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證, 여의도 1사옥 입찰 연기 '저울질' 제2사옥, 삼정KPMG·나이트프랭크 컨소시엄 매각주관 선정…동시 매각 검토
김경태 기자공개 2018-07-31 07:45:11
이 기사는 2018년 07월 27일 11시5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메리츠종금증권이 서울 여의도에 있는 제1사옥 매각을 연기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제2사옥(옛 아이엠투자증권 빌딩) 역시 매각하기로 가닥을 잡으면서 일정 변경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27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매각주관사 삼정KPMG·나이트프랭크 컨소시엄은 내달 10일로 예정된 메리츠종금증권 제1사옥 입찰 연기를 준비하고 있다. 최근 메리츠종금증권이 제2사옥 매각 작업에 돌입한 점이 영향을 미쳤다.
제2사옥은 메리츠종금증권이 2015년 아이엠투자증권을 합병하면서 취득하게 된 건물이다. 올해 6월경에 제1사옥 매각 작업에 돌입했을 때만 해도 제2사옥 매각은 확실히 정해지지 않았았다. 그러다 최근 삼정KPMG·나이트프랭크 컨소시엄에게 제2사옥 매각주관도 맡기기로 하면서 급물살을 타게 됐다.
애초 제1사옥 매각 후 제2사옥을 파는 방안이 제기됐지만, 현재 2곳을 동시에 매각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돼 입찰 연기가 검토되고 있다. 제1사옥은 지난주 월요일부터 잠재적투자자 40여곳에 IM 발송이 완료된 상태다. 반면 제2사옥의 경우 매각주관사만 선정한 상태로 투자설명문(IM) 배포 등의 절차가 이뤄지지 않아 입찰을 진행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
최근 여의도 오피스 매매를 고려할 때 메리츠종금증권이 2곳의 동시 매각을 성사시키면, 1000억원 이상의 자금을 확보하게 된다. 이 자금은 통합사옥 이전을 위해 지출될 전망이다. 통합사옥 후보군으로는 전경련회관과 IFC 등 여의도 프라임오피스가 거론되고, 신축 가능성도 제기된다. 메리츠종금증권은 최근 대형증권사로 발돋움하면서 임직원 공간 부족을 경험했다. 흩어진 인원을 통합사옥으로 집결시켜 업무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에이루트, 무상감자 결정
- [i-point]샌즈랩, 지식재산 경영인증 획득… IP 포트폴리오 강화 박차
- [i-point]한컴케어링크, 3년 연속 질병관리청 생산 과제 수행기관 선정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주가만으로도 확실한 환원, 미래투자 차이점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안정적 배당 추구 vs 적극적 주주환원에 '알파'도 기대
- 교보생명, 보장성 비중 축소 속 실적·CSM 동시 감소
- BC카드, 신사업 선전에도 본업 매출 축소
- 푸본현대생명, 환율 변동성에 투자부문 적자
- 코리안리, 보험계약마진 증가… 킥스비율도 우상향
- [저축은행 서민금융 리포트]정책자금대출 경쟁 붙은 지주계, 앞서가는 하나저축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ompany Watch]'쉼 없는 공장가동' 삼성메디슨, 소니오 정상화는 '요원'
- [Company Watch]삼성D, 코닝 주식 매각 '복잡해진 셈법'
- LK삼양, 신제품·신성장동력 힘 가시화 '반전 집중'
- SK, SK마리타임 합병 관련 조세심판 기각
- [삼성 빅딜 리부트]여유 없는 매도자 상황 노린 '영리한' M&A
- [삼성 빅딜 리부트]국내는 좁다…8년만 대형 M&A도 '크로스보더'
- [미국 로비활동 점검]삼성SDI 미국법인, 인하우스 조직 '분주'
- 크레센도, HPSP 리캡 'LP 중간회수·제값받기' 포석
- [IR Briefing]'저점 확인' 카카오, 비핵심사업 정리·슈퍼앱 진화 초점
- 하만에 오디오사업 판 마시모, 매각대금 '주가 부양' 투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