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證, 채권형펀드 '삼성운용' 택했다 [공모펀드 판매실적 분석] ⑩ 삼성코리아단기채권, 설정액 최다 증가…한화단기국공채는 부진
서정은 기자공개 2016-08-23 11:06:10
이 기사는 2016년 08월 19일 09시1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화투자증권이 지난 상반기 단기채권형펀드를 적극적으로 판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자산운용의 삼성코리아단기채권펀드는 법인자금을 대거 흡수하며 한화투자증권에서 설정액을 가장 크게 늘렸다.법인들의 사랑을 받았던 삼성코리아단기채권펀드와 달리 한화단기국공채펀드는 쓴 맛을 봐야했다. 한화투자증권이 리테일 투자자들에게 코어펀드 중 하나로 줄곧 추천해왔지만 정작 설정액 상위펀드에는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19일 한국펀드평가에 따르면 한화투자증권의 최근(7월 1일 기준) 판매설정액 상위펀드(클래스펀드 기준)를 보면 '삼성코리아단기채권증권자투자신탁 1[채권]_Ci'의 설정액은 991억 원이었다. '한화연금증권전환형투자신탁(주식)종류C'(1766억 원)와 '신영밸류고배당증권자투자신탁(주식)I형'(1035억 원)에 이어 세 번째로 설정액이 컸다.
판매추이를 보면 한화투자증권이 올 들어 '삼성코리아단기채권증권자투자신탁 1[채권]_Ci'를 적극 취급한 것을 알 수 있다. 연초 이후 설정액 유입규모(991억 원)를 보면 2위인 '한화연금증권전환형투자신탁(주식)종류C'(40억 원)와도 큰 차이가 난다. 연기금을 포함한 기관투자자들이 안정적인 투자를 위해 'Ci'클래스로 대거 자금을 넣었다는 분석이다.
반면 한화투자증권으로부터 외면받은 채권형 펀드도 있다. 리테일 고객들에게 추천했던 '한화단기국공채증권투자신탁(채권)A'가 그 예다. 한화투자증권은 지난해부터 코어펀드 라인업 중 하나로 한화자산운용의 한화단기국공채펀드를 추천해왔다. 대기성 자금을 단기국공채펀드에 투자해 머니마켓펀드(MMF)보다 높은 수익을 노릴 수 있다는 것이 주된 이유였다.
하지만 전단채펀드 등 대체상품에 점차 밀리며 최근에는 리테일 고객들의 이목을 끌지 못했다. 상반기 말 기준 한화투자증권의 '한화단기국공채증권투자신탁(채권)A' 판매비중은 2.26%였다. 2015년 5월 4.7%까지 판매비중이 커졌으나 지난해 말 3.21%, 올 들어 2% 초반대까지 내려간 셈이다.
한화투자증권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리테일 쪽에는 채권형 및 국공채펀드로 자금 유입이 주춤한 상황"이라며 "법인이나 리테일을 대상으로 따로 특정 펀드를 마케팅하거나 추천한 펀드를 바꾼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
설정액 상위펀드 중 가장 많이 자금이 빠진 펀드는 '에셋플러스코리아리치투게더증권자투자신탁 1(주식)종류A'이었다. 최근 1년간 수익률 부진을 면치 못하자 투자자들의 환매가 일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한화투자증권의 펀드설정액은 547억 원, 판매사 중에서는 24%로 최다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현재 '에셋플러스코리아리치투게더증권자투자신탁 1(주식)종류A'의 연초 이후 및 1년 수익률은 각각 -2.76%, -5.40%다. 동종 유형 대비로는 상위 80.25%, 66.18%에 그치고 있다.
이 외에 '한화코리아레전드증권자투자신탁(주식)종류C' '신한BNPP봉쥬르차이나증권투자신탁 2[주식](종류A)'에서도 각각 10억 원, 45억 원씩 설정액이 줄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미 반덤핑관세 면한 효성중공업, 성장모멘텀 확보
- 한화에어로, 동유럽 생산 '현지화'...내년에 자금 80% 투입
- [변곡점 맞은 해운업]매각 포석?...SK해운, 몸집 줄이기 돌입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새출발' 인베니, 투자·배당이익 선순환 집중
- [에쓰오일 밸류업 점검]미래투자·수익성 저하에 줄어든 '배당인심'
- [변곡점 맞은 해운업]'HMM과 협상' SK해운, 수익성 개선 '뚜렷'
- SK엔무브의 결혼식
- 토스뱅크 청사진 '글로벌·기업'…이은미 대표 진가 발휘하나
- [보험사 CSM 점검]DB손보, 가정 변경에 1.3조 증발…잔액 증가 '거북이 걸음'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스마트저축, 비수도권 순익 1위 배경엔 '리스크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