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림그룹 중간지주사 도입]3년 만에 대림산업 부회장 오른 배원복 대표중간지주사 디엘서 경영 총괄할 듯…마창민 디엘이앤씨 대표 영입 역할
이정완 기자공개 2020-11-02 08:17:30
이 기사는 2020년 10월 30일 15시4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림산업이 3사 분할을 앞두고 최고 경영진 체제를 정비했다. 배원복 대림산업 건설사업부 경영지원본부장(대표이사)이 부회장으로 승진해 대림산업은 이해욱 회장 아래 배 부회장과 김상우 석유화학사업부 부회장(대표이사) 체제를 갖추게 됐다. LG전자에서 마케팅 전문가로 명성을 떨치던 배 부회장은 대림그룹에 입성한 지 3년이 채 안돼 부회장으로 승진했다.1961년생인 배 부회장은 성균관대 기계공학과를 졸업한 뒤 1984년 LG그룹에 입사했다. 이후 영국 랭커스터 대학에서 MBA, KAIST 비즈니스 스쿨을 수료했다. 배 부회장은 LG전자 오디오사업부를 시작으로 휴대폰 사업에서 오랜 경력을 쌓았다. 2001년 MC(모바일커뮤니케이션)사업본부에서 상무로 승진한 그는 2007년부터 2017년까지 LG전자에서 부사장으로 근무하며 마케팅·영업 전문가로 일했다.
LG전자 출신 경영자를 선호하던 이해욱 대림산업 회장은 2018년 배원복 부회장을 그룹으로 영입했다. 대림산업 이사회 의장인 남용 전 LG전자 부회장과 맺었던 인연이 영입 배경으로 꼽혔다. 남 의장과 배 부회장 외에도 윤준원 대림자동차공업 대표이사가 대림그룹 내 대표이사급 경영자다.
이번 배 부회장의 승진 인사는 내년 초 대림산업 분할을 앞둔 포석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대림산업은 건설사업부와 석유화학사업부를 두 개의 축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현재까지 배 대표이사가 건설사업부를 맡고 김상우 부회장이 석유화학사업부를 이끄는 구조였다.
대림산업은 지난 9월 중간지주사 디엘·건설사업부 디엘이앤씨·석유화학사업부 디엘케미칼로 분할한다고 밝혔는데 이 때 디엘케미칼 대표이사는 석유화학사업부를 이끌던 김 부회장이 맡기로 했으나 디엘이앤씨 대표이사는 공석으로 남겨 의아함을 주기도 했다. 하지만 대림산업은 약 열흘 후 디엘이앤씨 대표이사로 마창민 LG전자 한국모바일그룹장(전무)를 선임한다고 밝히며 궁금증을 해소했다.
남 이사회 의장과 배 부회장이 그랬던 것처럼 이번에는 배 부회장과 인연이 깊던 마 대표를 대림산업으로 데려오면서 디엘이앤씨 경영 체제를 확고히 했다.
LG전자 사정에 정통한 관계자는 "배 부회장이 마 대표와 오랜 기간 함께 근무한 덕에 서로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며 "배 부회장이 마케팅센터장과 영업그룹장으로 일할 때 글로벌 마케팅 역량이 우수했던 마 대표가 국내외에서 마케팅을 담당했다"고 말했다. 두 사람은 2000년대 중반 LG전자 초콜릿폰과 프라다폰의 흥행을 함께 이끌기도 했다.
디엘이앤씨, 디엘케미칼의 최고경영자 체제가 정리된 이상 배 부회장은 중간지주사 부회장으로 활동할 것이 유력하게 점쳐진다. 디엘이앤씨에 입성해 건설업을 처음으로 경험하는 마 대표와도 소통이 원활한 만큼 중간지주사에서 배 부회장이 지원하는 구도도 그려볼 수 있다.
재계 관계자는 "배 부회장은 대림산업 건설사업부 소속이지만 존속법인인 대림산업 부회장으로 승진한 만큼 존속법인 디엘에 남아 전략을 총괄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대림산업 측에서는 "배 부회장이 어느 회사에서 일할지는 연말에 정확히 결정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Company Watch]GS건설, 해외 모듈러 신사업 '외형 확장' 성과
- [디벨로퍼 리포트]DS네트웍스, 지방 주택 개발사업 '제자리걸음'
- [이사회 분석]롯데리츠, 'IB·회계사' 2인 감독이사 선임 '이례적'
- [i-point]씨플랫폼-엑스게이트, 총판 계약 체결
- [i-point]김연수 한컴 대표, 2025년 AI 사업 성과 '사활'
- 아이엠지티, 췌장암 국내임상 중간분석 결과 발표
- 라이프운용, 해외 패밀리오피스서 300억 펀딩
- 케이클라비스 NPL펀드 조성 지체…지방은행 유치 지연
- DS운용, 판매고 감소 속 'KB증권' 약진
- "장기전 돌입한 부동산, 해답은 '똘똘한 한 채'"
이정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윤석열 대통령 탄핵]'관세' 충격이 집어삼킨 한국물…그나마 불안 덜었다
- [Deal Story]동원시스템즈, 계열 실적 안정성 통했다
- [증권사 생크션 리스크 점검]톱10 중 제재 최다 신한증권, 내부통제로 달라질까
- [키스트론 IPO]밸류 목표 PER 10배…일본서 피어그룹 찾았다
- [키스트론 IPO]순환출자 해소 목적 불구 구주매출 과도, 투심 향방 관심
- [thebell League Table]트럼프 불확실성에 주춤?…뚜껑 열어보니 달랐다
- [thebell League Table]NH증권, DCM 1위 경쟁 올해는 다르다
- [롯데글로벌로지스 IPO]3000억 필요한 롯데지주, 정기평가만 기다린다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증자]모회사 참여 공언 ㈜한화, 회사채 재차 발행할까
- [Korean Paper]'10년물' 베팅 LG엔솔 투자자…성장성 우려 덜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