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B생명보험, 3년 만에 사모 후순위채 발행 500억 규모, IFRS17 도입 대비 선제적 자본관리 목적
이지혜 기자공개 2021-05-10 14:20:37
이 기사는 2021년 05월 07일 17:38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DGB생명보험이 3년 만에 사모로 후순위채를 발행했다. 새롭게 도입될 국제회계기준에 대비하고 RBC(지급여력)비율을 제고하기 위해서다. 조달금리도 최근 몇 년 동안 발행했던 채권과 비교해 눈에 띄게 낮아졌다.DGB생명보험이 500억원 규모 사모 후순위채를 7일 발행했다. 표면상 만기는 10년 뒤 도래하지만 사실상 5년 만기물이나 다름없다. 발행일로부터 5년이 지나면 보완자본으로 인정되는 비율이 줄어든다. DB금융투자가 대표주관업무를 맡았다.
DGB생명보험 관계자는 “새로운 국제회계기준 도입에 대비하고 RBC비율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자 선제적으로 후순위채를 발행했다”고 말했다.
DGB생명보험 등 보험사들은 2023년 시행되는 IFRS17 도입에 대비하기 위해 앞다퉈 후순위채를 발행하고 있다. 이 제도가 시행되면 보험부채를 원가가 아닌 시가로 평가한다. 저금리 시대에 보험사의 부채가 대폭 확대돼 요구자본이 늘고 RBC비율은 하락할 수 있다.
DGB생명보험은 이번 후순위채 발행으로 RBC비율이 1분기 말보다 약 25%P 높아질 것으로 추산했다. DGB금융지주가 최근 발표한 2021년 1분기 IR자료에 따르면 DGB생명보험의 RBC비율은 1분기 말 기준으로 212.8%를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 말보다 25.3%p 높아졌다. 다만 직전 분기와 비교하면 14%p가량 떨어졌다.
눈에 띄는 점은 조달금리다. 과거 발행했던 후순위채보다 조달금리가 낮아졌다. DGB생명보험은 2016년과 2017년, 2018년까지 사모로 후순위채를 발행해왔다. 2016년에는 4.4%에 200억원을 조달했지만 2017년에는 조달금리가 4.9%를 넘었고 지난해에는 5.0%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번에는 3년 전보다 40bp 낮은 4.6%에 후순위채를 발행할 수 있었다.
DGB생명보험 관계자는 “공모채 방식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투자자를 확보할 수 있다고 판단해 사모 방식을 택했다”고 말했다.
DGB생명보험은 현재 유효 신용등급이 모두 만료됐다. DGB금융그룹에 편입된 것은 2015년 1월이다. 서울과 대구, 부산에 각각 한 곳씩 모두 세 곳의 지점을 두고 있다. 올해 1분기 순이익은 2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5억원가량 줄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브이티지엠피, 日라쿠텐 '연간 5억엔 돌파상' 수상
- 현실세계로 나온 '메이플 월드', Z세대에 인기
- 쏘카, 기업밸류 1.5조 '파격적'으로 낮췄다
- [IPO 그 후]브랜드엑스 이수연 대표, 꾸준한 자사주 매입 '책임경영'
- 국보 "美 레드힐, 600억대 라이선스·로열티 현금 확보"
- [IB 프로파일]'섬세한 IPO 전략가' 최신호 한국증권 본부장
- [2022 정기 신용평가]'명암' 뚜렷한 신용카드사, 핵심은 '이자비용 관리'
- [VC 경영분석]SV인베, '대형펀드 운용+글로벌 투자' 전략 통했다
- 4년차 신생 에이벤처스, 'AUM 2200억' 돌파
- 전고체 승부수 띄운 삼성, 배터리도 반도체처럼 '2030'?
이지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KB지주 '전략통' 김세민, KB증권 이사회 합류...그룹 비전 '공유'
- KT, 수요예측 '오버부킹'…초우량 신용도·안정성 부각
- "데이터 활용, 기업경영 넘어 ESG 리스크까지 평가"
- 메리츠화재, 공모 이어 사모 후순위채 잇달아 발행
- 한기평, 기업 ESG평가로 사업 영역 확대
- 예스코, 기한이익상실 사유 해소
- 리딩투자증권, IB조직 강화…부동산금융 적극 공략
- [증권사 글로벌사업 점검]현지화·자본력 다 갖춘 미래에셋, 최적화된 '글로벌IB'
- ㈜예스코 EOD 사유 '늑장공고' 논란
- [Rating Watch]에쓰오일, 등급상향 '청신호' 켜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