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가 41% "최소 100억 있어야 부자" [KB경영연구소설문조사] ③부의 기준 과거 대비 낮아져
박상희 기자공개 2016-07-06 15:42:17
이 기사는 2016년 07월 06일 11시2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의 한국 부자 중 65%는 본인이 부자라고 생각하지 않고 있으며, 한국 부자 중 41%는 최소 100억원 이상의 자산을 가져야 부자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일 KB경영연구소 '2016 한국 부자 보고서'에 따르면 금융자산 10억 원 이상 자산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중 본인을 부자라고 생각하는 비율은 35.3%로 조사됐다. 2012년 조사결과인 32%에 비해 소폭 증가한 수치다. 하지만 본인을 부자라고 생각하지 않는 비율이 2배 가까이 높았다.
|
한국 부자들의 부에 대한 기대 수준이 점차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자의 최소 기준을 100억원 이상으로 생각하는 응답은 2016년 41.3% 수준으로 여전히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2012년 68.8%에 비하면 크게 낮아진 모습이다. 구체적으로 50억~100억 원이라고 답한 비율이 37.8%로 가장 높았고, 150억~300억원으로 답한 비율이 30.3%다.
최소 기준을 300억 원 이상이라고 답한 응답 비율도 같은 기간 15.3%에서 8%로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반면 50억 원 미만이라고 답한 비율은 9.5%에서 21%로 2배 이상 증가했다.
과거에 비해 낮아진 부자들의 부에 대한 기준은 향후 목표로 하는 자산 규모의 변화에서도 파악됐다. 향후 100억원 이상의 자산을 목표로 하는 경우는 2012년 53.5%로 가장 많았으나, 2016년 32.8%로 감소했다. 30억~50억원, 50억~100억원을 목표로 하는 비중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
한국 부자들의 부에 대한 기준 변화는 현재 본인 세대의 부의 규모뿐만아니라 자녀 세대의 부에 대한 인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 세대는 나만큼 살기 어려울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과반수가 넘는 약 58%로, 총자산 규모가 높을수록 '매우 그렇다'고 인식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자녀 세대는 자수성가 하기 매우 힘들어졌다고 인식한 비율은 20%로 나타났고, ‘약간 그렇다'고 인식하는 경우까지 포함하면 73% 이상의 한국 부자들은 물려받은 재산 없이 자녀 스스로의 힘으로는 부자가 되기 힘들 것이라는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미 반덤핑관세 면한 효성중공업, 성장모멘텀 확보
- 한화에어로, 동유럽 생산 '현지화'...내년에 자금 80% 투입
- [변곡점 맞은 해운업]매각 포석?...SK해운, 몸집 줄이기 돌입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새출발' 인베니, 투자·배당이익 선순환 집중
- [에쓰오일 밸류업 점검]미래투자·수익성 저하에 줄어든 '배당인심'
- [변곡점 맞은 해운업]'HMM과 협상' SK해운, 수익성 개선 '뚜렷'
- SK엔무브의 결혼식
- 토스뱅크 청사진 '글로벌·기업'…이은미 대표 진가 발휘하나
- [보험사 CSM 점검]DB손보, 가정 변경에 1.3조 증발…잔액 증가 '거북이 걸음'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스마트저축, 비수도권 순익 1위 배경엔 '리스크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