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운용, 채권형펀드 힘실렸다…1.9조 '증가' [자산운용사 경영분석]②전체 펀드 설정액 9조 돌파…사모펀드도 '선전'
이민호 기자공개 2019-03-21 14:27:39
이 기사는 2019년 03월 18일 14시0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지난해 유진자산운용의 집합투자기구(펀드) 설정액이 9조원을 돌파했다. 채권형펀드 설정액이 큰 폭으로 늘어난 영향이 컸다. 일임계약 자산총액도 2017년 말보다 1000억원 이상 늘리며 선전했다.18일 유진자산운용 영업보고서에 따르면 유진자산운용의 지난해 말 집합투자기구 설정액은 9조269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19.3% 늘었다. 2015년 말 3조8876억원을 기록했던 집합투자기구 설정액은 2016년 말 5조9401억원, 2017년 말 7조7698억원으로 꾸준히 늘어왔다.
|
펀드 유형별로는 채권형의 설정액 증가가 두드러졌다. 채권형 설정액은 4조1771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89.6% 늘었다. 전체 집합투자기구 설정액에서 채권형이 차지하는 비중도 45.0%로 늘어났다. 대표 펀드인 '유진챔피언단기채증권자투자신탁(채권)' 설정액이 3조2525억원으로 지난해에만 1조6164억원의 자금을 유입했다. 채권형펀드가 다수 신규 설정된 것도 한 몫을 했다. '유진챔피언코리아중단기채증권투자신탁[채권]'과 '유진챔피언중단기채증권자투자신탁(채권)'이 지난해 신규 설정돼 연말까지 각각 637억원과 542억원의 자금을 끌어모았다.
주식형 설정액은 소폭 늘어나는 데 그쳤다. 주식형 설정액은 전년 말보다 7.2% 늘어난 266억원을 기록했다. '유진챔피언뉴이코노미AI4.0증권자투자신탁(H)[주식]'이 지난해 신규 설정돼 연말까지 52억원의 자금을 모았다. 하지만 '유진G-BEST증권자투자신탁(주식)'(5억원)과 '유진TRUEVALUE증권자투자신탁(주식)'(11억원)에서는 지난해 각각 6억원과 1억원의 자금이 유출됐다.
전문투자형 사모집합투자기구 설정액은 2조8498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56.1% 증가했다. '유진폴라리스전문투자형사모증권투자신탁1(채권)'(3514억원)이 지난해 842억원의 자금을 추가로 유입했고 '유진KOSPI200레인지사모증권투자신탁1(채권)'이 신규 설정돼 연말까지 200억원의 자금이 모였다.
다만 이외의 펀드 유형에서는 설정액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혼합주식형(210억원)과 혼합채권형(332억원)은 각각 전년 말 대비 47.8%, 30.2% 줄었다. '유진챔피언공모주증권투자신탁1(주식혼합)'(208억원)에서 지난해에만 90억원이 빠졌고 '유진챔피언배당주증권자투자신탁(채권혼합)운용'(79억원)에서 같은 기간 13억원이 유출됐다.
단기금융집합투자기구 설정액은 8346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55.8% 감소했다. 대표 상품인 '유진챔피언HIT신종H-2MMF'(8586억원)에서 지난해에만 7270억원이 빠져나간 영향이 컸다. 부동산집합투자기구(4285억원)와 특별자산집합투자기구(5126억원) 설정액은 각각 전년 말 대비 36.3%, 12.6% 감소했다.
|
일임계약의 경우 지난해 말 일임계약 자산총액(계약금액 기준)은 5672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24.3% 증가했다. 2016년 4000억원을 넘어선 일임계약 자산총액은 2년 만에 5000억원을 돌파하는 등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일임 고객수(6곳)와 계약건수(9건)는 각각 전년 말보다 1곳과 1건 감소했다.
지난해 유진자산운용의 일임계약 자산총액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곳은 금융투자업자였다. 금융투자업자 일임 계약고는 3100억원으로 전체 일임 계약고의 54.6%를 점유했다. 이어 연기금(1661억원), 보험 특별계정(873억원), 공제회(37억원) 순으로 일임계약 규모가 컸다.
투자일임재산 운용현황을 살펴보면 채무증권 비중이 가장 높았다. 지난해 말 채무증권은 4778억원으로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79.1%를 차지했다. 지분증권이 957억원으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15.8%)을 점유했다. 이는 2017년 말 지분증권의 비중이 45.6%로 가장 높고 채무증권이 44.0%로 뒤를 이었던 것과는 대비되는 것이다.
유진자산운용은 채무증권의 비중을 매년 꾸준히 늘려가고 있는 반면 지분증권의 비중은 줄이고 있다. 수익성보다는 안정성 위주의 일임재산 운용전략으로 선회한 결과로 풀이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더본코리아 거버넌스 점검]구색 갖춘 사외이사, 법조계 일색 '아쉬움'
- 삼성E&A, '본드콜' 발생 태국 플랜트 계약 끊어냈다
- [건설리포트]BS한양, 에너지사업 포트폴리오 전환 '수익성 입증'
- 제이알투자운용, 역삼 '삼원타워' 매각…투자 13년만
- [건설리포트]'흑자전환' 코오롱글로벌, 원가 절감 숨은 공신은
- [건설리포트]일성건설, 외형 축소 속 원가율 개선 '성과'
- 삼성물산 건설부문, 성장세 가파른 '인도' 공략 본격화
- [현대건설 SMR 리포트]미래 성장동력 '차세대 원전', 밸류업 해법될까
- [영상]잘 나가는 현대차에 美관세 변수, 이승조 CFO의 재무전략은
- 롯데EM, 동박 미 관세 면제에 K배터리간 경쟁 '심화' 전망
이민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조달전략 분석]SK어드밴스드, 회사채 중심 조달로 차입 3배 증가
- [저평가 시그널: PBR 0.3]'저평가' SK디스커버리, 주주환원이 열쇠될까
- [저평가 시그널: PBR 0.3]BGF-BGF리테일 'PBR' 가른 요인은
- [머니체인 리포트]CJ그룹 '제당→셀렉타'로 이어지는 지급보증 부담
- CJ셀렉타 매각 철회가 남긴 과제
- [머니체인 리포트]R&D 자금소요 CJ바이오사이언스, 현금 지원군 'CJ아메리카'
- [저평가 시그널: PBR 0.3]현대제철, '미국 제철소' 건설로 PBR 개선 기대
- [머니체인 리포트]미국사업 중심 '슈완스' 떠받치는 CJ제일제당
- [Financial Index/SK그룹]HBM 덕본 SK하이닉스, 이자부담 큰폭 완화
- [Financial Index/SK그룹]SK렌터카 '통큰' 매각, SK네트웍스 재무개선 성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