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ieu 2020]신금투, G2 중심 '해외 펀드' 전략 통했다[회사별 추천상품 리뷰] 글로벌 자산 비중 확대 '방점'…중국 증시 상승 '베팅'
정유현 기자공개 2020-12-22 08:10:00
이 기사는 2020년 12월 18일 13시4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한금융투자는 지난해에 이어 2020년에도 글로벌 투자에 집중했다. 미국과 중국 중심으로 대형 성장주 및 기술주에 투자하는 펀드와 인컴형 펀드를 선택해 안정성과 수익성까지 골고루 챙겼다. 반면 국내 펀드는 채권형 상품 위주로 추천하면서 변화를 최소화했다.18일 더벨이 취합한 2020년 신한금융투자 추천상품에 따르면 올해 4분기에 걸쳐 총 19개의 펀드를(중복 제외) 추천상품으로 제시했다. 이 중 '피델리티글로벌배당인컴' '미래에셋글로벌다이나믹채권', 'AB미국그로스' 을 연중 추천상품 가판대에 올렸다.
신한금융투자는 지난 해에도 미국과 아시아 시장 중심으로 다수의 해외펀드를 추천했고 이같은 기조가 올해도 유지됐다. 변동성이 높았던 2분기 해외 펀드 추천 비중을 잠시 축소했지만 하반기 들어 다시 힘을 주며 고객들이 해외 시장에서 수익 기회를 창출할 수 있도록 포트폴리오를 제안했다.

4분기 연속 추천된 피델리티글로벌배당인컴은 지난해에도 연중 추천된 상품이다. 피델리티글로벌배당인컴은 세계 각국의 배당주에 투자하는 펀드다. 해외 투자에 강한 피델리티자산운용이 대표펀드 기준 연초후 수익률은 0.44%로 집계됐다. 수익률은 높지 않지만 안전 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고객들을 위해 꾸준히 추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설정 후 누적 수익률은 96.46%에 달한다. 운용펀드 규모는 9281억원이다.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총 7분기 연속 추천된 AB미국그로스펀드는 미국 대형 성장주 중 IT와 헬스케어, 소비재 등에 집중적으로 투자한 상품이다. 연초 이후 수익률은 26.66%로 동종 상품 중 상위 10.28%에 든다. 운용펀드 규모는 1조5279억원이다. 미국 AB자산운용의 'AB SICAV I-아메리칸성장형펀드(AB-American Growth Portfolio Class SK)'를 피투자펀드로 둔 재간접형 펀드다. AB SICAV I-아메리칸성장형펀드는 알파벳과 페이스북 등 글로벌 IT기업을 담고 있다.
신한금융투자는 미국뿐 아니라 중국 시장에 대한 관심도 이어갔다. 지난해부터 가판대에 오른 'KB중국본토A주'를 상반기, '신한BNPP중국본토1'을 하반기에 배치했다. 중국은 코로나19 종식 선언 이후 경제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는 점과 여전히 성장 매력이 높은 시장이라는 판단하에 주목하고 있다. 향후 자본시장 개방 확대에 따른 외국인 자금 유입 확대로 인해 앞으로 투자매력도가 더 높아지는 것도 추천 포인트다.
올해 새롭게 추천된 신한BNPP중국본토1은 중국 본토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로 평안보험,주류회사 귀주 마오타이, 차이나 인터내셔널 트레블 서비스 등을 담고 있다. 신한금융투자는 이익 성장성, 재무능력 평가, 중국 정부 정책 등을 다방면으로 평가해 추천상품에 올렸다. 연초 후 수익률은 30.74%로 운용 펀드 규모는 1000억원이다.
국내 상품은 안정성에 무게를 두고 채권형 상품 위주로 가판대를 꾸렸다. '신한금융투자하이파이(HI-FI)채권펀드'과 '유진챔피언중단기채펀드'를 3분기 연속 추천하더니 4분기에는 '신한BNPP베스트크레딧펀드' 1개만 추천했다.
신한금융투자는 펀드 외에도 랩·신탁, 채권 등의 다양한 상품을 추천하고 있다. 랩·신탁 상품의 경우 '미래설계랩'과 '글로벌 리서치'랩을 주력 상품으로 소개했다. 이 중 글로벌 리서치랩은 한국자산의 기대수익률 저하 및 저금리 기조 환경 속에서 글로벌 상장주식 및 ETF를 이용해 해외자산 배분을 통해 수익 기회를 창출한다. 올해 3월 출시 이후 약 20%(12/1 기준)에 가까운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이 밖에 채권 중에서는 USD RP를 꾸준히 가판대에 올렸다. 달러 유동성 투자로 통화 분산 효과를 추구하면서 향수 시장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 매력이 높은 상품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제이엘케이, ‘메디컬 AI 얼라이언스’ 출범식 개최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투자자간 셈법 엇갈린다
- 카카오, '11조 몸값'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추진
- [i-point]대동, 우크라이나 농업부와 미래농업 기술 지원 협력 논의
- '위기를 기회로' 탑코미디어, 숏폼 올라탄다
- [thebell interview]임형철 블로코어 대표 “TGV로 글로벌 AI 투자 확대”
- [VC 경영분석]유안타인베, '티키글로벌' 지분법 손실에 '적자 전환'
- [VC 경영분석]성과보수 늘어난 CJ인베, 줄어드는 관리보수 '과제'
- [VC 경영분석]'첫 성과보수' 하나벤처스, 모든 실적 지표 '경신'
- [VC 경영분석]SBVA, '펀딩·투자·회수' 선순환…'당근' 성과 주목
정유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지금]이성호 대표의 굳건한 오너십, 배당보다 '성장' 방점
- [thebell desk]자사주의 주인
- [상호관세 후폭풍]'중국 데자뷔는 아니다' K뷰티, '기회의 문' 열리나
-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지금]ODM 사업 확장 레버리지 활용, 재무 건전성은 '양호'
- [밸류업 프로그램 리뷰]'최종환'호 파라다이스, TSR 연계 보상 제도 도입
- [애경그룹 리밸런싱]애경산업 매각, 유동성 넘어 지배구조 정리 '시그널'
- [캐시플로 모니터]현금흐름 흑자 무신사, 순이익+운전자본 최적화 효과
-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지금]R&D로 쌓은 수출 경쟁력,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 안착
- 롯데그룹, 지속 가능 성장 가속화…'AI·글로벌' 방점
-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지금]K뷰티 밸류체인 수직 통합, 연매출 1000억 '정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