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사로 탈바꿈한 한미인베스트, 볼빅 지분 인수 한미네트웍스 보유 지분 장외거래로 인수…곽동신 한미반도체 부회장이 대표 겸직
김슬기 기자공개 2021-03-23 08:04:27
이 기사는 2021년 03월 22일 11시3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미반도체 관계회사인 한미네트웍스가 보유한 볼빅 지분 전량을 한미인베스트(옛 신호모터스)가 인수했다. 지난해 한미인베스트가 수입차 딜러 사업을 완전히 정리하면서 자금여유가 생긴데다가 마땅한 사업을 하지 않고 있어 볼빅 지분을 인수한 것으로 보인다.지난 19일 한미네트웍스는 보유하고 있던 볼빅 지분 60만주를 한미인베스트에 장외거래로 넘겼다. 주당 단가는 4900원이었으며 총 거래금액은 29억4000만원이다. 보통주 기준 지분율로 따지면 13.11%다. 한미반도체 역시 현재 60만주, 13.11%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두 곳의 지분율은 26.22%로 최대주주인 엠스하이(30.3%) 다음으로 많다.
한미반도체와 한미네트웍스가 볼빅의 지분을 인수한 것은 2012년이다. 각각 42억원을 출자해 볼빅 지분을 인수했다. 회사 측은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 차원에서 자금을 투자했다. 볼빅은 골프공 사업을 주업으로 하고 있다. 당시 곽동신 한미반도체 부회장은 골프사업의 성장성을 높게 평가하면서 관련 업체에 큰 관심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 후 큰 재미를 보지는 못했다. 한미반도체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볼빅 지분에 대한 장부가액은 28억1280만원으로 떨어졌다. 2012년 투자 후 장부가액이 33% 하락한 것이다. 한미네트웍스가 한미인베스트에 넘긴 지분가치 역시 장부가액을 고려해 책정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 19일 기준 볼빅의 주가는 3790원이다.
한미인베스트가 볼빅 지분을 인수한 이유는 기존에 해오던 수입차 사업을 정리한 데 있다. 볼빅 지분을 처음 인수했던 한미네트웍스 역시 외제차 사업을 했다. 2005년 2월 일본 닛산 딜러사업을 시작했고 2008년 한미인베스트 설립 후 입지가 좁아졌다. 2012년에는 수입자동차 판매가 아닌 부동산매매로 사업목적이 변경됐다. 수입차 사업에서 손을 뗀 후에 볼빅 지분 인수를 한 것이다.
이번에 한미인베스트 역시 마찬가지다. 2008년 설립했고 2012년 BWM 공식딜러로 지정되면서 사세를 키웠다. 2018년 본업에 집중하기 위해 사업을 정리하기로 했고 지난해 최종적으로 수입차 전시장 매각을 마치면서 외제차 사업과의 인연을 모두 정리했다. 지난해 한미인베스트는 사명을 변경한 것 외에는 마땅한 활동을 하지 않았다. 사명에 '인베스트'를 넣은만큼 신사업 투자 등을 한미인베스트에서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한미인베스트가 한미네트웍스에 비해 자금여유가 있다는 점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말 한미인베스트의 자산총액은 100억원 정도였고 부채총액은 7억원 정도였다. 한미네트웍스는 자산총액 60억원, 부채총액 1600만원 정도다. 두 곳의 당기순이익은 각각 35억원, 8억원 정도였다. 상대적으로 자금여유가 있는 한미인베스트가 볼빅 지분을 인수해, 향후 한미네트웍스의 사업확장에 힘을 실어준 것으로 관측된다.
현재 한미네트웍스나 한미인베스트의 이사회 구성은 거의 흡사하다. 두 곳 모두 곽 부회장이 대표이사를 겸하고 있다. 지분 역시 곽 부회장이 각각 51%, 16.54% 보유 중이다. 한미인베스트의 사내이사는 윤평, 최계동씨이며 감사는 강태구씨다. 한미네트웍스 사내이사는 강태구씨, 감사는 최계동씨다. 한미인베스트에 사내이사 한 명이 더 많다는 것을 제외하면 인적구성은 동일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크레센도, HPSP 리캡 'LP 중간회수·제값받기' 포석
- [IR Briefing]제이엘케이, "4분기부터 해외 매출 인식 본격화"
- [i-point]엔켐, 프랑스 덩케르크와 서유럽 전해액 생산기지 구축
- [인투셀 IPO]상단에 모인 투심, ADC 상승세 이어간다
- AI 협력 늘리는 포바이포, 이스트소프트와 '맞손'
- 신테카바이오, 미국 OCMS Bio와 '혁신 항체신약 파이프라인 공동개발'
- [i-point]엔젤로보틱스, LIG넥스원과 국방용 웨어러블 로봇 개발 협력
- [i-point]에이스엔지니어링, 미국 EPC Power와 전략적 파트너십
- [DS금융그룹 시대 개막]'LP 엑시트' 절호의 타이밍, '장덕수 회장' 재정비 결단
- 유언대용신탁 개발 나섰던 신한증권…하반기 중 출시 전망
김슬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미래에셋, 8.5%까지 끌어올린 ROE…목표 달성 가시화
- [도우인시스 IPO]삼성 의존도 '양날의 검'…시장 의구심 해소 필요
- [도우인시스 IPO]경쟁자 없는 UTG 강자…비교기업 산정에 '고심'
- [도우인시스 IPO]손바뀜 1년여만에 상장 결실, 2년 의무보유로 안전판
- '돋보인 해외성장' 에이피알, 1분기에도 역대 최대 실적
- 패스트파이브 '파이브스팟' 매출·이용자 모두 잡았다
- [도우인시스 IPO]코스닥 상장 본격 시동…상단 기준 3400억 목표
- [삼성SDI 2조 증자]유증 규모 1.7조로 축소, 고환율에 셈법도 복잡
- [DN솔루션즈 IPO]철회 배경에 '밸류에이션·구주매출' 영향 컸나
- [Deal Story]신종자본증권 '대흥행' 우리금융, 4000억 증액 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