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투, IPO 약체 옛말…선두권 '성큼' 천보·웹케시·마이크로디지탈 연타석 흥행…역대 최고 실적
심아란 기자공개 2019-05-29 09:20:59
이 기사는 2019년 05월 28일 07:20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하나금융투자의 기업공개(IPO) 주관 실적 성장세가 가파르다. 하나금융투자는 올해 천보를 시작으로 웹케시, 마이크로디지탈의 IPO 딜을 연달아 흥행시켰다. 하나금융투자가 2분기 만에 IPO 주관 실적 1200억원을 돌파한 건 리그테이블 집계 이후 처음이다.미래에셋대우, 한국투자증권 등 기존 IPO 강자의 주관 실적이 부진해 하나금융투자의 선전이 눈길을 끌고 있다.
◇IPO 주관 실적 3위 '약진'
28일 더벨 리그테이블에 따르면 하나금융투자는 IPO 대표 주관 순위 3위를 기록하고 있다. 천보와 웹케시 2건으로 1252억원의 실적을 올렸다. 2018년 한 해 동안 7건의 딜(976억원)로 10위에 머물렀던 점을 감안하면 이례적인 성과다.
지난 21일 IPO 수요예측을 마친 마이크로디지탈이 증시 입성에 완료하면 하나금융투자의 2분기 IPO 주관 실적은 1413억원으로 뛰어오르게 된다.
덕분에 올해 1분기 하나금융투자의 투자은행(IB) 부문 실적도 상승세다. 3월 말 연결기준 IB 부문의 분기순이익은 557억원을 기록했다. 2018년 1분기(246억원) 대비 2배 이상 확대된 수치다. 하나금융투자의 1분기 순이익(623억원) 중 IB 부문이 89%를 차지하며 전체 실적을 견인하고 있다.
하나금융투자는 지난 1월 천보 IPO 딜을 성사시키며 시장에서 존재감을 드러냈다. 천보는 작년 하반기부터 증시 침체로 인해 공모주 투심이 얼어붙어 있던 상황에서 1000억원에 달하는 사이즈로 공모 부담감이 상당했다. 다만 수요예측의 참여한 대부분의 투자자가 공모 밴드(3만5000원~4만원) 상단 이상의 가격에서 청약을 넣으면서 천보는 흥행을 거뒀다. 하나금융투자의 프라이싱 능력과 세일즈 역량이 주효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후 하나금융투자는 현대오일뱅크 IPO 딜이 무산되면서 주춤하는 듯했다. 현대오일뱅크는 사우디 아람코사와 1조8000억원 규모의 프리IPO(상장 전 투자유치) 계약을 체결하면서 IPO 절차를 접었다. 하나금융투자는 다수의 인력을 투입해 현대오일뱅크 딜에 공을 들였지만 소득 없이 철수해야 했다.
다만 웹케시와 마이크로디지탈이 밴드 상단에서 공모가를 확정짓는 등 잇달아 IPO 딜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하나금융투자 관계자는 "천보, 웹케시가 기대 이상으로 흥행했다"며 "하반기 예정돼 있는 IPO 딜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나금융투자는 연내 녹십자웰빙, 네오이뮨텍 등을 포함한 다수 기업의 상장 업무를 맡고 있다.
◇전통 IPO 강자는 '주춤'
IPO 전통 강자 '빅3' 가운데 미래에셋대우, 한국투자증권이 고전하고 있어 하나금융투자의 선전이 두드러진다.
미래에셋대우는 현재까지 이지케어텍 단 1건을 성사시켜 159억원의 주관 실적으로 리그테이블 8위를 기록하고 있다. 2018년에 IPO 주관실적이 4997억원으로 1위를 기록한 것과 비교해 초라한 성적이다. 다만 하반기 제너럴바이오, 금영엔터테인먼트, 캐리소프트 등의 IPO 공모를 준비하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노랑풍선, 수젠텍 2건(280억원)으로 7위에 이름을 올렸다. 수젠텍은 수요예측에서 기관 참여가 저조한 탓에 공모가는 밴드 하단(1만2000원)에서 만족해야 했다. 일반청약에서는 30만주 가운데 7만7336주의 미매각이 발생했다. 한국투자증권은 해당 수량을 기관투자자 대상 초과 청약을 진행했지만 4만5000주의 실권주를 떠안게 됐다.
반면 NH투자증권은 IPO 주관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27일까지 5건의 IPO 딜을 완수해 4143억원의 실적으로 선전하는 모습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김화진칼럼]5대 가족기업 스위스 로슈
- [한국씨티은행 철수설]통이든 쪼개든 인수 매력 'NO'
- [DGB금융 포트폴리오 진단]'빈 퍼즐' 손보사·VC·저축은행 채울까
- [thebell interview]김태오 DGB금융 회장 "리테일 쪽 돈 들일 생각 없다"
- 박성호 하나은행장 후보, 다방면 성과 보인 '팔방미인'
- '성장성 특례' IPO 러시…바이오 쏠림 현상 해소
- [보험경영분석]변액 중심 메트라이프, 금리·주가 상승에 '방긋'
- [금융 人사이드]박윤호 JT친애저축 대표 '연임', 리스크 관리 역량 인정
- [금융 人사이드]신한생명, 첫 베트남 법인장에 '영업통' 이의철 본부장
- [thebell interview]카카오 첫 교육기업 상장 이끄는 삼성 출신 엔지니어
심아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바이오 복수전공 명암]바이오 신사업? 메자닌 투자자만 웃었다
- 엔지켐, 235억 CPS 발행…3개월 만에 추가펀딩
- 현금 쌓은 진단키트 업체들, M&A로 몸집 키울까
- [바이오 복수전공 명암]항암제 임상업체도 등장, 시장 의구심은 '여전'
- 브릿지바이오, 레고켐 손잡고 파이프라인 가치 제고
- [제약바이오 시총분석]'공시 논란' 에이치엘비그룹, 몸값 1.5조 증발
- [바이오 복수전공 명암]공수표 전락한 신사업, 주가 상승분 80% 반납
- 바이오코아, PEF 업고 420억 조달…사업 확장 기대
- [바이오 복수전공 명암]포스트 삼성·SK 꿈꾸는 대기업, '장기투자' 감내할까
- [K-바이오 2021 출사표]조영식 회장, 적대적 M&A 딛고 체외진단 톱티어 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