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엑스, 다섯 번째 자사주 매입…주주가치 극대화 [IPO 그 후]이수연 대표 1억2800만원 매수…'무증·배당' 포함 주주환원 노력 잇따라
남준우 기자공개 2021-10-18 08:05:46
이 기사는 2021년 10월 14일 17시5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의 두 최고 경영자(CEO)가 작년 8월 코스닥 입성 이후 다섯 번째 자사주 매입을 실시했다.책임경영의 일환이라 할 수 있는 자사주 취득을 통해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의 지속 성장 가능성을 시장에 적극적으로 알리고 있다.
◇이수연 대표, 올해 네번째 자사주 매입
14일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은 이수연 대표가 자사 지분 0.04%를 장내에서 취득했다고 밝혔다. 1만2230주를 주당 1만476원에 취득했다. 매수 규모만 1억2800만원이다. 이수연 대표는 올해만 네번째 자사주 매입을 실시했다.
잇단 자사주 매입을 단행한 결과 이 대표의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지분율은 2.29%에서 2.33%로 소폭 상승했다. 지분 44.62%를 보유한 강민준 총괄 대표와 함께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주요 주주로서의 지위를 한층 공고히 했다.
이 대표는 이번에 앞서 올해만 세번 장내 매수를 통해 자사주 2만7620주를 취득했다. 1월에는 9000주를 주당 1만700원에 취득했다. 9월 들어서는 두 차례에 걸쳐 자사주를 취득했다. 6일 9480주 주당 1만913원에, 27일에는 9122주를 주당 1만785원에 인수했다.
이 대표와 더불어 강민준 대표도 작년 8월 상장을 기점으로 꾸준하게 자사주를 매입하고 있다. 작년 11월 1만1000주를 취득한 데 이어 올해 들어서도 6만5900주를 추가로 확보했다. 상장 후 자사주 매입에 출연한 사재만 약 9억원에 달한다.
자사주 매입은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이 작년 8월 상장 당시 밝힌 주주가치 제고 항목 가운데 하나다. 강민준 대표는 이익이 나면 자사주 매입, 무상증자, 배당 등을 단행해 주주 이익을 극대화하는 한편 '책임경영'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이겠다고 밝혔다.
◇3분기 역대 최대 수익 달성 기대
올 상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수익성이 개선되기 시작하며 주주 이익 환원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7월에는 대신증권과 자사주 매입에 관한 신탁 계약을 맺기도 했다.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은 올 상반기 매출액 864억원, 영업이익 41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약 42%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작년 상반기(64억원)보다 36% 감소했다. 다만 2017년 8월 법인 설립 이래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이 상반기에 900억원에 육박하는 매출액을 기록한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올 3분기에는 역대급 수익성이 기대된다는 평가다.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은 지난 6월부터 광고비를 대거 감축하는 등 수익성 개선에 초점을 맞춘 경영 행보를 시작했다. 이를 감안할 때 3분기에 사상 최대 영업이익과 순이익 달성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평가다.
호실적이 이어지며 무상증자, 현금 배당 등의 주주 친화적 정책을 펼치기 시작했다. 8월 진행한 무상증자 규모는 983만7585주로 1주당 0.5주를 신주로 배정했다. 주식발행초과금이 50억원에 달해 여유가 있었다.
현금 배당도 실시했다.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은 14일 보통주 1주당 60원의 의 현물 배당을 결정했다. 배당금 총액은 17억6212만5300원이다. 기발행 주식 2957만2416주 가운데 자사주 20만3661주를 제외한 2936만8755주를 기준으로 산정했다.
여러 호재가 지속되면서 주가도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작년 이맘때 주당 8000원이었던 주가는 14일 종가 기준 주당 1만1300원까지 뛰었다.

출처 : Google Finance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대방건설, '부채비율 80%' 안정적 재무구조 유지
- [상호관세 후폭풍]'90일 유예'에 기업들 일단 안도, 정부 협상 성과에 쏠린 눈
- 에이치알운용, 한투 이어 '신한 PWM' 뚫었다
- KB증권, 2분기 롱숏·메자닌 헤지펀드 '집중'
- "지분 3%로 이사회 흔든다"…얼라인 '전투형 전략'의 정석
- 하나증권, 성장주 중심 라인업 변화
- 우리은행, 가판대 라인업 확대…'해외 AI·반도체' 신뢰 여전
- 하나은행, 라인업 고수 속 'NH필승코리아' 추가
- 리운운용, 메자닌 전문가 모셨다…투자 영역 확대
- 피보나치·모간스탠리, '싱가포르 VCC'로 돈줄 푼다
남준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KCGI·미래에셋, '중복 상장 논란' 에식스솔루션즈 엑시트 플랜은
- '인프라 강자' 스톤피크, 아시아 2호 펀드 조성 추진
- [PE 포트폴리오 엿보기]'형님 잘 둔' 대한항공씨앤디서비스, 한앤코도 웃는다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지급 보증' 테스코, 임대료 미지급 점포 구세주될까
- [thebell League Table]'난공불락' 삼일PwC, 이번에도 산뜻한 선두 출발
- [PE 포트폴리오 엿보기]'FI·SI 다수 접촉' 티오더, 신규 투자 유치 추진
- 홈플러스에 대한 LP들의 자성
- 웰투시, '화장품 전문 기업' 엔코스 투자 추진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세일앤리스백 점포 부지' HUG 매각, 실현 가능성은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점포 담은 'LP·자산운용사', HUG 매각 카드 '만지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