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치인베스트 대표 퇴사, '유아짱' 투자실패 때문" 유아짱에 30억~40억 투자… 회선료 미납으로 서비스 중단 위기
강철 기자공개 2012-09-26 17:06:30
이 기사는 2012년 09월 26일 17시0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김태원 메디치인베스트먼트 대표의 퇴사가 전제완 프리챌 창업자가 설립한 영상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업체 '유아짱' 투자 실패에 따른 문책성 인사라는 의견이 제기됐다.26일 벤처캐피탈 업계 관계자는 "메디치인베스트먼트가 유아짱에 30억~40억 원을 투자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유아짱이 최근 회선 사용료를 납부하지 못해 서비스 중단 위기에 처하는 등 어려움에 처하자 메디치인베스트먼트 대주주가 투자를 주도한 김태원 대표에게 책임을 물어 해임 조치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메디치인베스트먼트는 지난해 말부터 운용 중인 2개의 조합과 고유계정을 통해 약 30억~40억 원을 투자해 유아짱이 발행한 상환전환우선주(RCPS) 7000주 가량을 인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영상 SNS '짱라이브'를 운영하는 유아짱은 운영자금 및 회선 사용료 마련 목적으로 2010년부터 올해 6월까지 13차례에 걸쳐 유상증자를 실시해 총 130억 원을 조달했다. 엠벤처투자를 포함한 4~5곳의 벤처캐피탈도 메디치인베스트먼트와 함께 RCPS를 인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김 대표가 전제완 대표가 프리챌에 있을 때부터 맺어온 인연으로 유아짱 투자를 검토하게 됐을 것"이라며 "김 대표를 통해 다른 벤처캐피탈들도 20~30억 원 규모로 투자를 진행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유아짱은 지난 11일 짱라이브 홈페이지에 서비스 잠정 중단과 짱라이브 인수자를 찾는 공지문을 게재했다. 추가 자금 조달 실패로 KT와 LG유플러스에 지급해야 할 회선 사용료의 연체가 지속되면서 더 이상 서비스를 유지할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KT가 한시적으로 회선 사용을 유지해주기로 하면서 최근 일부 서비스를 다시 시작했으나 계속되는 자금난으로 경영 정상화가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김 대표는 사직서를 제출한 이후 휴식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메디치인베스트먼트의 최대주주(90%)인 반도체 재료 제조업체 에스앤에스텍은 현재 후임 대표이사를 물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 대표는 네오플럭스과 마그나인베스트먼트를 거쳐 2011년 4월부터 메디치인베스트먼트 대표이사를 맡아왔다. 네오플럭스 재직 시절 에스앤에스텍의 발굴과 기업공개(IPO)를 담당했다. 대표이사직에 오른 지 4개월 만에 공공기관 자금 없이 2개의 조합을 결성하며 운용자산(AUM)을 145억 원으로 늘리는 수완을 발휘하기도 했다.
시장 관계자는 "벤처투자 업무에 익숙하지 않은 최대주주와 투자 업무를 함께 하는 과정에서 마찰이 발생하면서 김 대표 스스로 퇴사를 결심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제이엘케이, ‘메디컬 AI 얼라이언스’ 출범식 개최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투자자간 셈법 엇갈린다
- 카카오, '11조 몸값'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추진
- [i-point]대동, 우크라이나 농업부와 미래농업 기술 지원 협력 논의
- '위기를 기회로' 탑코미디어, 숏폼 올라탄다
- [thebell interview]임형철 블로코어 대표 “TGV로 글로벌 AI 투자 확대”
- [VC 경영분석]유안타인베, '티키글로벌' 지분법 손실에 '적자 전환'
- [VC 경영분석]성과보수 늘어난 CJ인베, 줄어드는 관리보수 '과제'
- [VC 경영분석]'첫 성과보수' 하나벤처스, 모든 실적 지표 '경신'
- [VC 경영분석]SBVA, '펀딩·투자·회수' 선순환…'당근' 성과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