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준 SK E&S 부회장 승진, 최재원 복귀 뒤 호흡맞추나 SK그룹 대표 재무 전문가...내년 경영복귀 앞둔 최재원 복심
조은아 기자공개 2020-12-08 08:59:39
이 기사는 2020년 12월 03일 16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유정준 SK E&S 대표이사 사장(사진)이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유 부회장은 SK그룹의 대표 재무 전문가로 일찌감치 SK그룹의 미래를 이끌 차세대 대표주자로 꼽혀왔다. 특히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동생인 최재원 수석부회장과 한때 ‘동고동락’한 사이다. 이번 부회장 승진이 최 수석부회장의 경영복귀를 위한 수순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유 부회장은 SK그룹에서 워낙 입지가 탄탄한 인물이다. 2003년 SK의 분식회계 사건과 소버린의 경영권 분쟁 당시 SK의 CFO를 지내며 출자 전환을 둘러싼 채권단과의 협상을 무난히 마무리했다. SK가 창사 이래 최대 위기를 극복하는 데 일등공신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최태원 회장의 절대적 신임도 이 사건을 계기로 더욱 굳건해졌다고 한다. 유학생활과 외국계 회사 근무경험을 통해 글로벌 감각 역시 갖췄다는 평가다. 최태원 회장 공백 때 해외경험을 살려 글로벌 인맥을 직접 관리했고 최재원 부회장이 떠난 뒤에는 SK E&S의 경영도 책임졌다.
특히 최재원 부회장의 복심으로도 알려져 있다. 최 부회장과 이전부터 손발을 맞춘 경험이 많다. 유 부회장은 2013년 SK E&S 사장에 올랐는데 당시 오랜 기간 SK E&S의 대표이사를 맡아왔던 최 부회장과 함께 공동 대표이사 체제를 이뤘다.
이에 앞서 최 부회장은 2010년 수석부회장에 올라 그룹 부회장단을 이끌었는데, 유 부회장은 부회장단 산하에 실무조직으로 신설된 글로벌성장(G&G)추진단을 맡았다. 최 부회장을 수행해 글로벌 현장을 다녔고 특히 이라크 등 테러가 벌어지는 위험지역에도 동행하며 신뢰를 쌓은 것으로 알려졌다.
최 부회장은 2021년 10월이 되면 과거 횡령죄로 막혀있던 취업 제한이 풀려 SK그룹 등기이사로 복귀가 가능해진다. 두 사람이 SK그룹의 에너지사업 등에서 호흡을 맞출 것으로 재계는 보고 있다.
유 부회장은 1962년생으로 서울 경기고와 고려대를 졸업했다. 최태원 회장의 고려대 후배다. 미국 일리노이대학교에서 회계학 석사학위를 받은 뒤 딜로이트앤터치 뉴욕사무소에서 선임회계사를 지냈다. 글로벌 컨설팅회사 맥킨지 한국사무소에서 LG그룹 컨설팅을 맡을 당시 구자경 LG그룹 명예회장의 눈에 띄어 LG건설(현 GS건설)에 입사했고 35세의 나이로 임원이 됐다.
SK그룹에서도 승승장구했다. ㈜SK 종합기획실장 상무보, ㈜SK CFO, SK에너지(SK이노베이션) R&C 사장, SK루브리컨츠 대표이사, SK에너지 R&M 사장, SK그룹 G&G추진단 단장 등 요직을 대부분 거쳤다.
SK E&S 관계자는 “장기적 관점의 CEO 역할 확장을 위해 유정준 대표이사 부회장과 추형욱 신임 대표이사 사장이 함께 SK그룹 EGS 경영의 핵심역할을 수행하고 수소 등 미래 에너지 사업 혁신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거래소, 3시간 심사 끝에 제노스코 상장 '미승인' 확정
- 대방건설, '부채비율 80%' 안정적 재무구조 유지
- [상호관세 후폭풍]'90일 유예'에 기업들 일단 안도, 정부 협상 성과에 쏠린 눈
- 에이치알운용, 한투 이어 '신한 PWM' 뚫었다
- KB증권, 2분기 롱숏·메자닌 헤지펀드 '집중'
- "지분 3%로 이사회 흔든다"…얼라인 '전투형 전략'의 정석
- 하나증권, 성장주 중심 라인업 변화
- 우리은행, 가판대 라인업 확대…'해외 AI·반도체' 신뢰 여전
- 하나은행, 라인업 고수 속 'NH필승코리아' 추가
- 리운운용, 메자닌 전문가 모셨다…투자 영역 확대
조은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생명보험사는 지금]'넘사벽'이 되어버린 삼성생명의 고민은
- [생명보험사는 지금]30년 넘게 이어진 빅3 체제, 깨질 수 있을까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흑자 기조 이어간 KB미얀마은행, 웃지 못하는 이유
- [은행권 신지형도]'대형은행' 틈바구니 속, SC제일은행이 선택한 해법은
- 내부통제위원회 구성 마친 4대 금융, 구성 살펴보니
- 우리은행, 폴란드에 주목하는 이유
- [thebell desk]한화 차남의 존재감
- [은행권 신지형도]어느덧 10년 맞은 인터넷전문은행, 시장 판도 변화는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통합 2년차 KB프라삭은행, 희비 엇갈려
- KB금융 부사장 1명으로 줄었다, 배경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