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앤피코스메틱, 예심청구 6월로 연기 [사드 후폭풍]중국 사드 보복 여파 최소화 목적…'연내 상장' 목표는 이어갈 듯
김병윤 기자공개 2017-03-17 15:12:49
이 기사는 2017년 03월 16일 10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코스닥 대어 엘앤피코스메틱이 상장 예비심사 청구를 당초 계획보다 3개월 가량 늦출 예정이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단 사드 여파에 올해 실적의 불확실성이 확대된 점을 감안하면 목표로 한 '연내 상장'은 최대한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1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엘앤피코스메틱은 올 6월 한국거래소에 예비심사를 청구할 예정이다. 당초 엘앤피코스메틱은 이달 중 예비심사를 청구할 계획이었다.
엘앤피코스메틱의 예심청구가 지연된 것은 사드 이슈에 따른 부담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비교기업으로 꼽히는 에스디생명공학의 기업공개(IPO)가 일정 조정에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엘앤피코스메틱과 에스디생명공학은 주력 제품(마스크팩)과 중국 매출 비중이 높은 사업구조 등이 유사하다.
지난 2일 코스닥시장에 입성한 에스디생명공학의 수요예측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에스디생명공학의 공모가는 밴드 하단(1만 5000원)을 하회하는 1만 2000원으로 결정됐다. 일반공모청약 경쟁률은 2.38대 1에 불과했다.
공모가에 반영된 주가수익비율(PER)은 올해 예상실적 기준 7.6배 수준으로 추정된다. 비교기업인 제닉·리더스코스메틱·에이블씨엔씨·토니모리·잇츠스킨 등의 평균 PER(16.5배) 대비 절반 수준이다. 사드 우려가 투자심리에 직접적으로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업계 관계자는 "엘앤피코스메틱이 사드 이슈를 상쇄할 만한 긍정적 이벤트를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며 "지난해 목표 실적은 달성했을 것으로 보이고 올 1분기 실적도 나쁘지 않아, 수익성으로 사드 우려를 타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엘앤피코스메틱은 지난해 목표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각각 4000억 원, 1000억 원으로 설정했다. 이는 전년 매출액과 영업이익 대비 각각 111.8%, 87.3% 증가한 수치다.
그는 "사드 여파에 올해 실적은 불확실한 측면이 큰 점을 감안하면 최대한 연내 상장은 강행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덧붙였다.
올 하반기 상장의 최대 관건은 중국의 경제 보복이 얼마나 장기화 되느냐다. 중국은 지난 15일부터 한국관광 상품 판매를 전면 금지했다. 국내를 찾는 중국 관광객이 크게 줄어드는데다, 한국 제품에 대한 중국 소비자 인식이 점차 부정적으로 변하고 있다. 중국 매출 비중이 큰 엘앤피코스메틱 입장에서는 부담이 가중되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사드 이슈는 정치권에서 비롯된 문제기 때문에 일단 앞당겨진 대선을 지켜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며 "차기 정권의 스탠스에 따라 중국의 경제 보복의 향방이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주가만으로도 확실한 환원, 미래투자 차이점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안정적 배당 추구 vs 적극적 주주환원에 '알파'도 기대
- 교보생명, 보장성 비중 축소 속 실적·CSM 동시 감소
- BC카드, 신사업 선전에도 본업 매출 축소
- 푸본현대생명, 환율 변동성에 투자부문 적자
- 코리안리, 보험계약마진 증가… 킥스비율도 우상향
- [저축은행 서민금융 리포트]정책자금대출 경쟁 붙은 지주계, 앞서가는 하나저축
- 현대캐피탈, 본업 경쟁력으로 손익 방어…사옥 매각익 반영
- [금융사 임베디드 동맹 분석]신한금융, 더존비즈온과 'ERP 뱅킹' 야심찬 청사진
- [저축은행 위험 관리 점검]페퍼저축, 2년간 대출채권 1조 매각…올해 건전성 회복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