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사, IDT 인수 덕 실적 개선…벌크업 이끌 'CCO 영입' 독일 자회사로 적자 폭 절반 감소, 현지 신규 인력 배치
김혜선 기자공개 2025-05-14 08:38:44
이 기사는 2025년 05월 13일 16시49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SK바이오사이언스가 구상한 수익성 회복 전략의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 인수 당시 적자였던 IDT 바이오로지카가 흑자 궤도에 오르면서다. 올해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IDT 바이오로지카에서 비롯됐다.별도 실적으로 보면 여전히 정체국면이지만 IDT 바이오로지카를 통한 체질개선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작년 말 독일 현지 공장 공장장을 새로 영입했고 올해는 고객 유치를 위한 CCO(최고상업책임자)를 채용하기도 했다.
◇IDT 인수로 매출 7배 키워, 신규 선임 공장장 역할
SK바이오사이언스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1546억원을 기록했다. 작년 동기 223억원과 비교해 대폭 늘어난 수치다. 같은 기간 영업손실은 281억원에서 151억원으로, 당기순손실은 137억원에서 75억원으로 축소됐다.
매출을 대폭 늘릴 수 있던 배경은 독일 위탁개발생산(CDMO) 법인 IDT 바이오로지카 덕분이다. 코로나 엔데믹 이후 매출 공백에 대한 고민이 많던 상황에서 작년 10월 IDT 바이오로지카 인수를 결정했다. 2630억원을 투자해 지분 60.6%를 확보했다.

인수효과는 즉각적이었다. IDT 바이오로지카는 올해 1분기 기존 고객의 추가 발주 효과 덕에 1183억원의 매출을 창출했다. 이는 1분기 SK바이오사이언스의 연결 전체 매출액의 76.52%에 달하는 금액이다. 작년 전체 매출의 절반에 달하는 매출을 단 1분기만에 벌어들였다.
앞서 IDT 바이오로지카의 인수를 발표할 당시만 해도 시장의 시선은 달갑지 않았다. SK그룹 내 CDMO 사업을 영위한 SK팜테코가 있기 때문에 계열사 간 중복 사업 우려가 제기됐다. 특히 IDT 바이오로지카가 막대한 시설 투자로 인해 적자가 지속되고 있던 상황에서 인수한 터라 효익에 대한 의문도 있었다.
하지만 양사 시너지에 대한 우려는 개선된 실적으로 증명하고 있다. 인수 직후인 작년 4분기 IDT 바이오로지카의 영업이익은 22억원에 그쳤다. 그러나 올해 1분기에는 영업이익 112억원을 기록하면서 SK바이오사이언스의 별도 기준 영업손실 228억원의 절반가량을 상쇄했다.
◇공장장 이어 CCO 영입, IDT 기반 모달리티 확장 계획
IDT 바이오로지카로 실적 효과를 본 SK바이오사이언스는 넥스트 전략을 펼친다. 작년 12월 IDT 바이오로지카에 신규 공장장을 선임하면서 운영 효율화를 이뤄냈다면 올해는 확장 전략이다.
올 초 신규 수주를 유치할 인물도 영입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3월 1일 페데리코 폴라노(Federico Pollano) CCO를 영입했다. 현재까지 IDT 바이오로지카는 안재용 사장, 샐리 최 본부장 등 SK바이오사이언스 인물이 중심이 되며 경영을 이끌어 왔지만 CCO는 독일 현지 인물로 영입했다.
페데리코 폴라노 CCO는 20년 이상 CDMO 기업에 몸담은 인물이다. IDT 바이오로지카로 이적하기 직전까지 독일 렌트슐러바이오파마 비즈니스 개발 담당 수석 부사장으로 재직하며 영업과 고객 서비스 관리 노하우를 쌓아왔다. IDT 바이오로지카 측은 페메리코 폴라노 CCO의 전문성을 높이 평가했다는 설명이다.

IDT 바이오로지카 공장의 가동률 끌어올려야 한다는 점에서 페데리코 폴라노 CCO의 임무가 막중하다. 코로나19가 성행하던 2022년 독일 현지 공장의 가동률은 70.7%에 달했다. 그러나 이듬해 45.9%로 낮아졌고 작년에는 34%에 그쳤다. 올해 1분기 가동률은 아직 공개하지 않았지만 최대한 많은 수주 계약을 성사해 생산량을 늘려야 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변화를 겪은 IDT 바이오로지카를 활용해 독일 현지에서 백신 생산 거점을 구축할 계획이다. 현재 독감과 대상포진·수두·장티푸스 등 SK바이오사이언스의 주력 제품을 IDT 바이오로지카로 기술이전해 생산하는 방안을 구상 중이다. 여기에 IDT 바이오로지카를 중심으로 mRNA(메신저리보핵산)을 비롯한 신규 모달리티 확장을 추진할 방침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 관계자는 "신규 CCO 후보를 물망에 올려 현지 인물을 중심으로 섭외했다"며 "IDT 바이오로지카가 보유한 가용시설을 활용해 사업 영역을 넓힐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강구 중"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펀딩 오버부킹' 니케PE, LKS 인수 본계약 체결 목전
- [퍼포먼스&스톡]현대리바트, 'B2C 기대감 유효' 손익 개선 시그널
- [영상]롯데손보 후순위채 조기상환권, 금융당국은 왜 막았을까
- [영상]코오롱, 내셔널타이틀 '한국오픈' 격전지 우정힐스 매물로 내놨다
- [i-point]감성코퍼레이션, 분기 최대 실적 재차 갱신
- [코스닥 CB 프리즘]대주주 CB 물량 떠안은 엔투텍, 만기 앞두고 '희비교차'
- [i-point]엔켐, 세계 최대 이차전지 전시회 'CIBF 2025' 참가
- [i-point]노을, 국제 세포병리학회서 자궁경부암 솔루션 AI 성능 공개
- [i-point]비트맥스, 자회사 아이엘포유 흡수합병
- 삼성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연간배당률, 일본리츠 '추월'
김혜선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돈버는 SK바이오팜, 美 직판 '규모경제' 묘수 기술도입 예고
- SK바사, IDT 인수 덕 실적 개선…벌크업 이끌 'CCO 영입'
- [BIO KOREA 2025]엑소좀 첫 임상 에스엔이바이오 "플랫폼 확장 가능성"
- [BIO KOREA 2025]'첫 내한' 베링거 글로벌 BD, 관심 모달리티는 'TCE·ADC'
- [BIO KOREA 2025]'오작교' 크로스보더, 데이터·상업화 탄탄 기업 관심
- [BIO KOREA 2025]파트너링 DNA 노보노디스크, 국내서도 '대사질환' 발굴
- [BIO KOREA 2025]스탠다임, IPO 허들 '사업성' 묘수는 '파트너십과 플랫폼'
- '파스명가' 신신제약, ETC 패치제 집중…뒷받침은 '건기식'
- '돈 버는 바이오' 베르티스, 커지는 '피부 노화' 시장도 공략
- [제약바이오 R&D 인사이더스]비보존 후속 자신감 원천, "R&D 전주기 아우르는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