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타 제친 현대차, 베트남 판매법인 '영업권 830억' 2년 연속 베트남 판매량 1위···영업력 강화로 시장 지배력 강화 기대
양도웅 기자공개 2021-08-31 07:53:28
이 기사는 2021년 08월 27일 15시5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현대자동차가 올해 3월 베트남 현지 기업인 탄콩(Thanh Cong)과 함께 만든 판매법인의 지배력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영업권을 830억원으로 확정했다. 사업 결합을 위해 투자한 자금의 약 30%가 '웃돈'인 셈이다.다만 이는 베트남 시장에 대한 현대차의 기대감을 보여주는 하나의 징표로 해석된다. 현대차는 현재 베트남 시장 터줏대감인 토요타를 제치고 현지 자동차 판매량 1위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힘입어 앞서 2017년 세운 승용·상용 제조법인의 실적은 매년 확대되는 추세다.
현대차는 올해 3월 사업 결합한 '현대 탄콩 베트남 오토 조인트 벤처 조인트 스톡 컴퍼니(HTV)'의 지분 50%를 2850억원에 인수하는 과정에서 영업권 830억원이 발생한 것으로 최종 집계했다. HTV는 현대차의 베트남 판매법인으로 나머지 지분 50%는 오랜 현지 파트너사인 탄콩이 보유하고 있다.

피인수기업의 가치보다 더 많은 돈을 주고 지배력을 획득했기 때문에 영업권은 속칭 '웃돈', '권리금'으로도 불린다. 영업권은 재무상태표에서 무형자산으로 분류되는데 훗날 회사에 경제적 효과와 이익을 가져다줄 재산으로 판단하는 셈이다. 하지만 실제로 영업권 발생은 다양하게 '해석'된다.
예컨대 적정 가격에 인수하지 못했다며 부정적 이슈로 보는 쪽과 피인수기업의 성장 가능성이 담보돼 있다면 당장 대규모 영업권이 발생하더라도 과감하게 베팅하는 것이 낫다는 쪽 등의 견해들이다. 이 가운데 현대차는 어느 쪽일까.
회사 관계자는 "이번 베트남 판매법인 설립뿐 아니라 인도네시아에 생산공장을 짓는 등 아세안 시장 진출에 관심이 크다"며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클 뿐 아니라 이미 시장 크기도 작지 않은 곳"이라고 전했다. 이전대가의 30% 가량을 차지하는 영업권이 향후 수익 창출의 밑바탕이 될 것으로 판단한 셈이다.
물론 인수기업이 영업권을 긍정적으로 해석하는 건 당연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2017년 3월 현대차가 탄콩으로부터 승용차 생산법인인 HTMV의 지분 50%를 인수했다. 그해 10월엔 마찬가지로 탄콩으로부터 상용차 생산법인인 HTCV의 지분 50%를 인수한 이후의 결과물을 살펴보면 회사가 베트남 시장에 거는 기대감을 짐작해볼 수 있다.

이에 힘입어 HTMV의 2020년 자산과 순이익은 7203억원, 741억원으로 설립 첫해인 2017년과 비교해 각각 391.6%, 1268.0% 증가했다. 같은 기간 HTCV의 자산은 424.5% 증가했고 순손실에서 순이익으로 전환됐다. 이 같은 흐름이 올해 판매법인(HTV) 설립에 따른 영업력 강화로 더욱더 가속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영업권에 반영된 것이다.
아울러 이번에 최종 집계된 830억원의 영업권은 1분기 말의 2277억원과 비교하면 크게 감소한 규모이다. 영업권은 지식재산권 등 다른 무형자산과 달리 내용연수를 정해 매년 상각하지 않고 손상이 발생했을 때만 규모를 줄인다. 단 회계기준(K-IFRS)에 따르면 영업권 측정 기간은 사업 결합일로부터 1년이다.
이 관계자는 "지난 1분기 말에 영업권 규모를 밝힐 때는 HTV의 순자산 공정가치를 산정하는 중이었기 때문에 잠정치를 밝힐 수밖에 없었다"며 "이번엔 산정 작업이 완료돼 정정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 1분기 말보다 비유동자산이 47억원에서 3664억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유증&디테일]'초음파 DDS 선두' 아이엠지티, 임상시험 150억 조달
- 엠케이전자, '반도체 후공정 1위' ASE 어워드 수상
- [AACR 2025 프리뷰]신약 개발 속도내는 제이인츠바이오, 연구 2건 출격
- [AACR 2025 프리뷰]국내 항암 신약 투톱 유한양행·한미약품, '최다' 기록 쓴다
- 뉴로바이오젠, 6.5조 L/O에 1% 마일스톤…상업화 '관건'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한미약품, '비만약' 28억 신규 산입…내년 출시 기대감 반영
- [AACR 2025 프리뷰]항암 신약 글로벌 진출 필수 관문, 커지는 K-바이오 존재감
- 2000억 현금 보유 일성아이에스, 부동산 베팅 '요양원' 발판
- OCI홀딩스, 부광약품 '유증' 활용법 '실권주·신주증서'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신약보단 우주, 보령의 R&D 가치 단 150억 '카나브' 뒷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