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사분석]5년째 지속되는 CJ CGV의 자본 확충…관건은 투심금리 상단 6.1%로 지난해 대비 120bp 낮춰…단독 대표주관 KB증권
백승룡 기자공개 2025-04-23 07:59:35
이 기사는 2025년 04월 22일 07시5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CJ CGV가 1년 만에 재차 신종자본증권 발행에 나선다. 지난해 2000억원 안팎의 순손실이 발생하면서 결손금이 확대된 데 따른 움직임이다. CJ CGV는 코로나 시기였던 2020년부터 유상증자, 자본성 증권 발행 등을 번갈아 가며 해마다 자본 확충을 해나가고 있다. 다만 실적 부진이 장기화하면서 시장의 투자수요가 가장 큰 변수가 되고 있다.2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CJ CGV는 이달 29일 수요예측을 거쳐 400억원 규모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할 예정이다. 만기는 30년이지만 발행일로부터 2년 뒤 콜옵션(조기상환권) 조건이 붙는다. 공모 희망금리밴드 상단은 연 6.1%를 제시할 예정이다. CJ CGV는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최대 800억원까지 증액 가능성을 열어뒀다. 주관업무는 KB증권이 단독으로 맡았다.
CJ CGV의 자본 확충은 코로나 국면이었던 2020년부터 해마다 이뤄지고 있다. 2020년 유상증자를 단행해 2209억원을 확보한 CJ CGV는 이듬해 후순위 전환사채(CB) 3000억원, 신종자본증권 1600억원을 각각 조달했다. 이어 2022년 후순위 CB로 4000억원, 2023년 유상증자로 4153억원을 차례로 확충했다. 지난해에는 1200억원 규모 신종자본증권을 찍은 데 이어 올해 재차 신종자본증권 발행에 나선 것이다.
CJ CGV가 매년 자본 확충에 나서는 까닭은 코로나19 이후로도 순손실 기조가 지속된 탓이다. CJ CGV의 연결기준 당기순손익은 △2020년 -7516억원 △2021년 -3388억원 △2022년 -2145억원 △2023년 -1234억원 △2024년 -1755억원 순으로 매년 적자다. 지난해 영화관 관객 수가 1억2313만명으로 2019년(2억2668만명) 대비 절반 가까이 감소하는 등 엔데믹 이후로도 영화관 관람 수요가 회복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CJ CGV의 실적 부진이 장기화되면서 시장에서 투자수요를 확보하는 것도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지난해 1200억원 규모 신종자본증권 공모에 나선 CJ CGV는 240억원의 투자수요를 모으는 데 그쳤다. 나머지 900억원 이상의 물량은 주관 증권사들이 떠안았다. CJ CGV의 순손실 규모가 확대된 상황에서 이번 신종자본증권 발행액이 지난해 대비 오히려 줄어든 것도 투자수요를 확보하는 것이 녹록지 않은 영향이다.
이번 단독 대표주관을 맡은 KB증권은 비우호적인 분위기 속에서도 ‘상단 6.1%’라는 공격적인 조건을 제시하면서 딜을 꿰찬 것으로 전해진다. 이는 지난해 3월 CJ CGV의 신종자본증권 금리가 연 7.3%로 정해진 것에 비해 120bp(1bp=0.01%포인트) 낮아진 조건이다. 그 사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인하 폭(75bp)에 비해서도 크게 낮아졌다.
IB업계 관계자는 "CJ CGV의 실적 부진과 자본시장을 활용한 자본 확충이 반복되면서 시장의 피로도가 다소 높아진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만기가 남아있는 CJ CGV의 신종자본증권 유통금리 수준이 7%를 웃돈다"며 "이번 CJ CGV의 6% 초반 수준 희망금리밴드는 시장의 눈높이보다 상당히 낮은 금리라 수요예측 결과를 관심있게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대동모빌리티, 로봇 프로덕트 총괄로 강성철 박사 영입
- [Red & Blue]'실적 우상향' 삼륭물산, 탈플라스틱 공약 모멘텀 부각
- 현대차그룹, 적자 포티투닷 '美 드론 자회사' 청산
- [영상]금감원 넘은 차바이오텍 유상증자, 주요 사용처는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코인 POLA 결합한 노트필기앱 ‘폴라노트’ 공개
- [옵트론텍 줌인]미국 완성차 제조사 양산 결실, 미·중 무역갈등 ‘반사이익’
- [i-point]아이즈비전, 가족·친구 결합 필요 없는 '솔로 결합 서비스' 출시
- [i-point]딥노이드, 연세대 공대와 의료영상·AI 공동 연구 협약
- 넥슨 오너일가의 달라진 배당금 셈법
- [소부장 2세 시대 개막]한미반도체, '17년 만에 회장' 곽동신 체제 순항
백승룡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발행사분석]5년째 지속되는 CJ CGV의 자본 확충…관건은 투심
- [Deal Story]SK이노 회사채 투자수요 1.7조…모든 만기 '오버' 금리
- [증권사 생크션 리스크 점검]발행어음 인가 앞둔 메리츠, 5년새 제재 11건
- 사모펀드 투자기업 투심 '싸늘'…쌍용C&E 조달금리 5% 육박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롯데카드 카드채권 부실 여부에 시장 '예의주시'
- 키움증권, 카카오뱅크와 손잡고 투자자 저변 넓힌다
- [Deal Story]CJ대한통운 AA+급 금리로 회사채 완판…연기금도 '베팅'
- [판 바뀐 종투사 제도]대대적 손질…모험자본 확대·건전성 강화 '방점'
- [Deal Story]SK네트웍스, 렌터카 매각에도 공모채 투심 견조했다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메리츠증권, CP 200억 셀다운…VVIP에 팔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