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O워치/넷마블]도기욱, CFO 출신 첫 대표…성장 걸맞는 재무관리 '무게'CFO 역할은 겸직…코웨이·스핀엑스 인수 부담 해결 숙제
김슬기 기자공개 2022-01-12 08:01:51
이 기사는 2022년 01월 07일 16시2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넷마블이 2022년 정기 임원인사를 통해 도기욱 현 최고재무책임자(CFO)를 각자 대표로 선임했다. 도 대표는 기존 CFO 역할을 하면서 대표직을 수행할 예정이다. 넷마블 역사상 첫 CFO 출신 CEO이다. 게임업계에서도 CFO가 대표로 선임되는 사례를 찾기 어렵다.7일 넷마블은 2022년 정기인사를 통해 이승원 대표를 사장으로 승진 발령하고 글로벌 총괄로 신규 임명했다. 이승원 사장이 맡았던 각자 대표에는 도기욱 CFO가 선임됐다. 이번 인사로 넷마블은 권영식·도기욱 각자 대표체제를 가져간다. 권 대표는 기존에 했던 게임사업총괄을 맡고 도 대표는 경영전략과 관리부문을 책임진다.
도 대표는 대표적인 재무통이다. 1973년생인 그는 중앙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고 할리스HNN 경영지원실장, 인디스에어 경영지원실장을 거쳤다. 2014년 CJ E&M 게임부문 재경실장, 넷마블게임즈(현 넷마블) 재경실 이사를 맡았다. 2017년부터 지금까지 넷마블 재무전략담당임원을 담당하고 있다. 지난해 전무로 승진한데 이어 파격 인사인 셈이다.

넷마블 대표를 보면 CFO 출신은 전무하다. 넷마블은 2000년 설립됐지만 2004년 CJ그룹에 편입되면서 변곡점을 맞았다. 2011년 CJ E&M 물적분할로 CJ게임즈가 탄생했고 2014년 CJ그룹에서 독립하면서 넷마블게임즈가 됐다. 2018년 넷마블로 사명을 변경했다.
독립경영을 하기 시작한 2011년 권영식 대표가 회사를 맡았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는 김홍규 전 대표가 넷마블을 이끌었다. 그는 애니파크를 창업, PC MMORPG 'A3'와 PC 야구게임 '마구마구' 등을 개발한 개발자 출신이다. 애니파크가 넷마블에 인수되면서 넷마블앤파크로 이름이 변경됐다. 2020년까지 넷마블앤파크에 몸담고 있다가 퇴사했다.
2014년 10월부터 권 대표가 대표직을 줄곧 맡아왔다. 그는 주로 게임 퍼블리싱 쪽에 몸담았다. 게임배급을 하면서 개발사들과 폭넓은 인맥을 쌓아왔다. 현재까지 대표직을 맡으면서 장수 CEO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2018년에는 박성훈 전 대표가 전략과 투자총괄 각자 대표를 맡았으나 1년이 채 되지 않아 사임했다. 박 전 대표는 로엔엔터테인먼트(현 카카오엔터) 대표이사, 카카오 최고전략책임자, 보스턴컨설팅그룹, 베인앤컴퍼니 등을 거친 전략통이었다. 2019년에는 권 대표 단독 대표체제를 이어가다가 2019년부터 이 사장과 함께 각자 대표체제로 전환됐다.
'재무통'을 대표 자리에 올린 데에는 위기의식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넷마블은 최근 몇 년간 성장이 둔화되면서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만들기 위해 가전 렌탈기업인 코웨이, 북미 소셜카지노 게임사 스핀엑스 등을 인수했다. 코웨이 인수에 1조7400억원, 스핀엑스 인수에 2조6260억원을 썼다. 인수 후 재무부담도 커지면서 신용도 관리나 자금 조달의 중요성이 커졌다.
최근 나이스신용평가는 넷마블의 장기신용등급을 기존 AA-로 유지하되 등급전망을 '부정적'(Negative)으로 부여했다. 단기신용등급은 A1을 유지했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지난 8월 스핀엑스 지분 인수 결정 당시 재무부담을 우려해 신용도 하향검토 등급감시 대상에 올렸다. 도 대표가 짊어진 무게가 가볍지 않은 것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글랜우드PE, 3호 펀드 1조 규모로 내달 1차 클로징
- [i-point]미래아이앤지 "단순 세무조사 진행 중"
- [Deal Story]SK네트웍스, 렌터카 매각에도 공모채 투심 견조했다
- [Deal Story]세아제강, 3년물 회사채 흥행 이어갔다
- [Deal Story]LX인터, 복귀전서 1조 수요…언더금리 확보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그룹내 자금 에어로 투입, 투자자 달랠수 있을까
- '첫 선' 모태 과기부 AI 출자, 정시 서류탈락자 '북적'
- [윤석열 대통령 탄핵]UAE국부펀드, '토종 헤지펀드' 출자 속도낸다
- [thebell note]리브스메드, 한국의 포드될까
- IPO 개선안에 코벤·하이일드펀드 투자자 불만 고조
김슬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유증 앞둔 이수페타시스, 관세 충격에 '혼돈'
- [Deal Story]'1위 사업자의 힘' 삼천리, 1조 수요 모았다
- [대한조선 IPO]교환사채 발행 기준 최저 지분가치 '1조'
- [대한조선 IPO]조선업 슈퍼사이클 진입…실적 호조까지 더했다
- [Deal Story]한숨돌린 고려아연, 뜨거웠던 시장 반응에 안도
- [대한조선 IPO]예비심사 청구 초읽기, 이사회 내부 정비 완료
- [발행사분석]'실적 부침' 삼천리, 재무안정성은 합격점
- IBK증권 경영총괄 부사장, 기은 부행장 출신 관행 이어갔다
- [도우인시스 IPO]뉴파워프라즈마의 선구안, 경영권 인수로 '화룡점정'
-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젝시믹스로 사명 바꿨다