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 정체' 서울도시가스, 믿을 건 '배당 수익' 영업이익률 0~1%대…콘티넨탈오토, 매년 300억원 이상 배당
심희진 기자공개 2017-06-23 08:03:16
이 기사는 2017년 06월 19일 15시3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서울도시가스의 수익성이 수년째 내리막을 걷고 있다. 도시가스 판매량이 줄어든 데다 사업 다각화로 추진한 자회사들이 좀처럼 자리를 잡지 못한 탓이다. 다만 미국 콘티넨탈트레이딩과 합작 투자한 자동차 전자제어 업체의 고배당 정책 덕분에 순이익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서울도시가스는 지난 1분기 매출액 5531억 원, 영업이익 174억 원을 기록했다. 2016년 1분기보다 매출액은 5%, 영업이익은 11% 감소했다.
도시가스 사업이 부진에 빠진 것이 영향을 미쳤다. 전체 매출의 98%를 차지하는 도시가스 부문은 지난 1분기 매출액 5527억 원, 영업이익 173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보다 매출액은 5%, 영업이익은 14% 감소했다.
서울도시가스 관계자는 "정부가 독점 사업권을 인정하는 대신 판매 단가를 규제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최근 공공요금 인상을 극도로 억제함에 따라 물가상승률 등이 원가에 적절히 반영되지 못하고 있어 사업성이 나빠졌다"고 말했다.
|
서울도시가스의 수익성은 2012년을 기점으로 매년 하락하고 있다. 2000년대 250억~260억 원을 기록했던 영업이익은 2012년 151억 원, 2013년 148억 원으로 줄었다. 2014년에는 반토막 수준인 74억 원까지 감소하더니 이듬해 결국 적자전환했다. 2016년까지 누적된 영업손실은 100억 원에 달한다. 한때 4%를 넘겼던 영업이익률도 0~1%에 머물고 있다.
2000년대까지만 해도 도시가스 사업은 안정적인 수익을 기록했다. 기업마다 맡고 있는 권역이 분리돼 있어 한국가스공사로부터 받은 액화천연가스(LNG)를 독점적으로 판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서울도시가스는 서울 강서구, 마포구, 관악구 등 11개 구와 경기도 파주시, 김포시 등에 도시가스를 공급하는 국내 3위 업체다.
하지만 2010년 이후 저유가 기조가 장기간 지속되면서 LNG가 가격경쟁력을 잃은 것이 실적 악화로 이어졌다. 여기에 겨울철 평균 기온이 상승한 데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전기를 난방이나 취사에 사용하는 가정이 늘어나면서 수요가 줄었다.
사업 다각화 전략이 실패한 것도 수익성에 영향을 미쳤다. 서울도시가스는 도시가스 부문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해외 자원개발, 모바일 제품 생산, 영어교육, 목재가공업, 농작물 재배업 등 다양한 분야에 진출했다. 이로 인해 서울도시가스의 매출액은 2013년까지 매년 1000억여 원씩 늘어났다. 하지만 대부분의 법인들이 이익 창출에 어려움을 겪자 서울도시가스는 부동산 임대업을 제외한 모든 사업을 철수하거나 중단했다.
|
그나마 서울도시가스의 실적을 뒷받침하고 있는 건 배당 수익이다. 매출 및 영업이익 감소에도 지난 1분기 서울도시가스의 순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6% 증가한 220억 원을 기록했다. 콘티넨탈오토모티브시스템으로부터 배당금을 두둑이 챙긴 덕분이다. 서울도시가스가 지난 1분기 콘티넨탈오토모티브시스템을 통해 확보한 배당 수익은 176억 원이다. 이는 같은 기간 벌어들인 영업이익보다 많다.
서울도시가스는 2001년 대성그룹 계열분리 당시 콘티넨탈오토모티브시스템 지분 35%를 가져 왔다. 나머지 65%의 지분은 미국 콘티넨탈트레이딩(Continental Trading GmbH)이 보유하고 있다. 콘티넨탈오토모티브시스템은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국내 자동차 업체들에 전자제어 장치를 공급하고 있다.
콘티넨탈오토모티브시스템은 벌어들인 수익의 대부분을 콘티넨탈트레이딩과 서울도시가스에 지급하고 있다. 2001년부터 15년간 콘티넨탈오토모티브시스템이 실시한 배당 총액은 약 7300억 원이다. 이 중 서울도시가스에 지급한 금액은 2600억 원가량이다. 대규모 배당 수익 덕분에 서울도시가스는 최근 2년간 영업손실을 냈음에도 200억 원대 순이익을 유지할 수 있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Korean Paper]코레일, 관세 전쟁 속 한국물 복귀전 나선다
- [유증&디테일]'초음파 DDS 선두' 아이엠지티, 임상시험 150억 조달
- 엠케이전자, '반도체 후공정 1위' ASE 어워드 수상
- [AACR 2025 프리뷰]신약 개발 속도내는 제이인츠바이오, 연구 2건 출격
- [AACR 2025 프리뷰]국내 항암 신약 투톱 유한양행·한미약품, '최다' 기록 쓴다
- 뉴로바이오젠, 6.5조 L/O에 1% 마일스톤…상업화 '관건'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한미약품, '비만약' 28억 신규 산입…내년 출시 기대감 반영
- [AACR 2025 프리뷰]항암 신약 글로벌 진출 필수 관문, 커지는 K-바이오 존재감
- 2000억 현금 보유 일성아이에스, 부동산 베팅 '요양원' 발판
- OCI홀딩스, 부광약품 '유증' 활용법 '실권주·신주증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