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라인, '태국판 배달의민족' 키운다 '합병·유증' 현지 자회사 지분 100%→45% 희석, 식품배달 선점 포석
원충희 기자공개 2020-08-04 08:12:14
이 기사는 2020년 08월 03일 07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네이버의 일본 계열사 '라인(LINE Corporation)'은 태국 배달시장 선점을 위해 자회사 지배력 상실을 감수하고 합병 및 투자유치에 나선다. 태국 1위 배달앱 운영사 '라인맨'을 현지기업과 합치고 1323억원 규모의 외부투자를 받는다. 이번 딜이 끝나면 라인 측이 보유한 라인맨 지분은 100%에서 45.6%로 희석, 공동지배기업(관계회사)으로 바뀐다.라인은 최근 O2O 배달서비스를 영위하는 태국 계열사 라인맨(LINE Man Corp.)을 현지 레스토랑 리뷰 검색플랫폼 업체인 '웡나이 미디어(Wongnai Media)'와 합병키로 했다. 웡나이가 소멸법인으로 라인맨(존속법인)에 흡수 합병되는 형태다. 합병 후에도 라인맨의 상호와 본사 위치는 변동이 없을 예정이다.

라인맨은 라인의 태국 자회사 '라인 사우스이스트 아시아(LINE Southeast Asia)'가 지분 100%를 보유한 업체다. 태국 현지에서 온라인 음식배달, 퀵서비스, 택시호출, 택배, 편의점 물품 배달, 신선식품 배달 등에 주력한다. 국내의 '배달의 민족' 또는 '카카오T'를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현지 10만여곳 이상의 음식점과 제휴를 맺고 방콕, 치앙마이 등 여러 지역에서 영업 중이다. 연내 태국 15개 지역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웡나이는 월평균 1000만명 이상의 사용자와 태국 전역 40만여개 레스토랑 리뷰를 갖고 있는 최대 레스토랑 데이터베이스 업체다. 창업자 일가가 49.18%의 지분을 갖고 있다. 양사의 합병으로 라인맨은 웡나이의 데이터와 사용자를 활용, 태국 배달서비스를 석권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합병에 맞춰 외부투자 유치도 결정했다. 미국계 벤처캐피털기업 '블루런 벤처스(BlueRun Ventures)'의 계열사인 BRV캐피털 매니지먼트를 대상으로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실시해 1억1000만달러(약 1323억원)를 수혈받기로 했다. 유증이 완료되면 라인맨의 자본금은 3800만달러(452억원)에서 1억4800만달러(1770억원)로 증가한다.
합병과 유증작업 종료 후 자본력과 데이터 기반은 탄탄해지는 반면 라인 사우스이스트의 라인맨 지분은 100%에서 45.6%로 희석된다. 보유지분이 절반 미만으로 감소하면서 라인 측은 라인맨에 대한 지배력을 상실해 종속기업(연결재무)에서 관계기업(지분법)으로 변경이 불가피해진다. 라인은 라인맨의 가치제고와 태국 배달시장 선점을 위해 기업 지배력이 희석되는 것을 감수하고 합병과 투자유치에 나선 셈이다.
라인 측은 "제3자 배정 증자로 라인맨은 당사의 지분법 적용회사가 된다"며 "연결종속회사의 지배력 상실이 재무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산출되면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thebell League Table]"고맙다 현대차증권" 1건으로 NH증권 선두
- [i-point]크라우드웍스, 가트너 '생성형 AI 이머징 스페셜리스트' 선정
- [thebell League Table]깊어지는 시장 침체, 기회 거머쥔 삼성증권
- [thebell League Table]LG CNS·서울보증보험 IPO 빅딜이 시장 키웠다
- [thebell League Table]LG CNS IPO 효과...KB증권 왕좌 탈환 성공
- [thebell League Table]조단위 공모 빅딜 LG CNS가 지배했다
- S2W, 산업용 생성형 AI 도입 전략 웨비나 개최
- [i-point]제이엘케이 ‘JLK-DWI’ 일본 인허가 획득
- [와이바이오로직스 항암신약 로드맵]R&D 전략 재수립, 후발주자에서 '퍼스트 무버' 입지로
- 루닛, 흑자전환 시점 연기…볼파라 효과 가시화는 '고무적'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APEX 톺아보기]삼성전자, 반도체 줄고 디스플레이 2배 급증
- [캐시플로 모니터]삼성전자, 하만 회사채 만기 도래 '늘어난 환차손'
- [R&D회계 톺아보기]"결국은 기술" 연구개발비 30조 돌파한 삼성전자
-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의 오너십
- [Board Change]CJ대한통운, 해외건설협회 전·현직 회장 '배턴 터치'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메리츠금융, 대손충당금 부담은 어느 정도
- [Board Change]넷마블 이사회 떠난 '친한파' 텐센트 피아오얀리
- [Board Change]카카오, CFO 이사회 합류…다시 세워지는 위상
- [Board Change]삼성카드, 새로운 사내이사 코스로 떠오른 '디지털'
- [Board Change]삼성증권, 이사회 합류한 박경희 부사장…WM 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