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상 고분자 필러' 덱스레보, 260억 프리IPO 2018년 시리즈B 대비 밸류 6배 상승…cGMP 공장 확충·브랜드 마케팅 박차
최은수 기자공개 2021-11-26 07:36:56
이 기사는 2021년 11월 25일 14시3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덱스레보가 260억원 규모의 프리IPO 펀딩을 마무리했다. 올해 5월 액상 고분자 필러(제품명 고우리, GOURI)의 유럽(CE) 인증을 획득하는 등 사업화 성과에 힘입어 2018년 시리즈 B 펀딩 대비 몸값을 6배 늘렸다. 회사는 이번 조달한 자금으로 송도에 cGMP급 신공장을 건설하고 주력 제품 마케팅에 나설 계획이다.25일 업계에 따르면 덱스레보는 기존 투자자인 마그나인베스트먼트,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현대기술투자, 신한캐피탈 등을 대상으로 총 260억원 규모의 프리IPO 펀딩을 마무리했다. 각각 마그나인베스트먼트와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가 100억원, 현대기술투자가 40억원, 신한캐피탈이 20억원을 납입하고 신주(보통주)를 부여받는 구조다.
마그나인베스트먼트는 하나금융투자와 공동으로 조성한 펀드(하나-마그나 Growth Booster 펀드)를 통해 자금을 납입했다.
덱스레보는 이번 프리IPO 펀딩 과정에서 투자 전 기업가치(Pre Value)를 2500억원으로 책정했다. 지난 2018년 시리즈B 라운드 당시 프리 밸류는 400억원 가량이다. 당시보다 6배 이상 증가했다. 조달 금액 역시 당초 회사 및 기존 투자자들이 예상한 펀딩 금액(200억원)보다 30% 이상 커졌다.
이는 최근 덱스레보의 잇따른 사업화 성과와도 무관치 않아 보인다. 올해 5월 주력 제품 고우리의 유럽 인증을 시작으로 9월 세계 최대 규모의 미용박람회 AMWC(Aesthetic and Anti-aging Medicine World Congress)의 메인스폰서로 참여해 고우리 브랜드를 처음 론칭했다. AMWC에서 해외 바이어 측과 3000만 달러 규모의 마수걸이 공급계약도 맺었다.
덱스레보는 삼양사와 셀트리온 등을 거친 유재원 대표가 2013년 설립했다. 주력 제품인 액상고분자필러는 단순 미용효과 외에 체내에서 콜라겐을 재생해 노화방지(Anti-aging) 효과를 이끌어 내 시장의 주목을 받아 왔다. 2023년 경 코스닥 시장 상장을 목표로 하나금융투자를 상장 주관사로 선정했다.
덱스레보 관계자는 "현재 해외에서 고우리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며 "이번에 유치한 자금은 인천 송도에 cGMP급 신공장 건설과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에 사용해 내년 큰 매출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HD현대일렉 "수주잔고 상승, 분기별 매출 편차 축소"
- [GM·르노·KGM 생존기]르노코리아, '그랑 콜레오스 출시 효과' 실적 개선세
- [GM·르노·KGM 생존기]추가물량 배정받은 한국GM, 흑자행진 이어간다
- 이지스운용, 두산건설 논현사옥 5년 만에 판다
- 키웨스트운용, 주담대 펀드 주목 받는 이유
- 변동성 장세엔 KODEX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분배금도 우수
- 중국 주목하는 미래에셋운용, 테마형 ETF 출시 검토
- 해외 투자 여전히 강세…자문형랩도 활발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두산에너빌리티, '밥캣·베트남' 품고 배당수익 날아올랐다
- [CAPEX 톺아보기]현대글로비스, 1년 만에 300% 증액…탄탄한 재무 '뒷받침'
최은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ROE 분석]변동성 큰 중소형사, 이익률보다 중요한 건 '정교함'
- [재무 리스트럭처링 전략]롯데지주, 바이오로직스 4.6조 베팅 선순환 시기는
- [ROE 분석]KB손해보험, ROE 올랐지만 변동성 보인 자기자본
- [재무 리스트럭처링 전략]롯데지주, 헬스케어 청산 뒤에도 남은 '테라젠헬스'
- [ROE 분석]메리츠화재는 어떻게 '빅5'가 됐나 "이익률서 해답"
- [ROE 분석]DB손보, '2조 순익·자본소실 최소화'로 20% 이익률
- [ROE 분석]현대해상, 두자릿수 이익률 이면에 자기자본 소실
- [ROE 분석]삼성화재, 자본감소 최소화하며 효익은 최대로
- [밸류업 성과 평가]10대 그룹 참여도 LG·HD현대 으뜸 한화·GS는 불참
- [밸류업 성과 평가]삼성그룹의 저조한 참여, 계열사 중 삼성화재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