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발 관세전쟁]AI 투자 전략 바뀐다…하드웨어서 소프트웨어로관세 부과 땐 생산 비용↑…딥시크 효과 맞물려 반도체 '글쎄'
고은서 기자공개 2025-02-10 10:14:19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5일 15시4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자산운용업계가 인공지능(AI) 투자 전략을 바꾸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보호무역 기조와 딥시크의 등장이 맞물리며 충격 여파가 지속되면서다. 지난해 AI 반도체와 하드웨어 기업에 집중했던 운용사들은 올해는 AI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눈을 돌리는 모양새다.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내외 주요 자산운용사들은 AI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AI 하드웨어(반도체·서버) 비중을 줄이고 AI 소프트웨어(서비스·솔루션) 기업을 확대하는 전략을 검토 중이다. 엔비디아(NVIDIA), AMD 등 하드웨어 중심 기업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기조와 반도체 공급망 변화로 인해 관세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AI 하드웨어 기업들이 받는 충격은 크게 반도체 원가 상승, 공급망 차질 등으로 나눠볼 수 있다. 우선 AI 반도체의 생산 비용이 오를 가능성이 크다. 현재 엔비디아·AMD 등 주요 AI 반도체 기업들은 미국 본사를 두고 있지만, 실제 생산은 대만 TSMC, 한국 삼성전자 등의 아시아 기업에 위탁하는 구조다.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를 본격화할 경우 미국 반도체 기업들은 반도체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다.

단순히 반도체 생산만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다. AI 반도체는 생산 이후에도 '후공정(패키징)' 과정을 거쳐야 최종 완성되는데, 이 과정 역시 대부분 아시아에서 진행된다. 후공정이란 쉽게 말해 반도체 칩을 보호하고 연결할 수 있도록 최종 형태로 가공하는 과정인데, 이 작업이 대만·한국·중국 등 아시아 국가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관세가 부과되면 AI 반도체 기업들의 후공정(패키징) 비용이 증가해 제품 가격이 오르게 된다.
운용업계에서는 이러한 흐름 탓에 AI 하드웨어보다 관세 영향을 덜 받는 AI 소프트웨어 기업들이 더 유망할 것이라고 판단하는 모습이다. 특히 AI 모델이 갈수록 발전 중인 가운데 하드웨어보다는 AI 솔루션과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기업들의 가치가 더욱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더해 지난달 27일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등장은 AI 투자 방향을 변화시키는 또 다른 요인이 되고 있다. 딥시크는 기존 AI 반도체 의존도를 낮출 수 있는 고효율 AI 모델을 발표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AI 모델 학습과 실행 비용이 줄어들면서 기업들의 AI 활용 폭이 넓어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한 운용업계 관계자는 "지난해까지는 엔비디아 같은 AI 하드웨어 업체의 독주가 진행됐다면 딥시크 효과로 AI 비용 하락이 동반될 것"이라며 "비용 절감 효과가 반영되면 AI 소프트웨어 업체들의 시장 확대와 수익성 개선이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한 해"라고 설명했다.
AI 비용이 하락하면서 애플과 삼성전자 등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이 주도권을 갖게 될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어떤 AI 모델을 탑재할지 결정권을 갖게될 수 있다는 이야기다. 김태홍 그로쓰힐자산운용 대표는 "앞으로 딥시크처럼 저비용·고효율 AI 모델이 다수 등장할 경우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이 직접 AI 선택권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하나운용 청사진, 하나금융 연금사업 '엔진' 맡는다
- [thebell interview]"붕어빵식 론칭 지양…TIMEFOLIO 정체성 우선"
- 한국증권, 기관전용 부동산 PEF 2호 조성 검토
- 루키 우영운용, 글로벌펀드 설정 '야심'
- [thebell interview]"WM 최우선 목적 '고객 행복'…맞춤형 솔루션 '핵심'"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법정관리, 운용사 임대차계약 해지 트리거?
- [신규 ETF 리뷰]배당 더한 금 투자…강세 흐름 속 출격
- [라이드플럭스를 움직이는 사람들]'퇴사율 3%' 압도적 조직력, 자율주행 국가대표 꿈꾼다
- 한투파, 450억 규모 펀드 만기 연장…성과보수 노린다
- [조각투자 톺아보기]바이셀스탠다드, STO 법제화에 회사 명운 걸렸다
고은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thebell interview]"WM 최우선 목적 '고객 행복'…맞춤형 솔루션 '핵심'"
- [신규 ETF 리뷰]배당 더한 금 투자…강세 흐름 속 출격
- 르네상스운용, '공모주플러스 2호' 펀드 론칭
- [Market Watch]"2차전지 회복 언제쯤"…운용업계 리밸런싱 '분주'
- "전문가 원팀으로 차별화, No.1 WM 달성 목표"
- [thebell note]이동근의 브이아이, '외사 색깔' 제대로 입었나
- "대체투자, 밸류업과 구조개선이 핵심"
- [얼라인표 행동주의 임팩트]정의의 사도 '절레'…행동주의 본질은 '저밸류 포착'
- [ETF 人사이드]'신한 SOL 믿을맨' 김정현 본부장, '고객 중심' 뚝심 통했다
- [얼라인표 행동주의 임팩트]JB지주 캠페인도 성사, 성공 방정식 이어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