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성건설, '새 먹거리' 정비사업 수확 본격화 [건설리포트]포트폴리오 변화 '실적개선'…수익성 개선은 '고전'
고설봉 기자공개 2017-03-06 08:14:32
이 기사는 2017년 03월 03일 15시3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서울 연고의 중견 건설사 일성건설이 정비사업을 발판으로 실적개선에 성공했다. 재건축·재개발 위주 주택도급사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삼고 수주에 열중한 지 2년여 만에 결실을 거뒀다.다만 기존 공공공사 비중이 여전히 높아 수익성 향상에는 고전하고 있는 모양새다.
일성건설은 지난해 매출 2858억 원, 영업이익 81억 원, 순이익 23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 2015년대비 매출이 23.67%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0.76% 증가했다. 반면 순이익은 37.29% 감소했다.
|
매출 증대의 일등공신은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이다. 정비사업 위주의 도급주택사업 일감을 확보, 미분양 우려 없이 안정적으로 수익을 거둬들였다. 일성건설은 2015년부터 이 분야 수주에 집중하면서 지난해 말 기준 약 1조 2000억 원의 수주잔고를 확보해 놓은 상태다.
지난해 일성건설의 주된 수익 인식 사업장은 2015년 분양한 춘천 일성트루엘 더퍼스트(후평주공2단지 재건축) 공사다. 1123가구를 짓는 단순도급사업으로 총 공사비 1770억 원 규모다. 공사가 중반부를 지나면서 공정률이 빠르게 상승했고 매출 인식이 본격화됐다. 신평촌 일성트루엘(호계동 단독주택 재건축) 공사도 본궤도에 오르며 실적개선의 원동력이 됐다.
기존 주력사업이었던 공공도급공사에서도 꾸준히 매출이 유입되며 매출 증가를 거들었다. 1334억 원 규모의 주한미군기지 이전 시설사업도 공사가 착착 진행되며 매출 기여도가 컸던 사업장이다. LH로부터 수주한 강릉유천 아파트 건설공사도 도급금액 315억 원 규모로 공정률 50%를 넘어서면서 매출 인식이 늘었다.
인프라PF 사업에 참여해 토목부문에서도 안정적인 수익을 거뒀다. 일성건설이 공동도급사로 참여한 구리-포천 고속도로 건설공사도 매출 기여도가 높았던 사업장이다. 총 도급금액은 655억 원이다.
정비사업이라는 새로운 매출처를 확보하며 매출 증대에 성공했지만 수익성 확보에는 여전히 물음표가 남는다. 지난해 일성건설의 영업이익률은 2.84%로, 2015년 3.17%대비 0.33%p 낮아졌다. 여전히 원가율이 높은 공공도급공사 비중이 월등히 높아 수익성 개선세가 더디다. 지난해 일성건설의 공공도급사업 비중은 약 65%로 집계됐다.
일성건설 관계자는 "2015년부터 정비사업 물량 수주를 많이 했다"며 "2015~2016년 착공한 사업장들에서 매출 인식이 본격화 되면서 매출액 증가를 이끌었다"고 밝혔다. 이어 "비교적 고부가가치 사업들의 착공이 올해부터 줄줄이 이어지면서 수익률도 차츰 좋아지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일성건설은 그 동안 수주했던 정비사업장들을 올해부터 순차적으로 착공할 계획이다. 지난해 말 기준 전체 수주잔고의 약 50% 가량이 정비사업으로 채워졌다. 올해 6월 1200억 원 규모 광명아파트 주택재건축정비사업 착공을 시작으로 2280억 원 규모 노원2동 주택재개발정비사업도 착공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자가면역질환 신약' 이노보테라퓨틱스, 미국 임상 1상 '성공적'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엔비디아 ‘커넥트’ 공식 파트너 선정
- [i-point]신성이엔지, 한국종합기술·다스코와 연료전지 발전사업 협약
- [i-point]신테카바이오, 'PEGS 보스턴 2025' 참가
- [AACR 2025]첫 구두발표 진씨커, 경쟁사 넘보는 '유전자가위 액체생검'
- [AACR 2025]이뮨온시아 'CD47' 안전성 굳히기 "경쟁약과 다르다"
- [AACR 2025]항암 신약 항체 대신 '페라틴', 셀레메디 플랫폼 데뷔전
- [AACR 2025]근거 쌓는 '루닛 스코프' 빅파마 공동연구 쇼케이스
- [변곡점 선 콜마비앤에이치]변화의 마지막 카드, 경영진 교체 '강수' 두나
- [변곡점 선 콜마비앤에이치]속절없는 주가 하락 '트리거', 주가 부양 의지 없었나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현대위아, 관세전쟁 여파 수익성 하락
- [GM·르노·KGM 생존기]KGM, 가동률 저하 묘수 '수출'
- [감액배당 리포트]티웨이항공, 예림당이 일구고 대명소노가 챙길 '3000억'
- [GM·르노·KGM 생존기]KGM, 여전한 과제 '재무 개선'....회사채 시장 복귀 목표
- [2025 공시대상기업집단]유코카캐리어스, 현대차 물량 업고 첫 대기업 등극
- [감액배당 리포트]제주항공, 신속한 885억 감액…배당은 못했다
- [GM·르노·KGM 생존기]부활 신호탄 쏜 KGM, 환율효과로 버텼다
- [GM·르노·KGM 생존기]수익성 바로미터 '공장 가동률' 전망은
- [thebell desk]두산그룹, 뚝심이 이긴다
- [GM·르노·KGM 생존기]르노코리아, '완전 무차입 경영' 이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