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델리티운용, '환경' 집중한 ESG펀드 국내 선보인다 ESG 관심 커진 국내 투자자 겨냥…수질 개선·폐기물 처리 관련 기업 집중 투자
김진현 기자공개 2021-06-08 08:06:08
이 기사는 2021년 06월 04일 10시1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피델리티자산운용이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투자 요소 가운데 환경(E)에 집중한 투자 상품을 국내에 소개한다.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피델리티자산운용은 '피델리티지속가능Water&Waste증권자투자신탁(주식-재간접형)'을 국내 판매사를 통해 선보일 예정이다. 피델리티인베스트먼트(Fidelity Investments)가 운용하고 있는 ESG 펀드 중 하나를 국내에 들여온 것이다.
이 펀드는 피델리티인베스트먼트의 'Sustainable Water & Waste Fund'에 투자하는 재간접 상품이다. 이 펀드는 수자원 관련 기업과 폐자원 관련 종목을 선별해 투자하는 주식형 상품이다.
수자원 관련 기업의 예를 들면 바닷물에서 염분을 제거해 마실 수 있는 물로 만드는 담수화 사업을 하는 기업이나 오폐수 등을 정수해 처리하는 기업 등이 해당한다. 폐기물 관련 기업은 쓰레기 매립, 회수, 폐기 등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가 대표적이다.
펀드의 지역별 투자 비중은 지난 4월 기준 미국이 52.8%로 가장 높다. 일본 9.9%, 프랑스 6.5%, 네덜란드 6.2%, 중국 5.7% 순으로 전세계 기업을 골고루 골라 투자 대상을 선별하고 있다.
편입 기업을 살펴보면 지난 4월 기준 아메리칸워터(American Water Works)가 3.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의 도시 식수 오폐수 관리 시스템을 갖춘 회사로 미국뿐 아니라 캐나다 등 북미 지역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회사다.
이밖에 네덜란드의 수도 배관 제조 관리 업체인 알베르츠(Aalberts)를 3.6%, 프랑스의 폐기물 관리 기업 베올리아(Veolia) 3.3%, 중국의 배관, 밸브 생산 관련 기업인 차이나 레쏘(China Lesso) 3.2% 등에 투자하고 있다.
피델리티자산운용은 피델리티인베스트먼트가 운용하는 ESG 펀드 중 국내 투자자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친환경 기업 투자 상품을 소개하기 위해 이 펀드를 들여오기로 한 것으로 보인다. 피델리티인베스트먼트는 지속가능한 투자 전략(Sustainable Investment)을 도입하고 ESG 투자와 관련한 여러 펀드를 설정 운용하고 있다.

피델리티자산운용은 국내에서 ESG 투자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는 반면 이에 대한 투자는 초기 단계로 판단하고 해외 펀드 중 우수한 성과를 보인 펀드를 국내에 소개하기로 했다. 여러 펀드 중에서도 운용 성과가 우수한 Water&Waste Fund를 낙점한 것이다. 2018년 11월 설정된 펀드는 2019년 25.9%, 2020년 7.6%의 운용 수익률을 기록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부·울·경 12곳 중 9곳이 적자, '빅3'도 PF 직격탄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흑자 기조 이어간 KB미얀마은행, 웃지 못하는 이유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ABL생명, 후순위채 의존도 급등…커지는 '자본의 질' 고민
- [보험사 CSM 점검]한화생명, 빅3 중 홀로 잔액 감소…효율성 악화에 발목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리테일 강자 된 인터넷은행…다음 타깃은 소호 금융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BNK캐피탈, 여신감리 기능 확대…자산 손실 최소화 목표
- [은행권 신지형도]'대형은행' 틈바구니 속, SC제일은행이 선택한 해법은
- [Sanction Radar]한화 금융그룹, '경영 취약성' 대거 적발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전북은행 PPCB, 포트폴리오 다변화 통했다…순익 '성장일로'
- [PE 포트폴리오 엿보기]오케스트라PE, 반올림피자 볼트온 효과 '가시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