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라인 트라우마' 벗어났다 3분기 연결 재무에서 라인 실적 제외… 매분기 1000억원대 이익 개선 전망
성상우 기자공개 2020-07-31 12:33:00
이 기사는 2020년 07월 30일 18시3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네이버가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 79.7% 증가라는 깜짝 실적을 냈다. 이전엔 경험하지 못했던 수준의 상승률이다. 2분기 언택트 트렌드와 맞물려 플랫폼·콘텐츠 분야 매출이 증가한 탓도 있지만 가장 결정적인 원인은 지난해 2분기 '어닝쇼크'의 기저효과다. 당시 네이버의 일본 자회사 라인의 일회성 마케팅비 집행이 대규모 영업손실로 이어졌고, 이는 연결 기준 네이버의 실적을 끌어내린 결정적 이유였다.이번 기저효과는 그동안 네이버 실적에 연결로 잡힌 라인의 영업손실이 향후 제외됐을 때 어떤 효과가 날지 짐작케 해주는 대목이다. 실제로 라인 실적은 야후재팬과의 통합 작업과 맞물려 이르면 오는 3분기부터 네이버의 연결 재무에서 제외된다. 그동안 네이버 실적 개선의 발목을 잡아왔던 '라인 적자'의 트라우마에서 완전히 벗어나게 되는 셈이다.
네이버는 연결 기준 지난 2분기 매출이 1조9025억원, 영업이익은 2306억원이라고 30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및 전 분기 대비 모두 상승하며 우상향 흐름을 유지했다.
영업이익은 전 분기 대비로는 상승률이 각각 4.1% 수준으로 소폭 증가한 수준이지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79.7%에 달한다. 영업이익률 역시 12.1%로 전년 동기보다 4%포인트 올랐다. 특히, 마케팅 비용(1381억원)과 이를 포함한 영업비용(1조6719억원)이 사상 최대 수준이었음에도 이같은 이익 성장률를 나타낸 건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이는 지난해 2분기 기록한 어닝쇼크에 대한 기저효과다. 당시 네이버의 일본 자회사 라인은 라인페이의 일본 시장 초기 선점을 위한 대규모 송금 프로모션을 벌였다. 700억엔(약 8000억원) 규모의 일회성 비용 집행으로 라인은 큰 폭의 영업적자 확대를 감수해야했고, 이는 연결기준으로 네이버 실적에 반영됐다. 당시 네이버 연결 재무제표에 잡힌 '라인 및 기타사업부문 영업손실' 항목의 수치는 1941억원으로 급등했고, 네이버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절반(-48.8%)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앞으로는 적자 여부와 상관없이 라인 실적에 대한 부담을 털어낼 수 있게 됐다. 통합 작업이 완료되면 라인은 30~32.5% 지분율을 가진 네이버의 손자회사가 된다. 종속회사에서 벗어나면서 라인 실적은 네이버 연결 재무에서 제외된다. 그 동안 네이버 연결 손익계산서의 영업이익단에 반영되던 라인의 영업손익은 제외되고 지분법 이익으로만 잡히게 되는 형태다.
종속회사 중 덩치가 가장 큰 라인은 그동안 네이버 실적의 아킬레스건이었다. 라인의 분기 평균 매출과 비용은 네이버 전체에서 40%와 50% 비중을 차지, 전체 실적을 좌지우지하는 결정적 변수였다. 일본에서 시작한 간편결제 사업 '라인페이'의 사업 초기 대규모 마케팅 탓에 라인은 만성 적자에 시달렸고, 이로 인해 네이버는 매 분기 평균 1000억원대 중반 수준의 '라인 및 기타사업부문 영업손실'을 감수해야하는 구조였다.
라인 비용 제외를 통한 영업이익률 상승 효과도 상당하다. 네이버의 지난 1년간 손익계산서를 분기별로 보면 지난해 1분기 6676억원, 2분기 7859억원, 3분기 7223억원, 4분기 8040억원의 비용이 '라인 및 기타플랫폼'에서 발생했다. 1년간 총 3조원에 이르는 규모다. 이로써 지난해 5조8000억원 수준이던 네이버 영업비용은 내년부터 연간 3조원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기존 사업들의 수익성 개선으로 영업이익이 늘어난 효과도 더해지면서 지난해 11.5% 였던 영업이익률은 올해 하반기와 내년 30% 초반대로 뛸 전망이다.
세율 부담도 크게 낮아진다. 일본을 메인 시장으로 한 라인에 그동안 한국보다 높은 일본의 법인세율이 적용돼왔는데, 라인 실적이 연결에서 제외되면서 네이버의 유효 법인세율이 국내 법인세율 수준으로 낮아질 수 있다.
장기적으로 라인의 흑자 전환 후 이익을 내기 시작하면 대규모 지분법 이익도 기대된다. 유안타증권에 따르면 라인의 내년 흑자 전환이 예상된다. 2021년, 2022년 예상 순이익은 각각 558억원, 3104억원이다. 이 실적이 연결 반영된 Z홀딩스의 순이익은 올해 7917억원을 시작으로 2021년 1조1101억원, 2022년 1조6000억원 규모로 예상된다. 네이버의 손자회사 지분율을 31%로 가정하면, 이중 네이버에 반영되는 지분법 이익은 2454억원(2020년), 3441억원(2021년), 4961억원(2022년) 수준이다. 3년간 총 1조856억원 규모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thebell League Table]"고맙다 현대차증권" 1건으로 NH증권 선두
- [i-point]크라우드웍스, 가트너 '생성형 AI 이머징 스페셜리스트' 선정
- [thebell League Table]깊어지는 시장 침체, 기회 거머쥔 삼성증권
- [thebell League Table]LG CNS·서울보증보험 IPO 빅딜이 시장 키웠다
- [thebell League Table]LG CNS IPO 효과...KB증권 왕좌 탈환 성공
- [thebell League Table]조단위 공모 빅딜 LG CNS가 지배했다
- S2W, 산업용 생성형 AI 도입 전략 웨비나 개최
- [i-point]제이엘케이 ‘JLK-DWI’ 일본 인허가 획득
- [와이바이오로직스 항암신약 로드맵]R&D 전략 재수립, 후발주자에서 '퍼스트 무버' 입지로
- 루닛, 흑자전환 시점 연기…볼파라 효과 가시화는 '고무적'
성상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point]케이웨더, 우리동네 미세먼지 '시간단위' 예보
- [코스닥 주총 돋보기]아티스트스튜디오, 경영진 재편 완료
- [Company Watch]딥노이드, 스미스디텍션 물량 ‘4월 독일 출장’서 가시화
- [코스닥 주총 돋보기]바이오솔루션 '카티라이프', 중국 시장 상륙 '초읽기'
- [i-point]고영, 중국 전시회서 3차원 검사 장비 신제품 공개
- [i-point]아이티센, ‘아이티센글로벌’로 사명 변경
- [i-point]한컴, 제주특별자치도와 디지털 행정 혁신 MOU 체결
- [i-point]아티스트유나이티드, ‘아티스트컴퍼니’로 사명 변경
- [i-point]미래컴퍼니, '하노버 박람회'서 ?ToF 라인업 공개
- [Company Watch]'신공장 준공지연' 태성 “임대공장으로 주문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