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 2조' SK리츠, IPO 수요예측 도전 [Weekly Brief]연 5.45% 배당 기대…에이비온·와이엠텍, 코스닥 입성 도전
피혜림 기자공개 2021-08-24 09:51:52
이 기사는 2021년 08월 23일 07시2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이번주(8월 23~27일) SK리츠와 에이비온, 와이엠텍 등이 기업공개(IPO)를 위한 기관 투심잡기에 나선다. SK리츠의 경우 자산 규모만 2조원에 달하는 '공룡 리츠'로 꼽힌다는 점에서 리츠 흥행세를 이어갈 수 있을 지 관심이 쏠린다.코스닥 상장 행렬도 이어진다. 정말 항암신약 개발사인 에이비온은 코넥스에서 코스닥으로 이전 상장에 나선다. 2차전지 부품기업 와이엠텍 역시 중국 전기차 시장 성장세 등을 바탕으로 코스닥 입성에 도전한다.
◇SK리츠, IPO 출격…안정성 강점
SK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이하 SK리츠)는 이달 23일부터 24일까지 이틀간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수요예측을 실시한다. 8월 30일~9월 1일 청약을 거쳐 내달 중순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공모 규모는 2325억원 수준이다. 한국투자증권과 삼성증권, SK증권, 하나금융투자가 주관 업무를 맡았다.

SK리츠의 기초자산은 SK서린빌딩과 클린에너지 리츠 지분이다. SK리츠가 SK서린빌딩을 실물 자산으로 직접 매입하고, 자리츠인 클린에너지 지분 100%를 확보해 편입하는 구조다. 클린에너지리츠는 SK에너지의 116개 주유소와 토지, 건물 등을 보유하고 있다.
SK리츠는 SK그룹의 장기 책임 임차 등으로 수익을 올리고 이를 투자자에게 배당으로 지급한다. 국내 리츠 업계 최초로 분기 배당으로 투자 매력을 높였다. 향후 3년간 연 5.45%의 배당을 제공할 예정이다. 지난해 국내 리츠 평균 배당 수익률(5.04%)을 웃도는 수준이다.
추가 오피스 빌딩 편입 등으로 성장 여력을 드러낸 점 역시 눈길을 끈다. SK리츠는 2024년까지 SKT타워(SK텔레콤 사옥)와 SKU타워(SK하이닉스 사옥), SK플래닛 판교 사옥 등을 편입할 예정이다. 해당 건물에 대한 우선매수협상권을 보유 중이다. 우선매수권을 가진 자산만 모두 품에 안아도 2024년까지 누적 4조원 규모의 자산 편입이 기대된다.
◇에이비온·와이엠텍, 코스닥 입성 속도
뒤를 이어 에이비온과 와이엠텍이 코스닥 입성에 도전한다. 에이비온은 24일부터 25일까지 이틀간 코스닥 이전상장을 위한 기관 수요예측을 진행한다. 희망 공모가 밴드는 1만4500~1만7000원이다. 228만주 전량 신주로 발행할 예정이다.
이에 따른 공모 규모는 최대 378억원 수준이다. 미래에셋증권과 한화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이 주관 업무를 맡았다.
에이비온은 2014년 7월 코넥스에 상장했다. 이후 두 차례에 걸쳐 코스닥 이전상장을 시도했으나 스팩(SPAC) 합병과 코로나19라는 변수에 막혀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어내지 못했다. 이번에 이전상장에 성공하면 세 번째 도전만에 코스닥 입성의 꿈을 이룬다.
에이비온의 대표 파이프라인은 ABN401이다. ABN401은 주요 고형암의 원인으로 밝혀진 간세포성장인자수용체(c-MET)를 표적하는 항암제이다. 이외에도 다발성경화증 및 바이러스성 감염병 치료제인 ABN101 등을 보유하고 있다.
와이엠텍은 25일과 26일 이틀에 걸쳐 코스닥 상장을 위한 수요예측에 나선다. 희망 공모가 밴드는 2만1000~2만5000원으로 제시했다. 공모액은 126억~150억원이다. 상장 예정 주식수는 60만주로, 전량 신주로 발행된다. KB증권이 대표 주관사로 참여한다.
1998년 설립된 와이엠텍은 직류 고전압 릴레이(EV 릴레이)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릴레이는 전기 회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기로, 전기차와 전기 스쿠터, 태양광 발전, 에너지 저장장치 등에 활용된다.
중국 전기차 시장의 성장 효과를 톡톡히 누리고 있는 건 강점이다. 와이엠텍은 중국에 지사를 두고 수출을 늘리고 있다. 올 상반기말 매출(130억원)의 34%(44억원) 가량이 중국에서 창출됐다. 중국 전기버스 급속 충전기 시장에서 30% 안팎의 높은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국내 시장 내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점 역시 긍정적이다. 최근 태양광 발전과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에 탑재하는 EV 릴레이 수요 확대로 국내 매출 역시 대폭 늘었다. IB업계에선 당분간 와이엠텍의 실적이 성장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관측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K-바이오텍 열전]여전한 가능성 '엑소좀' 일리아스바이오, ‘탑재·표적’ 승부수
- [인투셀 IPO]핵심인력 '리가켐 출신' 주축, 이사회는 'CTO·CFO' 전면
- [Company Watch]카카오엔터프라이즈, 적자 대폭 감축 '부실사업 철수 빛'
- 엔터4사 주총, 말의 온도와 숫자의 무게
- [Company Watch]갤러리현대, 44억 에트나컴퍼니 CB 출자전환
- [LG그룹 로봇사업 점검]LG이노텍, 휴머노이드 부품 양산 준비 '캡티브 마켓 원복'
- HLB, 합병 '재무실익' 글쎄 '리보세라닙' 가치 손상 관건
- [상호관세 후폭풍]한숨돌린 삼성·SK? 중국·대만 여파에 보조금 협상 '고심'
- [상호관세 후폭풍]삼성·LG, TV·가전 생산거점 '미국행' 피하기 어렵다
- 국제갤러리, 국제갤러리홀딩과 60억 부동산 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