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 파크원 타워2 매각주관, 삼각편대 가능성 세빌스·에비슨영 선정 유력…김앤장도 법률 지원
김경태 기자공개 2019-09-30 09:03:04
이 기사는 2019년 09월 26일 16시5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여의도 파크원의 오피스 타워2(B동)이 매물로 나온 가운데 매각주관사로 복수의 업체가 선정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법률적인 리스크를 최대한 줄이면서 국내외의 다양한 원매자를 접촉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26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파크원을 개발하는 'Y22 PFI(Project Financing Investment)'측은 지난달 말 타워2 매각주관사 선정을 위해 입찰제안요청서(RFP)를 배포했다. 이달 초까지 부동산자문사들의 제안서를 접수 받았다. 현재 최종 후보는 세빌스코리아와 에비슨영코리아 2곳이다.
매각주관사는 내주 초 최종 결정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현재로선 세빌스코리아와 에비슨영코리아 2곳 모두 선정할 가능성이 높은 상태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다음 주에 확정이 돼야 하겠지만, 현재 2곳이 함께 매각주관사를 하는 것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프라임오피스빌딩을 매각할 때 1곳의 매각주관사를 선정한다. 최상위권에 속하는 세빌스코리아, 쿠시먼앤웨이크필드코리아, 씨비알이(CBRE)코리아, 존스랑라살(JLL), 에비슨영코리아가 대부분 독점한다. 다른 업체들이 컨소시엄을 이뤄 용역을 따내는 경우도 있지만 간혹 있는 수준이다.
다만 프라임오피스빌딩인데 초대형급에 속하는 경우에는 최상위권에 속하는 곳들이 함께 일하는 경우가 있다. 규모가 일반적인 건물과 다른 만큼, 업체 각각의 장점을 살려 폭넓게 원매자를 구하려 하기 때문이다. 세빌스코리아는 글로벌 부동산자문사로 해외 투자자들과의 네트워크가 가장 끈끈한 곳으로 정평이 나 있다. 에비슨영코리아는 최근 매물로 나왔던 여의도권역(YBD)의 빌딩 매각주관을 거의 싹쓸이 했다. 여의도 시장을 가장 잘 아는 부동산자문사로 손꼽힌다.
2곳은 과거에도 맞손을 잡아 거래를 성사시킨 경험이 있다. 작년에 4250억원에 팔린 KDB생명타워의 매각주관사를 같이 맡았다. 또 1조1221억원에 매매가 이뤄져 시장의 주목을 받은 센트로폴리스의 매각주관사도 함께 했었다. 이번에 2곳이 또다시 1조원 규모 거래를 성사시킬지 주목된다.
부동산업계에서는 김앤장 법률사무소를 포함해 파크원 타워2 매각주관사를 사실상 3곳으로 평가하고 있다. 김앤장은 소유주 측을 대신해 이번 매각주관사 입찰 과정을 사실상 주도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한 부동산자문사 관계자는 "파크원이 개발되는 과정에서 김앤장이 법률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맡았는데, 매각 절차에서도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며 "부동산자문사와 같은 일을 하기보다는 매각 과정에서 법률적인 위험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애경케미칼, 신사업 확장·시장 확보 '총력'
- 실리콘투, 1분기 성적표 '상세 공개'…"IR 활동 강화"
- '이익 개선' 더핑크퐁컴퍼니, 상장 불씨 되살리나
- [캐시플로 모니터]'벌크업' 한세예스24, 현금흐름은 '마이너스' 전환
- [R&D회계 톺아보기]연구개발 투자 늘리는 롯데웰푸드, H&W 강화 '결실'
- hy, 현대프리미엄아울렛 행사서 와인 접근성 확대
- [i-point]대동, 'K-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기술 개발' 위한 MOU 체결
- [i-point]위세아이텍,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역량 '재입증'
- [RWA가 쏘아올린 VC 펀딩난]종투사 모험자본 투자 의무화, 출자 숨통 틔울까
- 세라젬, '셀트론 순환 체어' 신규 출시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ompany Watch]'쉼 없는 공장가동' 삼성메디슨, 소니오 정상화는 '요원'
- [Company Watch]삼성D, 코닝 주식 매각 '복잡해진 셈법'
- LK삼양, 신제품·신성장동력 힘 가시화 '반전 집중'
- SK, SK마리타임 합병 관련 조세심판 기각
- [삼성 빅딜 리부트]여유 없는 매도자 상황 노린 '영리한' M&A
- [삼성 빅딜 리부트]국내는 좁다…8년만 대형 M&A도 '크로스보더'
- [미국 로비활동 점검]삼성SDI 미국법인, 인하우스 조직 '분주'
- 크레센도, HPSP 리캡 'LP 중간회수·제값받기' 포석
- [IR Briefing]'저점 확인' 카카오, 비핵심사업 정리·슈퍼앱 진화 초점
- 하만에 오디오사업 판 마시모, 매각대금 '주가 부양' 투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