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4년 07월 10일 08:32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에 상장지수펀드(ETF)제도가 도입된 지 12년이 지났다. 일반 주식형펀드보다 비용이 싸고, 운용이 투명하고, 분산투자가 가능하고, 시황의 변화에 신속 대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바탕으로 매년 40%씩 성장해 왔다.그러나 외화내빈이다. 시장 규모가 급속히 커지고 국내 시장의 ETF 수는 161개로 아시아에서 가장 많지만,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는 ETF는 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한국거래소가 동일지수의 중복상장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세우자, 자산운용사들이 앞다투어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개발해 내놓았지만 대부분은 거래가 거의 없고 규모도 작은 자투리 ETF로 전락했다.
거래소는 고민을 거듭하다 올 초 '소규모·저유동성 ETF의 관리종목 지정 및 상장폐지 제도'를 도입했다. 투자자 보호뿐 아니라 자투리 펀드를 없애 ETF 시장의 질적 향상을 꾀하겠다는 의도였다. 최근 6개월 간 신탁원본액 또는 순자산총액이 50억 원 미만인 종목이거나 일평균 거래대금이 500만 원 미만인 종목들을 선별해 상장을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거래소는 지난 4월부터 매달 관리종목 지정이 우려되는 종목들을 선정해 해당 운용사들에게 통보했다. 일종의 경고 메세지인 셈이었다. 한 운용사 CIO는 "ETF의 상장폐지가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니다"라며 "시장에서 외면받는 상품은 없어져야 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하지만 운용사들은 관리종목 지정일을 하루 앞두고 '일시적 관리'를 통해 상장폐지 사유를 모두 해소시켰다.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경우 운용사는 신뢰도가 하락하며, 선점했던 지수를 뺏기게 된다. 이를 피하기 위해 운용사들은 자체 운용펀드에서 일시적으로 자금을 ETF로 옮기거나, AP·LP들을 독려해 자금을 끌어모았다. 4월 1차로 선정됐던 관리종목 우려 대상이 25개였지만, 결국 모든 종목들이 지난 달 30일 기준으로 사유가 해소돼 관리종목 지정을 면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거래소의 '관리종목 지정 및 상장폐지 제도'가 실효성이 있냐는 논란이 분분하다. 관리당국의 개입이 오히려 또 다른 '눈속임'을 만들어 내고 있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실제로 지난 달 24일 최종적으로 관리종목 지정 예고를 받았던 7종목을 살펴보면 7월 1일부터 거래량이 급감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나스닥100은 6월 30일 기준 19억 원이 넘는 거래량을 보였지만, 하루 뒤인 7월 1일 1281만 원만 거래됐다. TIGER 소프트웨어 역시 577만 원이던 거래량이 지난 2일 12만 원에 불과했다.
수요가 있는 상품들만 관리하겠다는 거래소의 취지는 분명 환영할 만 하다. 그러나 미국, 영국, 일본, 독일 등 해외의 경우를 보면 상장폐지 여부를 전적으로 운용사에게 맡긴다. 다만 금융당국은 철저한 절차를 따르도록 규정함으로 투자자 피해를 방지한다. 국내 ETF 시장의 질적 발전을 위해서 거래소가 다시 한 번 고민해야 할 이유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정철 브이티 공동대표, 140만주 매각 예고
- [i-point]시노펙스, 유튜브 통해 적극 주주 소통
- [코스닥 상장사 매물 분석]빅텐츠 인수 예고한 나노캠텍, 내실 다지기 '글쎄'
- [IR Briefing]'경영권 분쟁 일축' 에스켐 "OLED 소재 전문 공급사 도약"
- [Company & IB]SK·LG 이은 '빅 이슈어' 한화, KB증권으로 파트너십 '이동'
- 우리금융, CEO 장기 승계 프로그램 가동…후보군 면면은
- 최규옥 전 오스템 회장, 주성엔지 투자 방침 '유지'
- [한미 오너가 분쟁]'직접 소통' 약속 지킨 신동국, 소액주주연대 '지지' 화답
- [SK스퀘어 밸류업 구상 점검]인크로스, 'T딜+AI' 신성장동력 확보 속도
- [저축은행경영분석]NH저축은행, 흑자전환 지속 가운데 건전성 관리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