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 늪 탈출 포스코건설, '정상화 궤도' 진입 [건설리포트]골칫거리 플랜트 흑자전환…미청구공사 감축 '재무 안정'
김경태 기자공개 2017-08-24 08:23:46
이 기사는 2017년 08월 23일 07시1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지난해 역대 최대 수준의 적자를 기록했던 포스코건설이 올해 들어 달라진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골치를 썩였던 플랜트 사업을 흑자로 돌려세웠고 건축 사업의 선전이 이어지면서 수익성이 향상됐다. 미청구공사를 대폭 감축하는 등 재무구조도 다소 안정됐다.포스코건설의 올 2분기 누적 연결 매출은 3조3648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54% 줄었다. 영업이익은 1992억 원, 당기순이익은 1106억 원으로 각각 흑자 전환했다. 영업이익률은 5.92%다. 2007년 후 10년 만에 최고치다.
포스코건설은 지난해 브라질을 비롯한 해외 사업에서 손실이 발생하면서 최악의 성적을 거뒀다. 지난해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은 각각 5090억 원, 6782억 원에 달했다. 포스코건설은 포스코엔지니어링을 흡수합병하고 인력을 감원하는 등 뼈를 깍는 구조조정을 시행했다. 올 들어 중남미의 산토스(SANTOS)CMI 외 11개의 종속기업을 매각하기도 했다.
|
구조조정에 힘입어 플랜트사업 부문은 올 상반기 영업이익 194억 원을 나타냈다. 이 외에도 적자를 거뒀던 에너지사업 부문과 글로벌인프라사업 부문, 부동산 관련 서비스 부문이 흑자로 돌아섰고 전체 실적에 보탬이 됐다.
특히 포스코건설의 실적 개선을 견인한 것은 건축사업 부문이다. 포스코건설 역시 다른 건설사들과 마찬가지로 국내 부동산 경기 호황을 타고 주택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건축사업 부문의 올 2분기 누적 매출은 1조8860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2.2% 확대됐다. 영업이익은 1545억 원으로 43.7% 증가했다. 전체 영업이익의 77.6%를 차지하며 효자 노릇을 했다.
실적 개선과 더불어 재무구조도 좋아졌다. 대규모 손실에 따른 이익잉여금 감소로 작년 부채비율은 4년 만에 최고 수준인 203%까지 치솟았지만 올 2분기 말에는 36%포인트 하락한 166.6%까지 떨어졌다. 유동부채 중 초과청구공사가 8451억 원으로 22.3% 줄었다. 비유동부채의 비유동차입금은 1805억 원으로 36.2% 감소했다. 유동비율은 115.3%로 5.3%포인트 낮아졌다.
특히 미청구공사를 대폭 축소했다. 올 2분기 말 6720억 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18.4% 감소했다. 포스코엔지니어링을 흡수합병한 점이 영향을 미쳤다. 또 종속기업의 미청구공사도 639억 원으로 절반 정도 줄었다. 현 추세를 이어나가면 5년 연속 감축에 성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포스코건설 관계자는 "그동안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진행했고 정상화를 이루고 있다"며 "앞으로도 건축 부문을 필두로 흑자 기조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체제 관전포인트, 후임자 육성·초연결 완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조용히 확대한 카오디오 시장 입지, 점프업 꿈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
- [이사회 모니터]삼성SDI, 대표·의장 분리 '다음으로'
- '미전실 출신' 문종승 삼성전자 부사장, 공백 메우기 '전면'
- '후퇴 없는' SK하이닉스, 이사회 시스템 '또 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