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기업, SM그룹 소유 건물로 본사 이동 답십리동 13년만에 떠나 영등포 진덕빌딩에 둥지 마련…회생본부 직원, 기획·재무로 복귀
김경태 기자공개 2018-01-29 08:29:24
이 기사는 2018년 01월 26일 11시0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라마이다스(SM)그룹의 새 식구가 된 경남기업이 13년 만에 새로운 둥지로 옮겼다. 그룹 계열사들과 한 지붕 아래에서 원활히 협업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경남기업은 SM그룹 편입 후 별도의 구조조정 없이 정상화 과정을 밟고 있다.2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경남기업은 지난달 말 본사 및 서울지점을 서울 영등포구에 소재한 진덕빌딩으로 옮겼다. 경남기업은 2004년 동대문구 답십리동의 대원빌딩에 서울지점을 설치하고 본사로 활용했었다.
경남기업이 새로 자리 잡은 진덕빌딩은 SM그룹의 계열사인 우방산업(옛 진덕산업)이 소유한 건물이다. SM그룹 대부분의 계열사가 입주한 곳이다. 최근 일부 계열사들이 강서구 마곡동으로 옮겨가면서 자리가 남았고, 경남기업이 2개 층을 활용하게 됐다.
앞서 우오현 SM그룹 회장은 지난해 경남기업을 인수한 후 각별한 관심을 보였다. 직접 사내이사로 올라섰다. 보광사라는 절에서 고 성완종 회장을 위해 천도재를 지내기도 했다.
경남기업을 인수한 후 인위적인 구조조정을 하고 있지 않다. SM그룹은 그간 인수합병(M&A)을 하면 대부분 인력을 감축하고 계열사 합병을 진행했다. 경남기업도 비슷한 양상으로 전개될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었다.
현재 경남기업의 경우 별도의 구조조정 움직임이 포착되지 않고 있다. 일부 조직개편만 있었을 뿐이다. 회생절차(법정관리)를 겪는 동안 만들어진 회생본부 직원들을 원래의 자리인 기획팀과 재무팀으로 보냈다.
우 회장은 현재까지 경남기업 임직원들에게 구조조정에 대해 언급을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SM그룹의 새 식구가 됐으니 정상화를 위해 함께 노력해 보자고 한 것이 전부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SM그룹이 인수한 후 경남기업에서 인위적으로 퇴직한 사람은 현재까지 없다"며 "이전 M&A와 달리 계열사 합병에 대한 얘기도 나오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저축은행경영분석]굳건한 1위 SBI저축, 돋보인 '내실경영' 전략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iM라이프, 4달만에 후순위채 또 발행…힘에 부치는 자력 관리
- [저축은행경영분석]J트러스트 계열, 건전성 개선 속 아쉬운 '적자 성적표'
- 한국소호은행, 소상공인 금융 혁신 이뤄낼 경쟁력 세가지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하나은행, 함영주 회장 2기엔 글로벌 사업 힘 싣는다
- [여전사경영분석]현대캐피탈, 친환경차 리스 중심 영업수익 확대…순익은 감소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우리은행, 동남아 3대 법인 '엇갈린 희비' 출자 전략 영향은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NH농협캐피탈, 부실위험 사전 통제 중점…그룹과의 협업은
- [이사회 분석]신한카드, 일본계 주주 영향 속 사외이사 2인 교체
- [은행권 신지형도]어느덧 10년 맞은 인터넷전문은행, 시장 판도 변화는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체제 관전포인트, 후임자 육성·초연결 완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조용히 확대한 카오디오 시장 입지, 점프업 꿈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
- [이사회 모니터]삼성SDI, 대표·의장 분리 '다음으로'
- '미전실 출신' 문종승 삼성전자 부사장, 공백 메우기 '전면'
- '후퇴 없는' SK하이닉스, 이사회 시스템 '또 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