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 IPO, IB 이해상충 '동상이몽' '빅3' 증권사, 시각 따라 불리한 여건…인터넷전문은행, 금융권 이해관계 복잡
양정우 기자공개 2020-09-28 14:19:01
이 기사는 2020년 09월 25일 14시4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내년 초대형 기업공개(IPO)를 예약한 카카오뱅크를 놓고 증권업계가 동상이몽에 빠져있다. 인터넷 전문은행으로서 금융권과 이해 관계가 복잡하게 얽힌 만큼 이해 상충 이슈가 주관사 선정의 '키'로 꼽힌다. 증권사 IB 파트에선 복잡한 셈법으로 저마다 유리한 입지에 선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주관 경쟁 키포인트, 이해 상충 이슈…한국·NH·미래, 제각각 사정 보유
카카오뱅크가 최근 이사회를 열고 IPO 추진을 결의했다고 밝혔다. 연내 감사인 지정 신청과 상장주관사 선정 절차에 들어가기로 했다. 상장 밸류가 수십조원에 달할 빅딜인 만큼 대표주관사를 놓고 증권업계의 치열한 각축전이 벌어질 전망이다.
이번 주관사 경쟁의 키포인트는 이해 상충 이슈다. 인터넷 전문은행인 터라 국내 금융권과 다각도로 이해 관계를 맺고 있다. 상장 주관 업무를 수행할 증권사는 대부분 금융그룹에 속한 만큼 카카오뱅크의 사업과 직간접적으로 맞물린 위치에 있을 수 있다. IB 파트의 상장 역량뿐 아니라 대외적 역학 구도를 감안해 IPO 파트너를 뽑을 가능성이 높다.
우선 IPO '빅3' 증권사인 한국투자증권은 각축전에 참전 자체가 어려울 전망이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발행사 주식 등을 10% 이상 보유한 증권사(이해관계인 포함)의 경우 대표 주관 업무를 맡을 수 없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기준 그룹 계열인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과 한국투자금융지주가 카카오뱅크의 지분을 각각 28.6%, 4.93% 쥐고 있다.
미래에셋대우도 사정이 녹록치 않다. 무엇보다 카카오의 맞수인 네이버의 강력한 우군이기 때문이다. 미래에셋대우와 네이버는 2017년 상호 주주이자 특수 관계로 거듭났다. 네이버는 미래에셋대우 지분을 7.34% 보유하고 있고 미래에셋대우도 네이버 지분 1.71%를 갖고 있다. 카카오 입장에선 핵심 계열의 IPO를 최대 라이벌의 우군에 맡기기가 쉽지 않다.
NH투자증권은 인터넷 전문은행 업계의 경쟁자인 케이뱅크의 파트너라는 게 우려를 사는 대목이다. 지난해 말 기준 지분 10%를 쥔 주주이기도 하다. 두 기업이 연계계좌 서비스 등 협력 강화에 나서고 있어 카카오뱅크 입장에선 선뜻 손을 들어주기가 어렵다. 주관 업무는 기업실사가 첫 임무일 정도로 상장예비기업을 낱낱이 파악하는 작업이다.

◇은행계 증권사 상당수, 직간접적 경쟁사…무결점 극소수, 상충 정도 관건
이해 상충 측면에서 따져보면 IPO 시장의 빅3 대형사가 모두 카카오뱅크의 대표 주관을 맡는 게 쉽지 않다. 그렇다고 나머지 증권사가 안전지대에 있는 것도 아니다.
시중은행을 보유한 금융그룹에 속한 증권사도 경계 대상에 오를 가능성이 있다. 기성 은행은 카카오뱅크의 성장 속도에 잔뜩 긴장해 있다. 여신 업무라는 동일한 사업 영역에서 완화된 규제를 받는 데다 트렌드 측면에서도 훨씬 앞서고 있다. 모바일 서비스 강화에 사력을 다하는 동시에 인터넷 전문은행을 강도높게 견제하고 있다.
NH투자증권과 KB증권, 신한금융투자, 하나금융투자 등이 은행계 금융그룹 소속이면서도 IPO 사업에 힘을 쏟는 대표적 증권사다. 이해 상충 이슈에 직간접적으로 얽힌 IPO 하우스가 대다수다. 외국계 증권사와 삼성증권, 대신증권 정도가 경계 후보에서 제외돼 있다.
하지만 이렇게 이해 상충을 면밀히 따지면 상장 주관사단을 꾸리는 게 쉽지 않다. 카카오뱅크의 장외 시가총액은 40조원에 이르고 있다. 물론 장외 가격은 밸류에이션 과정에서 대폭 조정될 수 있지만 초대형 IPO라는 건 분명하다. 조 단위 공모를 무리없이 소화하려면 대형 증권사 여럿의 조력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법규상 난관이 아니라면 어느 정도 이해 상충을 감수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업종 성격상 금융권과 이해 관계가 있을 수밖에 없기에 리스크 수준을 따져 폭넓게 수용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