 금투세 관련 회원사 간 이해관계 충돌 등의 문제를 해소하는데 집중할 것으로 관측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장철혁, 합류 1년 만에 단독 대표…SM3.0 실행 '중책'
- '미샤' 에이블씨엔씨 매각, 숏리스트 3~4곳 '선정'
- 한국투자증권, 후순위채로 5000억 자본확충
- SK엔무브, 회사채 1.51조 수요 몰려...증액 유력
- '공모채 데뷔' 신세계건설, 수요예측서 대량 '미매각'
- 감성한 기업은행 부행장, IBK투자증권 부사장으로
- 물적분할 반대한 SK이노 주주들, SK온 IPO 찬성할까
- 소액주주와 ‘이례적’ 직접 소통, 확 달라진 SK그룹 주총
- [이사회 분석]에쓰오일, ESG위원회 신설 2년 만에 승격
- 혁신성장 재정모펀드 운용사에 '성장금융·신한운용' 낙점
황원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VIP운용 2호 공모펀드 ‘손실시 보수 0원’ 성과연동형
- 공모주 투자 명가 웰컴운용, EMP로 침체기 돌파
- [자산운용사 경영분석]웰컴운용, 증시 침체에도 그룹 편입 첫해 흑자 유지
- [PB인사이드]SK증권 PIB센터 “연착륙 속단은 금물…간접투자가 답”
- AUM '3조→20조’ BNK운용 이윤학 대표, 아름다운 퇴장
- BNK운용 새 대표에 배상환 전 메리츠운용 COO
- 유진운용, ELF식 목표달성형 펀드 출시 릴레이
- [한투운용 배재규의 1년]또다시 꺼내든 베트남 카드, 투자자 화답할까
- [한투운용 배재규의 1년]‘현상 유지’로 만족, 순이익 반등은 없었다
- [한투운용 배재규의 1년]ACE 리브랜딩 효과 언제쯤…점유율은 오히려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